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전근대 일본사회에서는 피아 전사자공양, 적군 전사자공양이 심심찮게 거행되었다. 이 역사적 현상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① 일본사회에 내재된 종교적 자비심의 발로에 다름 아니며, ② 여타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일본사회 고유의 미풍양속이라는 해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전사자공양의 일본적 특수성론이라 할 만한 위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대~중세의 일본열도에서 거행된 피아 전사자공양, 적군 전사자공양에서 어떤 선례들이 참조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②의 담론을 비판하는 데 주력하였다.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고대~중세의 일본열도에서 거행된 피아 전사자공양, 적군 전사자공양에서는 중국대륙의 선례들이 자주 참조되었다. 역성혁명 초기 단계에서 수 고조, 당 태종, 송 태조가 거행한 전사자공양 등의 사적은 동아시아세계의 불교적 학지 네트워크를 통해 일본사회에 전파되었다. 중세에 접어들어 일본사회 토착의 사적들이 선례로 부상하기 시작하고, 이에 전사자공양의 일본적 특수성이라 할 만한 것이 점차 형성되어 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또한 자폐적인 환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13~14세기에 중국대륙과 일본열도 사이를 빈번하게 왕래한 선승들의 움직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중세 일본사회의 전사자공양은 일본열도를 넘나드는 사람과 물자의 교차 속에서 이루어졌다. 바다는 열린 경계였으며, 일본열도는 결코 동아시아의 갈라파고스가 아니었다.
전사자공양의 일본적 특수성은 앞으로 중국대륙, 한반도의 관련 사례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검출되어야 할 텐데, 동아시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인지되고 있던 불교용어 혹은 격언이 각 지역의 전사자공양의 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원용되었는가를 추적하는 것도 유력한 방법이 될 것이다. 예컨대, 중세 일본사회에서는 불교적 자비심에 연계되는 원친평등이 원령으로 상정된 전사자의 영혼을 잠재운다는 맥락에서 원용되었으며, “덕으로 원한을 갚으면 원한이 사라진다.”는 격언 역시 원령진혼의 맥락에서 “덕으로 원한을 갚으면 원이 변전하여 친이 된다.”는 식으로 변용되기도 하였다. 즉, 동아시아세계에서 보편적으로 유통되고 있던 불교용어와 격언이 일본사회의 현실에 맞게 재단되고 적극적으로 응용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충돌’ 과정을 다각도로 검토해 간다면, 전사자공양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지역별 특수성도 보다 분명한 형태로 드러날 것이다.
일본사회의 전사자공양은 지금까지 너무나도 안이하게 일본문화론으로 수렴되곤 하였다. 그 근저에서는 <일본사회의 전사자공양=자비=‘문명’>이라는 근대 일본학의 주술이 여전히 꿈틀대고 있다. 이 주술의 자장에서 자각적으로 벗어난 지점으로부터 전사자공양을 둘러싼 일본문화론은 새롭게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In pre-modern Japan, it was held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war dead general. This has been interpreted as follows. ① It is an expression of the inherent religious mentality of Japanese society. ② It is a good practice can be found out just in Japanese society. This paper analyze the discourse of ② critically by reviewing the precedents referenced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war dead general in ancient and medieval Japan.
Unlikely common sense, Chinese precedents, found out in the early stages of partiality revolution, were frequently referenced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war dead general in ancient and medieval Japan. In the Middle Age, Japan's indigenous precedents began to emerge, whereby the singularity of Japan’s war dead memorial was gradually formed. But, it did not occur under the autism environment. As we can presume from the frequent moves of zen monks in 13~14th century, it was developed in crossing of people and good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East Asia. Sea was open border, and Japanese archipelago was never the Galapagos of East Asia.
Singularity of Japan’s war dead memorial must be deduced by comparison with the Chinese and Korean cases. It will be a potent clue to track the regional variations of Buddhist term, or proverbs distributed in East Asia. For example, the maxim of expiating resentment by virtue, which had came into Japan through the buddhist intelligence network of East Asia, was transformed as the logic of cutting off the grudge of chain in Kamakura age, and Onshinbyodo which means buddhist mercy, was used in the context of appeasing of vengeful ghost.
