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교원의 인식을 통해 본 교직의 현상과 향후 전망 / 조석훈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4

1. 분석 자료 4

2. 분석 방법 6

III. 교직의 현상 7

1. 교직의 신뢰 모델 7

2. 교직의 정체성과 인간관계 10

3. 교직에서 교원의 만족 추구 모델 12

IV. 교직의 향후 전망 16

1. 교직에서 교원의 책임과 교직 개방 16

2. 교직 정체성의 모순 18

3. 헌신형의 감소와 비용 증가 19

V. 결론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원의 인식을 통해 본 교직의 현상과 향후 전망 = The phenomenon of teaching profession and the future which are represented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조석훈 pp.1-26

보기
대학수업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Analysis Tool for College Classes 김광현, 조규락 pp.27-62

보기
초등 신규교사 배치로 살펴 본 교사쏠림 현황과 특성 = Analyzing Teacher Resource Allocation and Beginning Teachers Sorting Across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Buk-Do 김경원, 정성수 pp.63-86

보기
초·중등학교 학사운영 다양화 정책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조사 연구 =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bout Diversification Policy of School Management 김왕준, 박주형 pp.87-110

보기
교사의 인성, 실무능력, 중학생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Survey Research on Developing A New Teacher Education System : Enhancing Teachers'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Practical Work, and Middle School Student Guidance 박수정, 박상완, 박용한, 이길재, 이인회 pp.111-138

보기
교사 평가와 교사 전문적 자본의 관계 분석 =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Teacher Evaluation and the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 Focused o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이승호, 김근진, 김민아 pp.139-163

보기
중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iddle School Teachers on Students' Creativity 김이경, 김경현, 민수빈 pp.165-187

보기
유아교사를 위한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에 대한 의미 고찰 =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about Play Free-Choice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강민정 pp.189-211

보기
교사 의복에 대한 고정관념 연구 = The Study on the Stereotype of Teacher clothing : Focused on Korean Movies and Soap Operas : 한국 영화 및 드라마를 중심으로 이승호, 박세준, 한송이, 허소윤, 진동섭 pp.213-241

보기
예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진단평가 수업에서의 어휘-선택 CBM 활용 가능성 탐색 = Examining Applicability of Vocabulary-Matching CBM in a Content Class of Assessment for Empowerment of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박윤정, 강은영 pp.243-264

보기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Vice Principals' Communication Type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s 윤창희, 김왕준 pp.265-288

보기
자기성찰을 위한 교사 공동체 안에서의 자서전 쓰기 과정에 따른 교사들의 경험 =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Experiences in the Teacher Community focusing on Self-reflection 조덕주 pp.289-318

보기
학교 내 수업연구모임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 with Participation in Lesson Study Group in a School 이승현, 한대동 pp.319-344

보기
유아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 Teachers' Perception & Current State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 Character Education 서희전, 김혜정 pp.345-374

예비교사의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내러티브 기반의 교직과목 교육 탐구 =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Basic Competencies through Narrative-based Teaching Profession Courses 조인숙 pp.375-401

보기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와 교사에 대한 학생 인식이 중·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 The Longitudinal Study of on the Effect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ing and Students' Perceptions to Teachers on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 주영효, 정주영, 박균열 pp.403-430

