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거짓말 단서로의 시선회피 : 대화단계별 시선회피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김대중 pp.7-35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건강통제영역 인식성향이 메르스 피해관련 책임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경은, 백영민 pp.36-65

적대적 매체 지각이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 : 정치적 정체성의 현저성과 정서, 이슈 관여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현정 pp.66-90
국내 텔레비전 포맷 프로그램의 유통에 관한 연구 : 완성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윤경 pp.91-116
저널리즘 관점에서 본 모바일 기반 포털 뉴스의 게이트키핑과 이용자의 뉴스 이용 김경희 pp.117-144
외국인 범죄에 대한 언론 보도가 외국인 우범자 인식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상조, 박승관 pp.145-177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문의 인용 적절성 비교 : 술어 객관성과 취재원 수준을 중심으로 이건호, 고흥석 pp.178-205
청소년의 온라인 유해정보 노출과 온라인 일탈행동에 미치는 요인 : 부모의 중재와 또래의 책동 사이 이혜미, 양소은, 김은미 pp.209-236
사회불안과 대인불안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사회비교와 정보추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예지 pp.237-267
역사 토크쇼의 장르 혼종화 : KBS1 <역사저널 그날>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수 pp.271-299
텔레비전 연예 또는 오락 프로그램의 진행자 및 출연진의 문제 언어 사용이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성과 시청자의 폭력성향에 미치는 영향 원기범, 문성준 pp.300-315
기업-여성직원 간의 관계성 모형에 관한 연구 : 성별 다양성 기풍과 이직의도 간의 매개변인으로서의 관계성 김효숙 pp.319-346
중국인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과 문화가치 문성준, 원기범, 우분 pp.349-366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udy of the Impact of Media on Cultural Adapt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소장
2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Case of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소장
3 김소영, 양정애, 양승목 (2013). 한국 미디어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적대적 지각이 한국(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 & 문화, 27, 33-75. 미소장
4 Media Use, Interpersonal Talks, and Collective Self-Concept among the Korean-Chinese in Seoul 소장
5 Role of Incheon Chinatown : Focusing on Chinese Immigrants' Acculturation Process 소장
6 박종구 (2013). 뉴미디어 채택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7 백승준 (2015, 7, 5). 174만1919명. 한국경제. URL: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7057734C 미소장
8 변해정 (2015, 7, 5). 국내 거주 외국인 전년比 11%↑…3년 만에 두자릿수 증가율. 뉴시스. URL: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704_0013770671&cID=10201&pID=10200 미소장
9 오대영 (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미디어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한국어 능력, 미디어 이용 요인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2), 119-156. 미소장
10 한국 TV 드라마의 시청행위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관계 연구 :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소장
11 미국 이민정책의 변화가 화교사회의 발전에 미친 영향 소장
12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the Chinese Transnational Social Space in the Neoliberal Era: Focusing on the Case of Vancouver 소장
13 Factors Affecting Cultural Integr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Media Use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소장
14 임지혜, 김영순 (2009, 11월). 중국인 이주민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와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국내 중국인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발표논문. 서울: 광운대학교. 미소장
15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and media use 소장
16 정인숙 (2013).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17 조정순 (2013). 한중 언어문화 교육내용 대조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8 중국이주민 문화접변 양상 연구 소장
19 Berry, J. W. (1994). Accultur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A. M. Bouvry, E. R. Van de Vijver, & P. Schmitz (Eds.), Journeys into cross-cultural psychology (pp.129-141). Lisse, Netherlands: Swets & Zeitlinger. 미소장
20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네이버 미소장
21 Acculturation Attitudes in Plural Societies 네이버 미소장
22 Blackwell, R., Miniard, P., & Engel, J. (2001). Consumer behavior. Orlando, Fl: Harcourt. 미소장
23 Giles, H., & Powesland, P. F. (1975). A social psychological model of speech diversity. In European Association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Ed.), Speech style and social evaluation (pp.154-181). London, UK: Academic Press. 미소장
24 Giles, H., Coupland, N., & Coupland, J. (1991). Accommodating theory: Communication, context, and consequence. In H. Giles, N. Coupland, & J. coupland (Eds.), Context of accommodation:Developments in applied sociolinguistics (pp.1-68).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5 Giles, H., Mulac, A., Bradac, J. J., & Johnson, P. (1987). Speech accommodation theory: The first decade and beyond. In M. Mclaughlin (Ed.), Communication yearbook, 10 (pp.13-48).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26 Griffin, E. (2004).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5th ed.). Boston, MA: McGraw-Hill. 미소장
27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as "Escape": Clarification of a Concept 네이버 미소장
28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29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네이버 미소장
30 Paradoxes (And Orthodoxies) of Assimila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