The discourse on the Japan's war dead memorial proceed to the discourse on the Japanese culture too easily. The scheme of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後百濟의 降服 動線과 馬城 | 李道學 | pp.13-38 | ||
조선시대 세안(洗顔)문화에 대한 고찰 | 김현정 | pp.39-61 | ||
대중문화 공연장에서 '떼창'의 유형과 그 의미 | 최혜경 | pp.63-92 | ||
중국어 인물지칭 신조어의 단어모형 분석 : 2006~2014년 신조어를 중심으로 | 이명아, 한용수 | pp.93-124 | ||
오키나와의 시사(シ-サ-, 獅子)와 문화적 정체성 만들기 | 김창민 | pp.125-149 |
|
|
전사자공양의 일본적 특수성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전근대 동아시아의 학지 네트워크와 전사자공양 | 이세연 | pp.151-179 |
|
|
사실로서의 역사와 역사적 진실 : 전후와 포스트 전후 일본의 '태평양 전쟁'사 다시 쓰기와 진실의 정치 | 정지희 | pp.181-213 |
|
|
일본의 문화외교와 국가브랜드 전략으로서의 쿨재팬 | 강성우 | pp.215-241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辯正論』 | 미소장 |
2 | 『歴代三寶紀』 | 미소장 |
3 | 『廣弘明集』 | 미소장 |
4 | 『舊唐書』 | 미소장 |
5 | 『釋氏稽古略』 | 미소장 |
6 | 『本朝文粹』 | 미소장 |
7 | 『鎌倉遺文』 | 미소장 |
8 | 『仏光国師語録』 | 미소장 |
9 | 『明德記』 | 미소장 |
10 | 『五山文學全集』 | 미소장 |
11 | 『五山文學新集』 | 미소장 |
12 | 『上井覚兼日記』 | 미소장 |
13 | 『鹿苑日錄』 | 미소장 |
14 | 『大正新脩大藏經』 | 미소장 |
15 | 漢籍電子文獻資料庫 http://hanji.sinica.edu.tw/ | 미소장 |
16 | 도쿄대 사료편찬소 데이터베이스 http://wwwap.hi.u-tokyo.ac.jp/ships/shipscontroller | 미소장 |
17 | 『大正新脩大藏經』 데이터베이스 http://21dzk.l.u-tokyo.ac.jp/SAT/ | 미소장 |
18 | 辻善之助, 『日本人の博愛』, 金港堂, 1932. | 미소장 |
19 | 長谷川伸, 『日本捕虜志』(『長谷川伸全集(第9巻)』, 朝日新聞社, 1971 수록) | 미소장 |
20 | 中村元, 『日本人の思惟方法』, 春秋社, 1989(초판 1962). | 미소장 |
21 | 圭室諦成, 『葬式仏教(オンデマンド版)』, 大法輪閣, 2004(초판 1963). | 미소장 |
22 | 諸戸立雄, 『中国仏教制度史の研究』, 平河出版社, 1990. | 미소장 |
23 | 村井章介, 『東アジア往還: 漢詩と外交』, 朝日新聞社, 1995. | 미소장 |
24 | 山田雄司, 『跋扈する怨霊-祟りと鎮魂の日本史-』, 吉川弘文館, 2007. | 미소장 |
25 | 이세연, 『사무라이의 정신세계와 불교: 일본사회의 전사자공양과 怨親平等』, 혜안, 2014. | 미소장 |
26 | 釈会忍, 『中世の中日禅宗交流史』, 山喜房仏書林, 2015. | 미소장 |
27 | 黒板勝美, 「高野山朝鮮陣の供養碑」, 『弘安文禄征戦偉績』, 冨山房, 1905. | 미소장 |
28 | 鷲尾順敬, 「国史と仏教(七)」, 『正法輪』 273, 正法輪発行所, 1910. | 미소장 |
29 | 橋川正, 「怨親平等の思想」, 『大谷学報』 10(4), 大谷學會, 1929. | 미소장 |
