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성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 5개 초등학교 14개 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학생들은 남성성의 정체성을, 여학생은 여성성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비율이 높았고, 미분화된 정체성과 양성성의 정체성은 남학생들에게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족 초등학생들은 일반 가족 초등학생들보다 미분화된 정체성을 가진 비율이 월등히 높았고, 양성성의 정체성을 가진 비율은 월등히 낮았다. 이것은 5학년과 6학년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한부모 가족 초등학생들의 미분화된 성역할 정체성을 줄이고 양성성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안적 통합체육을 위한 교육모델 개발방안 탐색 유정애, 진연경 pp.973-990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의 특성 탐색 연구 강호수, 김한나 pp.51-71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셀프리더십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육명신, 박용한 pp.733-750

교과 연계를 통한 통합형 STEAM 수업 구성 : 사회과 모의 선거 활동을 중심으로 이광원 pp.113-137

초임 여교사의 수업 모습과 영향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고삼곤, 김병찬 pp.207-226

초등학교 홈페이지 학교장 인사말에 나타난 학교경영관의 특징 분석 이나영, 박수정 pp.139-162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이병준 pp.701-715

부모양육태도 차이가 청소년의 자신감과 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 pp.319-337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과학 수업의 효과 김경원, 우애자 pp.1-25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 이정아, 이윤정 pp.73-91

충청북도 기숙형 중학교 환경 및 운영에 대한 IPA 분석 : 학생 인식을 중심으로 이지혜, 김미정 pp.469-487

청각장애인 학습지원 몰입형 가상환경의 실제 적용을 위한 요구분석 : 활동이론을 바탕으로 김민정, 최동연, 윤종오 pp.815-845

텍스트구조표지를 활용한 초등사회교과서 서술 분석 :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역사영역)를 중심으로 이해영 pp.27-50

그린스쿨과 비그린스쿨 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이향연 pp.519-534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직업체험활동, 생애목표가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장희선, 윤정이 pp.271-292

자발적으로 그린 유아의 그림에 관한 질적 분석 : 유아-엄마의 관계 및 세상에 대한 이상적 측면을 중심으로 전영국, 배성아, 장용석 pp.595-618

수습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연구 : 소외 현상을 중심으로 전현욱 pp.415-444

엄마됨을 경험한 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정경수, 임부연, 김경애 pp.619-643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기관 조직문화가 교육공동체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시사 정계숙, 윤갑정, 박희경, 차지량 pp.555-576

사회와 과학 및 외국 교과서 분석을 통한 중학교 수학과 함수의 그래프 교육의 방향 탐색 김선희, 백희수 pp.445-468

2009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사회·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내용 분석 정보람, 김자경, 신보희 pp.395-413

자살예방을 위한 노인 동료 게이트키퍼 양성훈련 프로그램 효과 검증 조현진 pp.771-795

학업중단 위기 초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증진프로그램의 개발 김은실 pp.673-700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다양성수용도, 흡수학습역량, 폐기학습역량,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영주, 박남수 pp.247-269

ABCD 기반 융복합교사교육 모형 개발 연구 : 창의·인성교육 전문성을 중심으로 차윤경, 박미영, 김선아, 김정덕, 류수열, 박주호, 안성호, 전유아, 정재원, 주미경, 함승환 pp.847-876

인성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최예솔, 이하영, 진영은 pp.489-517

복습노트를 활용한 가정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습습관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지만, 김정섭 pp.355-372

복합운동과 영양교육이 초등학교 11~12세 아동의 건강체력, 혈압 및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하민성, 백영호 pp.577-593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 김현희 pp.797-814

하위유형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 관련 요인 특성 김주영 pp.339-353

협력적 실행연구를 경험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김현령, 임부연 pp.899-920

단위학교에서의 민주적 의사결정참여가 교사 협력, 수업 개선 활동 및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기수, 박혜진 pp.951-972

