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개인요인, 교육요인들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밝히고, 여대생의 원만한 사회진출과 자아실현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설문은 2016년 5월 한 달간 충청도 소재 2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범계열 여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예체능계열, 인문계열, 사회계열, 이공계열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공계열은 가장 낮은 진로결정 수준을 보였다. 학년별로는 1학년의 진로결정 수준이 비교적 높았고, 3학년, 4학년 2학년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여대생의 진로결정과 환경, 교육, 개인적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과 관련된 교육요인과 환경요인은 높은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개인요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개인요인은 진로결정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종석, 박한숙 pp.113-136

대학생들의 영문법 학습 및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Kang, Hyeon Sook pp.1-26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교 역사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길말선, 남교민, 김대현 pp.631-655

K교사의 교육 연극 수업에 대한 비평적 고찰 길전혁, 심영택 pp.807-829

균형적 접근법 기반 영어지도가 초등학생 영어문해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김도형, 박성수 pp.609-629

인지치료와 명상을 기반으로 한 분노 조절 융합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청년기를 대상으로 김수연, 차윤경 pp.381-407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아학대 인식이 영아학대 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pp.563-583

초·중·고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학부모 학교참여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김은영, 이강이 pp.27-49

교사를 위한 심리적 어려움 및 지원에 대한 인식 김지연, 이자명 pp.235-260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현, 강경석 pp.137-162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정체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민혜영 pp.359-379

학교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 농촌 지역 일반고의 학교변화 과정 연구 박수정, 맹재숙, Chen Peng, 박선주 pp.163-183

신생아 간호 임상 실습 경험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및 시뮬레이션 교육 요구 조사 박수진, 지은선 pp.97-112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수신뢰의 매개효과 박진화, 이은경 pp.831-844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백목원, 권순희 pp.753-781

초등 영어교사의 발음교육 인식 및 실제 서은실 pp.783-805

이공계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및 대처전략 간의 관계 안가연, 김종운, 김미희 pp.481-498

마인드맵(mind map)을 활용한 중학교 3학년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스템 사고 분석 윤태옥, 위수민 pp.79-95

초등저학년 읽기부진아동의 구문지식 및 구문인식능력 윤효진 pp.261-278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간 감수성과의 관계에서 문화정체성의 매개효과 김수영, 테레사 편 pp.585-607

중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관계 분석 선혜연, 최희철 pp.657-672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측정도구 개발 유지원 pp.185-214

여자 대학생의 진로결정 요인 구조분석 안세근, 김현욱 pp.339-358

초등 과학영재의 집단 창의성 발현을 돕는 전략으로써 디자인적 사고의 가능성 탐색 우영진, 윤지현, 강성주 pp.433-460

예체능계 대학생의 학술적인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텍스트 분석 양태영 pp.541-562

세계문화유산의 교육적 활용 경향과 가치 탐색 이지혜, 김미경, 신동희 pp.409-432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학생의 정서문제와 학교적응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이성회, 윤지영 pp.461-480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타인 배려의 관계 분석 이태상 pp.299-317

유아요리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혜원 pp.873-892

사우디아라비아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정연희 pp.319-338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대학 수학 능력 영어 시험의 어휘 수준 및 이독성 비교 연구 조민수, 박은수 pp.215-233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조원기, 이수정 pp.673-700

Bruner의 논의에 기초한 수업의 문화생태학에 대한 시론 이윤복, 강현석 pp.725-751

학부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과목 운영 과정에서의 교사 피드백 연구 : 연세대학교의 'Beginning Korean Writing'을 중심으로 이윤진 pp.701-724

대학교육에서 진선미(眞善美)관점으로 비추어본 '좋은 수업'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방안 탐색 이은택, 최미나 pp.845-872

과학관 전시물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국립과천과학관과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남산분관)을 중심으로 이지은, 최애란 pp.51-77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및 쟁점 : 공통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소영 pp.499-519

사회복지전공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 영향요인 정명례 pp.521-539

한국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과과정 내용분석 Song-yi Lee, Jeaah Jung, Sung-eun Park pp.279-297

모바일 러닝의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소 Joo, Young Joo, Joung Sunyoung, Shin, Eui Kyoung pp.893-920

참고문헌 (4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향자(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 대졸 여성의 직업세계 이행: 저해요인과 지원체제 방안 소장
3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소장
5 김양희(2013). 한국 여대생의 문화적 성향 잠재계층 분류와 진로관련변인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김은석(2011). 여대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김정미(2004).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남윤희(2007). 2007년 신입생 실태조사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30, 1-40. 미소장
9 문미란(2002).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다중역할 갈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박재황(2011).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백지연(2008). 여대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서우석(1994).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서유진(2007). 진로장애와 낙관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손은령(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송소원(1997). 역기능적 가족구조와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심호규(2007). 부모의 진로기대와 애착수준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양난미(2005). 한국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선택 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ediated by Active Stress-Coping 소장
19 Analysis of Effects on Career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소장
20 이광희(2008). 대학생의 애착, 정서지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이복희(2005).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이성식(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이윤우 (2010).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24 이은경(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5 The immediate and continuous effects of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program using internet 소장
26 장하진 (2000). 여대생의 직업의식 실태와 정책과제. 과천: 노동부. 미소장
27 The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소장
28 정홍원(2002).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Research in th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for Female University Graduates in Low-Growth 소장
30 진미경(2000).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진로유형화와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최은영(2010).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별 특성과 진로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2 A Qualitative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career process 소장
33 탁진국, 이기학(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경영연구: 광운대학교 디지털경영연구소, 1, 167-180. 미소장
34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8). 여대생의 직업세계 인식과 청년층 취업 실태 간의격차.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35 홍순혜, 원미순(2006). 고학력 여성유휴인력의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여성연구논총, 2, 93-123. 미소장
36 Betz, N. E., & Fitzgerald, L. F. (1987). The career psychology of woman. Orland, FL : Academic Press. 미소장
37 Fitzgerald, L. F., Fassinger, R. E., & Betz, N. E. (1995).Theoretical advances in the study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67-110). NJ: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38 Across Academic Domains: Extensions of the Social-Cognitive Career Model 네이버 미소장
39 Ginzberg, E. (1966). Life-styles of educated american wome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40 The Undecided Studen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41 Gysbers, N. C., Heppner, M. J., & Johnston, J. A. (2003).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2nd ed.). New York: Allyn & Bacon. 미소장
42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43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44 Perry, W. G. (1970). Forms of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in the college years: A scheme.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미소장
45 Career Choice Goals: The Contribution of Vocational Interests, Contextual Support, and Contextual Barrier 네이버 미소장
46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2nd ed)197-261. Jossey-Bass. 미소장
47 Decision and Vocational Development: A Paradigm and Its Implication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