30 | 古田紹欽, 「武士の道徳と仏教倫理-怨親平等の思想」, 『日本道徳教育史』, 角川書店, 1962. | 미소장 |
31 | 明初の法会と仏教政策 ![]() |
미소장 |
32 | 塚本善隆, 「国分寺と隋唐の仏教政策並びに官寺」, 『塚本善隆著作集』 6, 大東出版社, 1974. | 미소장 |
33 | 平岡定海, 「源頼朝の八万四千基造塔と進美寺」, 『鎌倉遺文月報』 13, 東京堂, 1977. | 미소장 |
34 | 大山喬平, 「鎌倉幕府の西国御家人編成」, 『歴史公論』 40, 雄山閣出版, 1979. | 미소장 |
35 | 西尾賢隆, 「鎌倉期における渡来僧をめぐって」, 『日本歴史』 491, 日本歴史学会, 1989. | 미소장 |
36 | 大野雅仁, 「隋朝仏教政策の-側面: 舎利塔事業を中心として」, 『印度学仏教学研究』 39(1),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90. | 미소장 |
37 | 大野雅仁, 「隋文帝時代の仏教: 開皇期の名僧の招致をめぐって」, 『大谷大学大学院研究紀要』 8, 大谷大学大学院, 1991. | 미소장 |
38 | 小野泰央, 「後江相公: 大江朝綱小伝」, 『中央大学国文』 35, 中央大学国文学会, 1992. | 미소장 |
39 | 出羽玉泉寺開山の了然法明について -道元禅師に参じた高麗僧- ![]() |
미소장 |
40 | 松本真輔, 「中世聖徳太子伝における物部守屋像: 怨霊化する守屋․地蔵の化身としての守屋」, 『国語国文』 72(12), 京都大学文学部国語学国文学研究室, 2003. | 미소장 |
41 | 菅原昭英, 「南宋禅林における夢語り: 無準師範の場合(下)」, 『駒沢女子大学研究紀要』 12, 駒沢女子大学, 2005. | 미소장 |
42 | 渡辺勝義, 「怨親平等の鎮魂」, 『神道と日本文化』, 星雲社, 2006. | 미소장 |
43 | 南宋来日禅僧無学祖元を論ず--主に彼の来日の動機と性質とについて ![]() |
미소장 |
44 | 西山美香, 「鎌倉将軍の八万四千塔供養と育王山信仰」, 『金沢文庫研究』 316, 神奈川県立金沢文庫, 2006. | 미소장 |
45 | 安藤嘉則, 「中世禅宗における拈香陞座法語について」, 『財団法人松ヶ岡文庫研究年報』 20, 松ヶ岡文庫, 2006. | 미소장 |
46 | 藤田大誠, 「近代日本における「怨親平等」観の系譜」,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44(復刊), 明治聖徳記念学会, 2007. | 미소장 |
47 | 今西智久, 「隋文帝の仏教政策に関する一考察: 釈曇遷の事蹟を手がかりに」, 『大谷大学大学院研究紀要』 26, 大谷大学大学院, 2009. | 미소장 |
48 | 河上麻由子, 「唐の皇帝․皇太子の受菩薩戒: 太宗期を駐中心に」, 『仏教史学研究』 53(1), 佛教史学会, 2010. | 미소장 |
49 | A study of Mugaku Sogen's Rinkenjyu ![]() |
미소장 |
50 | 立花基, 「戦国期島津氏の彼我戦没者供養」, 『日本歴史』 762, 日本歴史学会, 2011. | 미소장 |
51 | 上川通夫, 「一二世紀日本仏教の歴史的位置」, 『歴史評論』 746, 雄山閣出版, 2012. | 미소장 |
52 | 隋 文帝의 正統性과 佛敎政策 : 舊北齊地域의 安定化와 관련하여 | 소장 |
53 | 池田丈明, 「室町将軍と五山の施餓鬼: 明徳三年四月十日の施餓鬼を中心に」, 『年報中世史研究』 38, 中世史研究会, 2013. | 미소장 |
54 | 池田丈明, 「日本中世の戦乱․饑饉に対応した五山の施餓鬼についてのノ-ト」, 『正眼短期大学禅․人間学科研究紀要』 6, 正眼短期大学, 2013. | 미소장 |
55 | 일본 중세무사들의 원한과 화해 | 소장 |
56 | 東島誠, 「中世「江湖」の思想へ」, 『東アジアのなかの建長寺』, 勉誠出版, 201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