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연변문예』, 1951.6 ~ 『연변문예』, 1951.11. |
미소장 |
2 |
『연변문예』, 1954.1 ~ 『연변문예』, 1956.12. |
미소장 |
3 |
『아리랑』, 1957.1 ~ 『아리랑』, 1958.12. |
미소장 |
4 |
『연변문학』, 1959.1 ~ 『연변문학』, 1961.4. |
미소장 |
5 |
『연변』, 1961.5 ~ 『연변』, 1966.9. |
미소장 |
6 |
The Form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and its Literary World  |
미소장 |
7 |
김종회, 「중국 조선족 문학의 어제와 오늘 : 한민족 문화권의 새로운 영역」, 『국어국문학』 130, 국어국문학회, 2002. |
미소장 |
8 |
Korean Chinese Novels and Establishment of Minority Nationalism
|
소장 |
9 |
서령, 「중국 조선족 소설 연구」,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10 |
송현호 외, 『중국 조선족 문학의 탈식민주의 연구』 I, II, 국학자료원, 2008. |
미소장 |
11 |
오상순 외, 『중국조선문학사』, 민족출판사, 2007. |
미소장 |
12 |
이광일, 『해방 후 조선족 소설문학 연구』, 경인문화사, 2003 |
미소장 |
13 |
장덕준, 『중국조선족 문학의 어제와 오늘』, 푸른사상, 2006. |
미소장 |
14 |
An Essay on the Literary Criticism of a Chinese-Korean People
|
소장 |
15 |
조선일 · 권철 외, 『중국조선족문학사』, 연변인민출판사, 1991. |
미소장 |
16 |
최병우, 『조선족 소설의 틀과 결』, 국학자료원, 2012. |
미소장 |
17 |
게오르그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987.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