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뉴스프레임의 유형 = The News Frame Type by Qualitative Meta-Synthesis : On Korean News Frame Studies : 국내 117개 프레임 연구를 대상으로 이희영, 김정기 pp.7-38
다문화 재현과 이주민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관계 및 정체성 =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 Issues and Immigrants' Media Use, Social Relations and Identity : Focusing on International Marriage Women's Voice in Jeju : 제주 결혼이주여성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정의철, 정용복 pp.39-67
일제 강점기 뉴욕 한인언론의 특성과 역할 = The Characteristics and Role of Korean American Media in New York Cit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박용규 pp.68-94
언론사 연구대상과 범위를 크게 확대하다 = Greatly Expand the Scope and Subject of Study : Cha, Bae Keun's Researches o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History : 차배근의 언론사 연구 김영희 pp.95-119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 정부기관 루머에 대한 인터넷 공중의 개입과 책임귀인 간 관계 탐색 차유리, 권예지, 나은영 pp.120-150

단계적 순응 기법 비교 및 단계 연장연구 = Increasing Collegian Mentors by Employing Compliance Techniques : Foot-in-the-Door versus Door-in-the-Face : 다문화 학생을 위한 대학생 멘토 모집에의 적용 차동필 pp.151-168
국내 언론의 STAP세포 사건 보도태도 = A Comparative Analysis : Focusing on Korean Media's Coverage of STAP Cell Research Fabrication Issue : 황우석 보도 '교훈'의 실종 원인분석을 중심으로 김한별, 진달용 pp.169-202
1994~2014년 한국 경제뉴스의 변화 = Changes in South Korean Economic News from 1994 to 2014 : Focusing on the Watchdog Role of Journalism : 언론의 감시견 역할을 중심으로 이나연, 백강희 pp.203-231
외향성과 연령대에 따른 소통공간 인식의 차이 : 공간지각, 시간배분 및 연결성과 공존감을 중심으로 나은영, 권예지 pp.235-262

결합판매로 인한 시장지배력 전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Leveraging of Market Power through Bundling : Focusing on a Case of Mixed Combination of Enterprise between SK Telecom and CJ HelloVision :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간 혼합형 기업결합 사례를 중심으로 강재원 pp.263-293
청소년의 연예인에 대한 관심과 섭식장애 =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nterests in Celebrities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Based on the Concept of Celebrity Worship : 연예인 숭배 개념을 중심으로 심재웅, 황재원 pp.328-349
<세월호 특별법>에 대한 의견구성에서 죽음 현저성이 의견극화와 이타적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거리와 집단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영욱, 이지영 pp.297-327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대원 (편) (1959). 세계신문소사. 서울: 서울신문학원. 미소장
2 김근수 (1992). 한국잡지사연구. 서울: 한국학연구소. 미소장
3 美國新聞界의 現況 소장
4 新民族主義史學論 네이버 미소장
5 Appearanc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arly journalism education in Korea 소장
6 김영희 (2013). 일제강점기 한국 언론사연구와 안재홍의 “조선신문소사”. 한국언론정보학보, 64, 85-108. 미소장
7 The Concept Analysis Related to Journalism of the Editorials in The Independent(The Doklip Shinmoon):A Case Study of the Corpus Utilization 소장
8 학문적 초심을 노년까지 그대로 지키는 귀감 네이버 미소장
9 달지차배근교수정년기념문집간행위원회 (편) (2007). 達支차배근교수정년기념문집 S-M-C-RE . 파주: 나남, 미소장
10 Korean Studies and National History during 1930s: Exploring An Chae-Hong's narrative 소장
11 미국공보원 (1948). 미국신문론. 신문평론, 4, 42-45. 미소장
12 美國新聞의 이모저모 소장
13 박정규 (1978). 조보의 기원에 대한 연구. 신문연구소학보, 15, 115-134. 미소장
14 박정규 (1982). 조선왕조시대의 전근대적 신문에 관한 연구: 朝報와 그 유사물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안재홍 (1927, 1, 5~9). 조선신문사론. 조선일보. 미소장
16 안재홍 (1935, 7, 6~26). 조선신문소사.〈조선일보〉.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1992).〈쩌날리즘․新聞評論〉 영인본 1~5호(1947~1948)에 재수록. 한국언론전문지총서 2. 미소장
17 연세춘추동인회 (편) (1995). 연세춘추 60년: 1935~1995. 서울: 연세춘추동인회. 미소장
18 유길준 (1895). 서유견문(西遊見聞). 허경진 (역) (1995). 서울: 한양출판. 미소장
19 이상철 (1982). 커뮤니케이션발달사. 서울: 일지사. 미소장
20 미국 언론에 대한 본격 교과서 : 「미국신문발달사」, 차배근 저 <서평> 소장
21 이진한 (2011). 손진태의 삶과 신민족주의 사학의 전개.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 (편), 납북민족지성의 삶과 정신 (173-207쪽). 서울: 선인. 미소장
22 이해창 (1971). 한국신문사 연구. 서울: 성문각. 미소장
23 임근수 (1967). 신문발달사. 서울: 정음사. 미소장
24 동양에 있어서의 근대신문의 생성 과정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소장
25 임근수 (1973). 20세기 초반의 동양에 있어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 중, 일을 중심으로. 신문연구소학보, 10, 3-51. 미소장
26 임근수 (1974). 20세기 초반의 동양에 있어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승전): 한, 중, 일을 중심으로. 신문연구소학보, 11호. 3-50. 미소장
27 韓國 커뮤니케이션史 硏究의 方法에 關한 考察 소장
28 장봉조 (1928). 中國新聞史 개관. 현대평론, 2(1). 국학자료원 (1993). 영인판, 43-55. 미소장
29 정진석 (1990). 한국언론사. 서울: 나남. 미소장
30 차배근 (1976). 커뮤니케이션학 개론. 서울: 세영사. 미소장
31 차배근 (1979).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미소장
32 우리나라 新聞放送學 敎育實態에 관한 基礎調査 硏究 소장
33 차배근 (1988). 커뮤니케이션학 개론: 상. 서울: 세영사. 미소장
34 차배근 (1989). 한국 언론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언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토론회 주제논문집 언론학 교육의 성찰 (3-62쪽). 서울: 한국언론학회. 미소장
35 차배근 (1990). 사회과학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미소장
36 韓國言論學敎育의 問題點과 課題 : 學部 敎科課程을 中心으로 소장
37 차배근, 차경욱 (2013). 사회과학 연구방법: 실증연구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미소장
38 천관우 (1963). 한국 新聞前史의 몇 가지 문제. 고재욱선생화갑기념논총편찬위원회 (편), 민족과 자유와 언론 (411-444쪽). 서울: 일조각. 미소장
39 최남선 (1935). 古事千字.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편찬위원회 (편) (1973). 육당최남선전집 4 (79-129쪽). 서울: 현암사. 미소장
40 최상철 (1996). 중국조선족언론사. 마산: 경남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41 한국언론학회 (2001). 언론학 교과목 현황 자료집. 서울: 한국언론학회. 미소장
42 홍동호 (편) (1956). 신문론: 신문, 사회, 기자. 서울: 정양사. 미소장
43 Mott, F. L. (1962). American Journalism: a history, 1690-1960. New York, NY: Macmilla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