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the music visualization on stage. As a collaborated work, Interview with Isang Yun , combining the dance, images with the Isang Yun’s music, shows the staged music, which expresses the music not only through sound but also visualization.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music through the body and images on the stage, Isang Yun’s musics is recreated in the hand of today’s artists.
This study finds that the recreated work from the new point of view, like Interview with Isang Yun , can be a bridge between the composer and today’s artists, and we can see the future through it. This paper analyzes the combination of music and dance, focusing how can we deliver the Isang YUN’s music in the new representative form through formative visualization on the stage, using media technology as multi-cameras and motion control system.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미국 교육 안에서 핵심교과내용으로서의 무용 :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교육표준에 대한 제언 | Bashaw, Barbara | pp.1-15 |
|
|
학문분과로서 무용의 다면성에 대한 고찰 : 무용의 신체, 교육, 예술, 학문의 사회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 김수인 | pp.17-36 |
|
|
무용창조에서의 질적인 사유 | Kim, Malborg | pp.37-51 |
|
|
오스터왈더(Osterwalder)의 비지니스 모델을 통한 발레 STP협동 조합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김경인, 조은숙 | pp.53-67 |
|
|
Danse et Musique, 무대 위의 '음악의 시각화' : 「윤이상을 만나다」를 중심으로 | 변혁 | pp.69-85 |
|
|
문화예술정책과 국립발레단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변화하는 국가정체성 | 양영은 | pp.87-107 |
|
|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본 한 교육대학 교수의 무용교수경험 탐구 | 유미희 | pp.109-122 |
|
|
무용동작치료에서의 움직임 평가의 의미 : 라반동작분석법 중심으로 | 이경희 | pp.123-138 |
|
|
우리는 왜 춤을 추는가? 뇌 과학으로 이해하는 무용 : 「춤추는 뇌: 뇌 과학으로 풀어보는 인간 행동의 비밀」, 김종성 저 <서평> | 정승혜 [평] | pp.139-14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말복(2003). 『무용 예술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 | 김승현(2013). 『정의숙 전미숙 안은미의 춤』. 서울: 늘봄. | 미소장 |
3 | 윤신향(2005). 『윤이상, 경계선상의 음악』. 파주: 한길사. | 미소장 |
4 | 최유준(2011). 『음악문화와 감성정치』. 서울: 작은이야기. | 미소장 |
5 | 애드워드, F.프라이(1978). 『입체주의』. 김인환(역). 서울: 미진사. 1992. | 미소장 |
6 | 변혁(2016). 다중영상시스템으로 구현한 무대 위의 큐비즘. 『기초조형학 연구』, 17(2): 171-182. | 미소장 |
7 |
Formative Visualization of Music : focused on |
소장 |
8 | Study on extensibilily of image language in multi-genre performance ![]() |
미소장 |
9 | Mark Morris, Mickey Mouse, and Choreomusical Polemic ![]() |
미소장 |
10 | Lee, Moonkyung(2012). Isang Yun in-between: An Analytical Study of Selected Violin Compositions. Ph.D.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 미소장 |
11 | ‘안무가’ 마크 모리스(Mark Morris)의 ‘음악적’ 해석 ![]() |
미소장 |
12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Artistic Expression by Utilizing Synesthetic Performance Technology Focused on Robert Wechsler and the Palindrome Dance Company | 소장 |
13 | An Analysis of Cirque du Soleil’s Contents for the Expansion of Dance Choreography Contents. | 소장 |
14 | 정의숙, 변혁(2009). 영상테크놀로지와 춤.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1: 241-257. | 미소장 |
15 | 박순영(2014. 4. 28.). 리뷰: 유니버설발레단 ‘나초 두아토 – 멀티플리시티’, 『오마이뉴스』,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