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거짓말 단서로의 시선회피 : 대화단계별 시선회피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 김대중 | pp.7-35 |
|
|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건강통제영역 인식성향이 메르스 피해관련 책임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경은, 백영민 | pp.36-65 |
|
|
적대적 매체 지각이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 : 정치적 정체성의 현저성과 정서, 이슈 관여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현정 | pp.66-90 | ||
국내 텔레비전 포맷 프로그램의 유통에 관한 연구 : 완성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윤경 | pp.91-116 | ||
저널리즘 관점에서 본 모바일 기반 포털 뉴스의 게이트키핑과 이용자의 뉴스 이용 | 김경희 | pp.117-144 | ||
외국인 범죄에 대한 언론 보도가 외국인 우범자 인식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박상조, 박승관 | pp.145-177 | ||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문의 인용 적절성 비교 : 술어 객관성과 취재원 수준을 중심으로 | 이건호, 고흥석 | pp.178-205 | ||
청소년의 온라인 유해정보 노출과 온라인 일탈행동에 미치는 요인 : 부모의 중재와 또래의 책동 사이 | 이혜미, 양소은, 김은미 | pp.209-236 | ||
사회불안과 대인불안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사회비교와 정보추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권예지 | pp.237-267 | ||
역사 토크쇼의 장르 혼종화 : KBS1 <역사저널 그날> 분석을 중심으로 | 이종수 | pp.271-299 | ||
텔레비전 연예 또는 오락 프로그램의 진행자 및 출연진의 문제 언어 사용이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성과 시청자의 폭력성향에 미치는 영향 | 원기범, 문성준 | pp.300-315 | ||
기업-여성직원 간의 관계성 모형에 관한 연구 : 성별 다양성 기풍과 이직의도 간의 매개변인으로서의 관계성 | 김효숙 | pp.319-346 | ||
중국인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과 문화가치 | 문성준, 원기범, 우분 | pp.349-366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放送言語 의 現象 과 問題점 , 言語生活 의 啓導役割 과 來日 의 報道放送 | 소장 |
2 | 곽금주 (1992). 공격영화시청이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 | 방송언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장 |
4 | 김영용 (1999). 방송과 언어: 오락 프로그램의 언어문제와 개선방안.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보고서, 41-62. | 미소장 |
5 | Violence Regulation Analysis of Television Programs | 소장 |
6 | Television and social capital | 소장 |
7 | 김현주 (2006). 방송 언어의 공공성 훼손 사례와 개선 방안. 한국방송학회학술대회 논문집, 590-601. | 미소장 |
8 | Prime?Time TelevisionAssessing the Amount and type of Violence | 소장 |
9 | Broadcasting Language Censorship in Entertainment Programs: A Study on the Types of Inappropriate Language in Censored Cases and Viewers’ Perception of the Inappropriateness of Broadcasting | 소장 |
10 | 방송언어특별위원회 (2015). 방송품위와 방송 언어 관계에 대한 문헌 조사. 서울: 한국방송통신심의위원회. | 미소장 |
11 | 방송언어특별위원회 (2015). 지상파 TV 3사 대표 예능 프로그램의 언어사용 실태 조사. 서울: 한국방송통신심의위원회. | 미소장 |
12 | Dose Media Exposure Facilitate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 소장 |
13 | 백봉기 (1998). 방송 언어의 실태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4 | 심미선 (2007). 지상파 텔레비전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8(2), 116-155. | 미소장 |
15 | The Effects of Viewing Entertainment Programs on Material Values and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 소장 |
16 | 우리 나라 방송 언어 발음 문제 : 언어규범 몰락한 KBS 1TV 사투리 범벅을 중심으로 | 소장 |
17 | 대중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
미소장 |
18 | 윤영미 (2000). 방송 언어 오용 사례의 장르, 채널, 직업별 분석 연구: KBS 방송 언어 심의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9 | 國語會話의 問題點 : 방송언어를 중심으로 | 소장 |
20 | 이봉건 (1990). 바이오 피드백 훈련에 의한 본태성 고혈압의 혈압강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1 | The Effect of Television Viewing on Perceptions of Consump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 소장 |
22 | Developing Evaluation Scales of Television Program Quality According to Genre | 소장 |
23 | 임태섭, 강길호, 이기현, 문철수 (2001). 방송 언어의 사회적 영향 (방송언어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 방송 프로그램 언어 분석 연구). 서울: 한국방송위원회. | 미소장 |
24 | 장소원 (2000). 방송인의 언어사용 실태와 문제점: 보도프로그램의 경우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51, 255-283. | 미소장 |
25 | 방송언어 표현의 문제점과 과제 | 소장 |
26 | 텔레비전이 어린이 언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 |
미소장 |
27 | The Effect of the Television Viewing in Audience’s Subjective Happiness Focusing on Viewing Hours, Viewing Genres, Viewing Behaviors | 소장 |
28 | 정은정, 이정기, 전범수 (2013). 부산 지역 대학생들의 프로야구 중계방송 시청 효과에 관한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2), 83-117. | 미소장 |
29 | A study of Korean Reality TV Shows on the focus of parasocial interaction factors, flow and viewing satisfaction | 소장 |
30 | 방송언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장 |
31 | A Comparative Study on Violence in Network and Cable Television Programs aimed at Adolescents | 소장 |
32 |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 |
미소장 |
33 | Social Cognition and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 |
미소장 |
34 | The “Mainstreaming” of America: Violence Profile No. 11 ![]() |
미소장 |
35 | Minow, N. N. (1994). How vast the wasteland now?. In M. Emery & T. C. Smythe (Eds.), Readings in mass communication 1994 (pp. 16-30).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 미소장 |
36 | Moses, D., & Croll, P. (1989). The use of educational television in school paper 1: Schools’televisio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London, UK: BBC Research. | 미소장 |
37 | The Multidimensional Anger Inventory. ![]() |
미소장 |
38 | The portrayal of aggression on North American television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