소외 중학생의 직업 선택 과정 및 진로 탐색 교육 방안 박성희 pp.227-245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태도에 대한 관련변인들 간 구조분석 박인숙 pp.93-112

4년제 대학 청소년상담복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국가직무표준능력(NCS) 중요도 분석 박한샘 pp.751-770

비구조화된 과제에서 질문기법의 활용이 대학생의 문제해결과 메타인지전략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 변현정, 서윤경, 최효선 pp.645-671

미술교과에서 지적재산권 보호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서제희 pp.717-732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손강숙, 정소미 pp.163-185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손혜진 pp.535-554

대학생의 진로개발준비요인 간 구조적관계 분석 :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활용 신소영, 권성연 pp.293-318
인도네시아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신우봉 pp.373-394

초등학교 아동의 성역할 정체성 특징 분석 : 한부모 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안세근, 김현욱 pp.187-206

다문화 배경 언어학습자의 과학수업 내 소집단에서의 역할 및 상호작용 양상 탐색 안완주, 주혜은, 김호정, 박희경, Sonya Nichole Martin pp.921-950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적용을 통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가치, 양육분담, 우울 간의 관계 분석 양진희 pp.877-898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heir Parent's Power and Sex-Role Identification 소장
2 김남숙(1997). 한국 성역할 검사의 수정점수 및 분류기준 산출.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Scoring the KSRI: Adjustment of the Raw Scores and Establishment of the Sample-free Cut-off Points 네이버 미소장
4 김미숙 외(2000).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생활 실태와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5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Feminine Role Orientation, Perceived Role Offensiveness in Advertising, Company Image,and Purchase Intention 소장
6 김선정(2002).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김성태(1988). 발달심리학. 서울: 범우사. 미소장
8 한국형 성역할검사(Korean Sex Role Inventory) 개발연구 소장
9 김영희(1990). 한국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김은희(2010). 진로역할지향성에 따른 지각된 진로장벽 인식과 타협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한국 TV 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소장
12 김종필(2014), TV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1993, 2003 년, 2012년 TV광고 속 여성의 성역할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2), 193-233. 미소장
13 김주희(1998).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김지아(1993).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김현주 외(2001). 한국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및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미소장
16 문혜옥(2000).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고찰. 서라벌대학, 18, 205-222. 미소장
17 민남정(2001).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과 남녀평등의식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박미정(1996).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박종인(1998). 유아의 성차에 따른 인물화 표현 특징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Development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Elementary School - aged Children 소장
21 신승일(2015). 성 역할 정체감과 운동참여종목이 20대 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양현주(2014). 성역할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우미향(2009). 한부모 가족 청소년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음정자(1993).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성역할 정체감 및 태도와의 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남성성의 다중화와 여성화 : 1996년부터 2002년까지의 남성 잡지 광고 내용 분석 소장
26 이소희 외(2003). 가족문제와 가족복지. 서울: 양지사. 미소장
27 이완섭(1992). 여고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이인호(1986). 성역할에 대한 편견과 그 수정을 위한 교육의 역할. 한국인의 남녀 역할관.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9 이정임(2008).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직업포부와의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장영철, 노성희, 박재용, 오남석, 윤희지(2015). 3세, 5세 남녀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8, 469-469. 미소장
31 정선숙(1992). 아동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2 TV공익광고 속 남녀의 성역할과 언어표현 연구 소장
33 한국 성역할 검사 (KSRI) 소장
34 정진선(2001).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 효능감 및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정진영(1993). 이혼 실태와 이혼가정 자녀들의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1), 81-108. 미소장
36 조인선(1986).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태도 및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조흥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2008).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38 최선애(1984). 부친부재가 자녀의 정서불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9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NJ: Prentice Hall. 미소장
40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네이버 미소장
41 Kohlberg, I. (1966). A cognitive- developmental analysis of children’s sex- role concepts and attitudes. in E. E,. Maccoby(Ed.). The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