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heir Parent's Power and Sex-Role Identification
|
소장 |
2 |
김남숙(1997). 한국 성역할 검사의 수정점수 및 분류기준 산출.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Scoring the KSRI: Adjustment of the Raw Scores and Establishment of the Sample-free Cut-off Points  |
미소장 |
4 |
김미숙 외(2000).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생활 실태와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5 |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Feminine Role Orientation, Perceived Role Offensiveness in Advertising, Company Image,and Purchase Intention
|
소장 |
6 |
김선정(2002).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성태(1988). 발달심리학. 서울: 범우사. |
미소장 |
8 |
한국형 성역할검사(Korean Sex Role Inventory) 개발연구
|
소장 |
9 |
김영희(1990). 한국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은희(2010). 진로역할지향성에 따른 지각된 진로장벽 인식과 타협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한국 TV 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
소장 |
12 |
김종필(2014), TV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1993, 2003 년, 2012년 TV광고 속 여성의 성역할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2), 193-233. |
미소장 |
13 |
김주희(1998).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김지아(1993).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현주 외(2001). 한국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및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
미소장 |
16 |
문혜옥(2000).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고찰. 서라벌대학, 18, 205-222. |
미소장 |
17 |
민남정(2001).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과 남녀평등의식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박미정(1996).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박종인(1998). 유아의 성차에 따른 인물화 표현 특징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Development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Elementary School - aged Children
|
소장 |
21 |
신승일(2015). 성 역할 정체감과 운동참여종목이 20대 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양현주(2014). 성역할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우미향(2009). 한부모 가족 청소년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음정자(1993).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성역할 정체감 및 태도와의 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남성성의 다중화와 여성화 : 1996년부터 2002년까지의 남성 잡지 광고 내용 분석
|
소장 |
26 |
이소희 외(2003). 가족문제와 가족복지. 서울: 양지사. |
미소장 |
27 |
이완섭(1992). 여고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이인호(1986). 성역할에 대한 편견과 그 수정을 위한 교육의 역할. 한국인의 남녀 역할관.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9 |
이정임(2008).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직업포부와의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장영철, 노성희, 박재용, 오남석, 윤희지(2015). 3세, 5세 남녀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8, 469-469. |
미소장 |
31 |
정선숙(1992). 아동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TV공익광고 속 남녀의 성역할과 언어표현 연구
|
소장 |
33 |
한국 성역할 검사 (KSRI)
|
소장 |
34 |
정진선(2001).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 효능감 및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정진영(1993). 이혼 실태와 이혼가정 자녀들의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1), 81-108. |
미소장 |
36 |
조인선(1986).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태도 및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7 |
조흥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2008).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38 |
최선애(1984). 부친부재가 자녀의 정서불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NJ: Prentice Hall. |
미소장 |
40 |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
미소장 |
41 |
Kohlberg, I. (1966). A cognitive- developmental analysis of children’s sex- role concepts and attitudes. in E. E,. Maccoby(Ed.). The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