보기

참고문헌 (5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직관의 법제적 수용과 과제 소장
2 교원 성과상여금 평가 특징 분석 소장
3 권지영(2014). 인문계 고등학교 담임교사 기피요인 분석.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교육개혁위원회(1995).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제2차 대통령 보고서. 미소장
5 교육과학기술부(2012a). 전국초‧중‧고 학생 대상 학교폭력 실태 전수 조사 실시. 보도자료, 2012년 1월 18일. 미소장
6 교육과학기술부(2012b). 학교폭력 해결 기여교원에 가산점 부여 추진. 보도자료, 2012년 7월 11일. 미소장
7 교육과학기술부(2012c). 교권보호 종합대책. 보도자료, 2012년8월 28일. 미소장
8 교육부(2015). 2015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 2015년 12월1일. 미소장
9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5). 2015 교육통계 분석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0 교육인적자원부(2001).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하는 교직발전종합방안. 미소장
11 주요국의 학교 인력 구조 및 직무 특성 연구 소장
12 교육개혁 추진을 위한 현장교사들의 인식과 실천방안 소장
13 study on the motiv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entrance into teachers college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소장
14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소장
15 김오선(2005). 초등학교 담임 배정에 관한 실태 및 의견조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김이경, 정수현, 박호근, 박상봉(2011). 교원사기 진작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17 김혜숙, 박선환, 박숙희, 이주희, 정미경(2008). 인간관계론. 파주: 양서원. 미소장
18 박근덕, 김은희, 홍의표, 이경희(2015). 인권친화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서울:서울특별시교육청. 미소장
19 박병기(1998). 장이론. 교육과학사. 미소장
20 교사 사기 구성요인 탐색 및 수준 차이 분석 연구 소장
21 서울특별시교육청(2016). 2016년 2월말 명예퇴직 희망 서울교원 63.3% 수용. 보도자료, 2016년1월 21 일. 미소장
22 The Search for a Solution to Overcome the Crisis in School Education Based on an Ecological Analysis: Trust in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소장
23 염철현(2013). 미국 오바마2기 정부의 교육정책 방향과초·중등교육의 미래.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4 Structural Analysis of Interdependece, Conflict, Trust and Educational Quality in School Organization 소장
25 이미혜(2016). 초등교원의 명예퇴직 결정 과정 연구. 가천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이민원(2007). 중등 중견 남교사들의 승진문화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초등학교 교원의 세대 간 상호인식도와 세대갈등에 대한 조사연구 소장
28 임소현, 강영혜, 김흥주, 조옥경(2015).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9 임영숙(2012). 교원승진제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욕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전국교직원노동조합(2011). 체벌 금지 및 학생인권조례는 88.7%의 교사가 교육적으로 타당한 정책으로 평가. 보도자료, 2011년 4월 20일. 미소장
31 전제상, 정수현, 주현준, 김석태, 반채익, 이재훈(2010). 교원성과급제도의 자율성 확대 및 개선방안연구.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32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Educators’ Professional ‘Teaching Happiness’ -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ommitment of Korean educators in previous research - 소장
33 수요자 중심 교육체제의 입장에서 ‘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재해석 소장
34 교육기본법의 입안과 제정 과정 소장
35 School Experience of Student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s for four weeks 소장
36 조석훈(2005). 학교혁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공교육 활성화·능동적인 학교경영. 경상남도 교육청중등학교장 리더십 연수 자료(31-55). 창원: 경상남도교육연수원. 미소장
37 The Contour of Professionalism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소장
38 한국교총(2004). 교육공동체인식 설문조사. 미소장
39 한국교총(2006). 교육현안에 대한 교원 인식 조사. 미소장
40 한국교총(2007). 교육현안에 대한 교원 인식 조사. 미소장
41 한국교총(2008). 스승의 날 관련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08년5월 13일. 미소장
42 한국교총(2009). 스승의 날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09년5월 14일. 미소장
43 한국교총(2010). 교육공동체 인식 설문조사. 미소장
44 한국교총(2011). 제30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1년5월 12일. 미소장
45 한국교총(2012). 제31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2년5월 14일. 미소장
46 한국교총(2013). 행복교육을 위한 교육공동체 인식 조사. 미소장
47 한국교총(2015). 제34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5년5월 14일. 미소장
48 한국교총(2016). 제35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6년5월 12일. 미소장
49 한국교총(2016b). 2015년도 교권 회복 및 교직상담 활동실적. 미소장
50 허병기(1994). 교직성격 고찰: 교직의 전문직성에 관한 반성적 고찰, 교육학연구, 32(1), 49-77. 미소장
51 Barnard, C. I. (1938). The Function of the Executive. 송기철 역(1990). 경영자의 기능. 현대경영대백과 20권. 서울: 최고경영자연구원. 미소장
52 Sunk Cost, Emotion, and Commitment to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53 Day, C., Elliot, B., Kington, A. (2005). Reform, standards and teacher identity: Challenges of sustaining commitmen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563-577. 미소장
54 Teacher commitment: Exploring associations with relationships and emotions 네이버 미소장
55 Lazarus, R. S.(1991). Emotion &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6 Lunenburg, F. C. (2012). Compliance theor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cholarly Academic Intellectual Diversity, 14(1), 1-4. 미소장
57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네이버 미소장
58 Roethlisberger, F. J., Dickson, W. J. (1939). Management and the Worker: An Account of a Research Program conducted by the Western electric company, Hawthorne works, Chicago. Cambridge, Mass: Harvard Univ. Press. 미소장
59 Risk as Analysis and Risk as Feelings: Some Thoughts about Affect, Reason, Risk, and Rationality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