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 pp.1-30 | ||
덕의 도야와 비판적 사고 | 김덕수 | pp.31-58 |
|
|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 김일방 | pp.59-83 | ||
유럽중심주의의 귀환 | 나종석 | pp.85-112 |
|
|
조선 후기 영남 유학자들의 벽이단론(闢異端論) : 온건한 포용주의에 대한 재평가 | 박종천 | pp.113-143 |
|
|
후설의 선험적 현상학과 심리학에 대한 비판 | 안명진 | pp.145-170 | ||
의심과 공포의 철학적 정당성과 메르스 | 이진남 | pp.171-193 | ||
Schneider의 실존상담과 실존주의 영성 : 미지의 실재를 향한 경외의 출현 | 임인구, 박성현 | pp.195-220 | ||
선비정신의 두 範本 : 남명의 '절개'와 퇴계의 '관용'을 중심으로 | 장윤수 | pp.221-250 | ||
사띠(Sati),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 그리고 염(念)의 수행상 의미 변천 | 장진영, 김세정 | pp.251-282 |
|
|
노자의 존재 이해 | 정달현 | pp.283-305 | ||
요가의 명상과 불교의 명상의 비교 : 파탄잘리의 8지요가와 초기불교의 삼학체계를 중심으로 | 최정윤 | pp.307-330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何新, 『宇宙之道: 老子新考』, 北京 : 中国民主法制出版社, 2008. | 미소장 |
2 | Arthur Waley trans., Laozi, Changsha : Human People’s Publishing House, 2007. | 미소장 |
3 | Gu Zhengkun trans., Lao Tzu, Beijing : Peking Univ. Press, 1995. | 미소장 |
4 | 금장태, 『한국 유학의 「노자」 이해』, 서울 : 서울대 출판부, 2006. | 미소장 |
5 | 김경수, 「노자의 도 개념에 대한 해석 문제 연구」, 『도교 문화 연구』 11, 한국 도교 문화 학회, 1997. | 미소장 |
6 | 김영진,『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 서울 : 그린비, 2012. | 미소장 |
7 | 김진, 『화이트헤드와 화엄 형이상학』, 울산 : 울산대 출판부, 2004. | 미소장 |
8 |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노자 강의』, 서울 : 예문서원, 2004. | 미소장 |
9 | 김학목, 『박세당의 노자』, 예문서원. 1999. | 미소장 |
10 | 江華學派의 『道德經』주석에 관한 고찰 : 椒園 李忠翊의 『椒園談老』를 중심으로 | 소장 |
11 | 2 ![]() |
미소장 |
12 | 朴世堂, 『新注道德經』. | 미소장 |
13 | 丁若鏞, 「中庸自箴,” 『定本 與猶堂全書』 6, 서울 : 다산 학술 문화 재단, 2012. | 미소장 |
14 | 송항룡, 「한국에서 노장 연구와 그 전개 추이」, 『도교 문화 연구』 11, 한국 도교 문화학회, 1995. | 미소장 |
15 | 안형관, 『화이트헤드 철학의 이해』, 대구 : 이문 출판사, 1988. | 미소장 |
16 | 英語世界老莊學硏究動態 | 소장 |
17 | 노자의 無 | 소장 |
18 | 이진경, 「노자의 환원적 무위 정치 사상」, 『동양 철학과 현대 사회』, 충남대 유학 연구소, 2003. | 미소장 |
19 | 李珥, “醇言.” | 미소장 |
20 | 李忠翊, 『椒園談老』. | 미소장 |
21 | 정재서,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서울 : 이화여대 출판부, 2006. | 미소장 |
22 | 『老子』에 나타난 '常'字 연구 | 소장 |
23 | 조수동, 『인도 철학사』, 대구 : 이문 출판사, 1997. | 미소장 |
24 | 『溫城世稿』(溫陽鄭氏文集), “叢桂堂遺稿 附錄.” | 미소장 |
25 | 『장자(莊子)』 “잡편(雜篇).” | 미소장 |
26 | 『주역』“계사전(繫辭傳).” | 미소장 |
27 |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 | 미소장 |
28 |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 미소장 |
29 | 야스퍼스, “노자.”(Karl Jaspers, Die Großen Philosophen, München : R. Piper & Co. Verlag, 1957.에 있는 “노자”의 한국어 번역판[정영도 역, 『근원에서 사유하는 철학자들』, 대구 : 이문 출판사, 1984. 71-119쪽). | 미소장 |
30 | 플라톤, 『국가』. | 미소장 |
31 | 陈 来, 『古代思想文化的世界』, 北京 : 三联书店, 2002. | 미소장 |
32 | 胡孚琛, 「道家: 道敎的文化渊源和形成过程,」 牟钟鉴 胡孚琛 王保玹 主编, 『道敎通论: 兼论道家学说』, 济南 : 齐鲁书社, 1993. | 미소장 |
33 | 李 程, 『近代老学硏究』, 武昌 : 武汉大学出版社, 2008. | 미소장 |
34 | 李绿野 编著, 『道敎』, 西安 : 陕西师范大学出版社, 2008. | 미소장 |
35 | 李信军 编著, 『中华道学百问』(上), 北京 : 北京白云观, 2009. | 미소장 |
36 | 罗尚贤, 『老子通解』, 广州 : 广东高等敎育出版社, 1996. | 미소장 |
37 | 吕有云, 『道敎政治管理之道硏究』, 北京 : 中国书籍出版社, 2012. | 미소장 |
38 | 牟钟鉴, “老子的学说,” 牟钟鉴 胡孚琛 王保玹 主编, 『道敎通论: 兼论道家学说』, 济南 : 齐鲁书社, 1993. | 미소장 |
39 | 任继愈, 『老子新译』, 香港 : 中华书局香港分局, 1987. | 미소장 |
40 | 王博, 『老子思想的史官特色』, 臺北 : 文津出版社, 1993. | 미소장 |
41 | 肖兵 叶舒宪, 『老子的文化解读』, 武汉 : 湖北人民出版社, 1994. | 미소장 |
42 | 熊坤新 主编, 『宗敎理论与宗敎政策』, 北京 : 中央民族大学出版社, 2008. | 미소장 |
43 | 张立文 主编, 『道』, 北京 : 人民大学出版社, 1996. | 미소장 |
44 | 陳鼓應, 『老子今注今譯』, 臺北 : 臺灣商務印書館, 1988. | 미소장 |
45 | 陳鼓應, 阿部吉雄 山本敏夫, 『老子』, 東京 : 明治書院, 1996. | 미소장 |
46 | 蜂屋邦夫, 『「老子」 「莊子」をよむ』(上), 東京 : 日本放送出版協会, 2010. | 미소장 |
47 | 福永光司, 『道敎思想史』, 東京 : 岩波書店, 1987. | 미소장 |
48 | A. N. Whitehead, Process and Reality, New York : The Free Press, 1978. | 미소장 |
49 | A. N. Whitehead, Science and the Modern World, Cambridge : Cambridge Univ. Press, 195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