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어휘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and Vocabulary Ability Based on Children's Family Income / 김은지 ; 김명순 ; 손승희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4
1. 연구대상 4
2. 연구도구 5
3. 연구절차 7
III. 연구결과 8
1.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의 차이 8
2.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어휘력의 차이 8
3. 가정의 소득수준별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어휘력간의 관계 9
IV. 논의 및 결론 9
참고문헌 13
Abstract 16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Emergent Literacy Ability and Writing Development ![]() |
미소장 |
2 |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 읽기·쓰기 흥미 및 어휘발달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3 |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지침서. 서울: 서울장애인 복지관. | 미소장 |
4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 소장 |
5 | 박주영 (2013). 부모의 문해 태도,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환경인쇄물 및 어휘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6 | 보건복지부(2012). 저출산 고령화 정책; 보육·교육비 지원 확대. 보건복지부 웹 사이트 http://www.mw.go.kr에서2012년 1월 4일 인출. | 미소장 |
7 | 손승희 (2012).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 검사의 개발 및 유아의 연령과 부모 문해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8 | 신유정 (2005). 가정의 소득수준과 교실 문해환경이 아동의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9 |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 소장 |
10 | 위스타트 (2016). 위스타트 주요사업. 위스타트 웹 사이트 http://www.westart.or.k에서 2016년 9월 2일 인출. | 미소장 |
11 |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어휘력 및 인쇄물 개념 간의 관계 | 소장 |
12 | 최은영 (2010). 초기문해기술이 유아의 단어읽기와 단어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3 | Differences in early literacy skills relating to age and family socio-economic status | 소장 |
14 | 한나영 (2011). 저소득층 밀집지역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만 4·5세 유아의 수용·표현 언어발달, 어휘력, 단어읽기비교: G시 저소득층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5 | 황현이 (2005). 가정의 소득 수준과 아동의 언어능력 및 가정문해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6 | Anderson, G., & Markle, A. (1985). Cheerios, mcdonald's and snickers: Bringing EP into the classroom. Reading Education in Texas, 30-35. | 미소장 |
17 | Anderson, A. B., & Stokes, S. J. (1984). Social and institutional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literacy. In H. Goelman, A. Oberg, & F. Smith(Eds.), Awakening to literacy. Exeter, NH: Heinemann. | 미소장 |
18 | Reliability optimization of coherent systems ![]() |
미소장 |
19 | Incidental Word Learning in Science Classes ![]() |
미소장 |
20 | Clay, M. (1975). What did I write? Exeter. New Have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 미소장 |
21 | Environmental print and word reading ![]() |
미소장 |
22 | "N Spell My Grandmama": Fostering Early Thinking about Print ![]() |
미소장 |
23 | Gestwicki, C. (2014).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5th ed.). C.A.:Wadsworth, Cengage Learning | 미소장 |
24 | Children Write Their World: Environmental Print as a Teaching Tool ![]() |
미소장 |
25 | Goodman, Y. (1986). Children coming ti know literacy. In W. H. Teale & E. Sulzby, Emergent literacy. Norwood, NJ: Ablex. | 미소장 |
26 | Goodman, Y., & Haussler, M. (1986). Literacy environment in the home and community. In D. R. Tovey, & J. E. Kerber(Eds), Roles in literacy learning: A new perspective.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미소장 |
27 | Goosby, B. J. (2003). The impact of poverty duration on youth behavioral and cognitive outcom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28 | Harste, J., Woodward, V., & Burke, C. (1985). Language stories and literacy lessons. Portsmouth, New Hampshire: Heinemann. | 미소장 |
29 | Heath, A. (1994). Attainment and behavior of children. Oxford Review of Education, 20(3), 317-327. | 미소장 |
30 | Prereaders’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print: Characteristic trends in the process ![]() |
미소장 |
31 | Environmental Print and the Kindergarten Classroom. ![]() |
미소장 |
32 | Korat, O. (2005). Contextual and non-contextual knowledge in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A comparison between children from low SES and middle SES communit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 220-238. | 미소장 |
33 | The Impact of Environmental Print Instruction on Early Reading Ability ![]() |
미소장 |
34 | When Do Children Begin to Read: An Exploration of Four Year Old Children's Letter and Word Reading Competencies ![]() |
미소장 |
35 | McGee, L. M., & Richgels, D. J. (2011). Literacy's beginnings(6th ed.). M.A.: Pearson. | 미소장 |
36 | Miller, L. (1998). Literacy interactions through environmental print. In R. Campell(Eds.), Facilitating preschool literacy.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미소장 |
37 | Access to Print for Children of Poverty: Differential Effects of Adult Mediation and Literacy-Enriched Play Settings on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Print Tasks ![]() |
미소장 |
38 | Ninio, A. (1980). Picture-book reading in mother-infant and other maternal attitudes in two subgroups in Israel. Child Development, 51, 587-590. | 미소장 |
39 | Paratore, J. R., Melzi, G., & Krol-Sinclair, B. (1999). What should we expect of family literacy? Experience of Latino children whose parents participate in an intergenerational literacy project.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미소장 |
40 | Stories, Coupons, and the "TV Guide:" Relationships between Home Literacy Experiences and Emergent Literacy Knowledge ![]() |
미소장 |
41 | Ramey, C. T., & Campbell, F. A. (1991). Pover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ademic competence: The Abecederian experiment. In A. Huston(Ed.), Children read in poverty. NY: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2 | Shaffer, G. L., & McNinch, G. H. (1995). Parent'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int. In W. M. Linek & E. G. Sturtevant (Eds.), Generations of Literacy: The seventeenth yearbook of the College Reading Association. Harrisonberg, VA: College Reading Association. | 미소장 |
43 | Literacy Concepts of Low- and Middle-Class Four-Year-Olds Entering Preschool ![]() |
미소장 |
44 | Teale, W. (1986). Home background and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In W. H. Teale &E. Sulzby(Eds.),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pp. 173-206). Norwood, NJ: Ablex. | 미소장 |
45 | Using popular culture print to increase emergent literacy skills in one high-poverty urban school district ![]() |
미소장 |
46 | Vukelich, C., Christie, J., & Enz, B. (2012). Helping young children learning language and literacy:birth through kindergarten (3rd ed.). Boston, MA: Pearson. | 미소장 |
47 | Wells, G. (1986). The meaning makers: Children learning and using language to learn. Portsmouth, NH: Heinemann. | 미소장 |
48 | Child Development and Emergent Literacy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