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중국 조선족 문학은 중국 역사와 궤를 같이 하면서도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중국 조선족 문단은 중국의 그 어떤 소수민족보다 먼저 작가협회를 만들어 한민족의 문학을 계승하여 왔고, 그 결과 중국 조선족만이 중국작가협회 지역분회와 연변작가협회에 이중 등록이 가능한 권리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 조선족 문학이 중국 문학의 한 부분이면서도 소수민족 문학으로서의 독자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중국 조선족 문학의 노정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연변문예』의 역사이다. 『연변문예』는 문화대혁명으로 정간되기 이전까지 총 157호가 발간되어 200여 편이 넘는 소설이 발표되었고, 이 시기 거의 유일한 문학의 장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연변문예』는 중국 조선족 문학이 기반을 마련하고 전개하는 시기에, 자신들만의 문학적 특성을 분명하게 만들기 위한 틀을 제공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Literature society of ethnic Korean have tried to maintain the unique identity of their own while getting along with the history of China. They have made the writter's association earlier than any other ethic minority living in China and have succeeded Korean literature. As a result, only ethnic Korean have secured the right to double register to both Chinese writer's association branch and Yanbian writer's association at the same time. Such a fact can be recognized as a their efforts to maintain the identity while being a part of China's literature world. The history of 『Yanbian Literature』 indicates the road of ethnic Korean literature it has walked. Before the suspension of publication due to Cultural Revolution, 『Yanbian Literature』 had been published to 157th issue with more than 200 novels, playing a sole and the only role for literary encounter at this time. Thus, 『Yanbian Literature』 can be said that it has provided the frame to make the ethnic Korean's literature characteristics more distinguishable during the period when they were preparing and fledgling out the found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만주국'의 문화통치정책과 연극 활동의 변화 양상 = The Culture Governing Policy of Manchukuo and the Transition Aspect of Theatrical Movements : Focused on the Chinese theatrical movements : 중국인 연극을 중심으로 이복실 pp.5-38
『연변문예』소재 중국 조선족 소설 연구 = Research on novels written by ethnic Koreans of『Yanbian Literature』 : focused on novels before Cultural Revolution : 문화대혁명 이전 소설을 중심으로 김은아 pp.39-67

기호학적 담론을 통해 본 정지용·이상·박태원의 상관관계 = The Correlation of Jeong Ji-yong, Yi Sang, Park Tae-won through Semiotic Discourse : Focusing on Works of Before & After Guinhoi Activities : 구인회 활동 전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태상 pp.69-117
광수와 나혜석의 기독교 인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Yi Gwang-su and Na Hye-seok's Christianity 유정숙 pp.119-150

문학작품에 나타난 형제 관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Toji」and「Heungbujeon」 : Focus on brother relation : 「토지」와「흥부전」을 중심으로 서현주 pp.151-177
신화에서 비신화적 이야기로의 전승양상 연구 = A Study on Aspects of Transmission of Myths to Demythologized Stories : focusing on <The Song of the Nibelungs> and <Birth Myth of Paekje> : <니벨룽겐의 노래>와 <백제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송민규 pp.179-205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연변문예』, 1951.6 ~ 『연변문예』, 1951.11. 미소장
2 『연변문예』, 1954.1 ~ 『연변문예』, 1956.12. 미소장
3 『아리랑』, 1957.1 ~ 『아리랑』, 1958.12. 미소장
4 『연변문학』, 1959.1 ~ 『연변문학』, 1961.4. 미소장
5 『연변』, 1961.5 ~ 『연변』, 1966.9. 미소장
6 The Form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and its Literary World 네이버 미소장
7 김종회, 「중국 조선족 문학의 어제와 오늘 : 한민족 문화권의 새로운 영역」, 『국어국문학』 130, 국어국문학회, 2002. 미소장
8 Korean Chinese Novels and Establishment of Minority Nationalism 소장
9 서령, 「중국 조선족 소설 연구」,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10 송현호 외, 『중국 조선족 문학의 탈식민주의 연구』 I, II, 국학자료원, 2008. 미소장
11 오상순 외, 『중국조선문학사』, 민족출판사, 2007. 미소장
12 이광일, 『해방 후 조선족 소설문학 연구』, 경인문화사, 2003 미소장
13 장덕준, 『중국조선족 문학의 어제와 오늘』, 푸른사상, 2006. 미소장
14 An Essay on the Literary Criticism of a Chinese-Korean People 소장
15 조선일 · 권철 외, 『중국조선족문학사』, 연변인민출판사, 1991. 미소장
16 최병우, 『조선족 소설의 틀과 결』, 국학자료원, 2012. 미소장
17 게오르그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98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