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사회경제적 지위에서의 불평등이 정치 참여, 정치적 선호, 정당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기존의 연구 대부분은 유럽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이러한 계층/계급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거나, 있다고 해도 계층/계급의 이익과 부합되지 않는 소위 ‘가난한 보수’나 ‘강남좌파’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많은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보수화되는 ‘연령효과’나 다른 매개변수의 효과를 제대로 통제하지 않은 것에서 기인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제19대 국회의원선거의 경우 연령효과나 매개변수를 제대로 통제하면 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기권할 확률이 높아지고, ② 여러 쟁점, 특히 경제적 쟁점에서 소득 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보다 진보적이고, ③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새누리당보다는 민주통합당에 투표할 확률이 크다는 결과가 도출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및 세대 균열이 여전히 압도적이긴 하지만 한국에서도 이제 계층/계급에 따라 다른 정치적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과 그 목소리의 크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동시에 보여준다.

Is the Socioeconomic Status model which predicts that the higher in socioeconomic status a person is, the more likely he or she is to vote not applicable to Korean elections? Doesn't one's socioeconomic status affect one's political preference and choice in Korea? This paper, by empirically analyzing data from the 19th Korean General Election, claims that peopl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show different political preference from peopl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peopl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participate less in politics than peopl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If these claims have at least some validity, then it is high time to worry about the unequal political outcome caused by unequal voice between the socially advantaged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중 관계와 남중국해 분쟁 김택연 pp.41-76

중국 '성직관현(省直管縣)' 개혁과 분권화의 강화 : 거시적 비영합 게임과 미시적 영합 게임 이재영 pp.207-247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패러다임과 북한개발협력 : 새천년개발목표(MDGs)와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중심으로 박지연, 문경연, 김은영, 조동호 pp.249-275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황정미 pp.311-346

사회학적 시각을 통한 기업사 연구의 재정향 : '기업집단' 프레임과 '국책회사' 분석 조정우 pp.5-39

중국인의 한류 이용과 국가브랜드 및 한반도 통일 인식 박노일, 정지연 pp.147-176

북한의 집단정체성과 한반도 미래세대 사회통합정체성 이현주 pp.277-310

중국 외교담론의 한국적 재구성 : '중국의 북한포기론'과 '북한붕괴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영 pp.177-205

조합조직의 운영 모델에 관한 한중일 비교 연구 : 특성화·기업화 지향과 지역 지향 사이에서 미우라 히로키 pp.77-112

사회경제적 지위가 정치적 선호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제19대 한국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정준표 pp.113-145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원택 (2003). 한국의 선거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푸른길. 미소장
2 ‘Class Betrayal Voting’ in South Korean Elections 소장
3 Class Polarization and Structure of Class Politics in Korea: The Implication On New Politics for Publicness 소장
4 김성연 (2015). 한국 선거에서 투표 참여집단과 불참집단의 정책 선호와 사회경제적 배경. 아태연구. 제22권. 제4호, pp. 41-67. 미소장
5 Party Politics and Class Politics 소장
6 김영태 (2012) 정당의 정치적 동원과 투표 참여: 제19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제21집. 제3호, pp. 45-69. 미소장
7 김형준 (2008) 한국 선거의 투표율 하락 추이와 원인 고찰. 21세기정치학회보. 제18집. 제1호, pp. 93-122. 미소장
8 한국인 정치참여의 특징과 결정요인 : 2004년 조사결과 분석 소장
9 박찬욱·강원택 편 (2012). 2012년 국회의원선거 분석. 나남. 미소장
10 서복경·한영빈 (2014). 계층의식이 정책 선호 및 투표 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갑윤·이현우 편. 한국의 정치균열 구조: 지역, 계층, 세대 및 이념. 오름, pp. 139-170. 미소장
11 손낙구 (2010). 대한민국 정치사회지도. 후마니타스. 미소장
12 Change and Continuity of Political Participation From 1984 to 1995 네이버 미소장
13 강남좌파와 지식인의 아편 네이버 미소장
14 이갑윤 (2011). 한국인의 투표 행태. 후마니타스. 미소장
15 이갑윤·이지호·김세걸 (2014). 재산이 계급의식과 투표에 미치는 영향. 이갑윤·이현우 편. 한국의 정치균열 구조: 지역, 계층, 세대 및 이념. 오름, pp. 109-139. 미소장
16 A Study of Influence of Ideological Voting : Scope, Measurement and Meaning of Ideology 네이버 미소장
17 The 2012 Elections and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Class Cleavage 소장
18 전병유·신진욱 (2014). 저소득층일수록 보수정당을 지지하는가? 동향과 전망. 제91호, pp. 9-51. 미소장
19 사회경제적 지위와 투표 : 제18대 총선과 제17대 총선의 비교 소장
20 Politics of Electoral Participation: The Formal Model of Rational Choice Theory and the 17th KoreanNational Assembly Election 소장
21 최장집 (1996). 한국 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 미소장
22 최장집 (2005).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미소장
23 2012년 대선, 가난한 이들은 왜 보수정당을 지지했는가? 소장
24 King, Gary, Robert O. Keohane and Sidney Verba (1994). Designing Social Inquiry: Scientific Inference in Qualitative Research.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25 Attitudes, Opportunities and Incentives: A Field Essay on Political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26 Unequal Participation: Democracy's Unresolved Dilemma 네이버 미소장
27 Schlozman, Kay Lehman, Sidney Verba and Henry E. Brady (2012). The Unheavenly Chorus: Unequal Political Voice and the Broken Promise of American Democracy.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28 American Democracy in an Age of Rising Inequality 네이버 미소장
29 The Citizen Respondent: Sample Surveys and American Democracy 네이버 미소장
30 Verba, Sidney and Norman H. Nie (1972). Participation in America: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New York: Harper & Row.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