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성정순(1927년생)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의 여성체육은 어떤 모습이었고,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다. 성정순은 1920년대 후반에 출생하여 일제 강점기에 초 ・중 ・고등학교를 거쳐 1945년 해방 직후 우리나라 최초로 체육학과가 개설된 이화여자전문학교(현 이화여자대학교) 체육학과의 1회 입학생이자 1949년 체육학과 1회 졸업생이었다. 따라서 일제 강점기의 체육 경험을 언어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제 강점기 여성체육에 대한 성정순의 구술생애사는 큰 의의가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비록 소수의 상류층에게만 해당되었지만, 여성에게도 교육의 기회가 주어졌다. 여학생만을 위한 학교가 개교하였고, 정규과목에 체조가 포함되면서 여성체육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또한 여학교에서는 체육 정규과목 외에도 과외체육으로 방과 후 체육 활동과 엘리트체육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일본은 제국주의아래 군사적 목적으로 교육 체계를 통제하였지만, 일제 강점기의 여학교에서는 다양한 근대적 체육활동이 시작되고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제 강점기의 여성체육 = Women's Spor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Jung-Soon Sung's Life Oral History : 성정순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이보나, 허현미 pp.1-17

≪영화 그들만의 리그(1992)≫에 대한 여성스포츠역사 및 사회적 성 역할 관점의 '교육적' 읽기 = Reel Sport in Sport Studies Class : Teaching History of Women's Sport andthe Critical Theme of Sport & Gender with the film ≪A League of Their Own(1992)≫ 서재철 pp.19-39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 인지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 분석 = Associations between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 Clubs, Self-Rated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South Korean Adolescents 송윤경, 이은영, 전용관 pp.41-56

학교 스포츠클럽 강사의 경력몰입, 직무탈진감 및 경력변경의도의 구조적 관계 =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areer Commitment, Job Burnout, and Career Withdrawal Intention on School Sports Club Instructor 성수용, 원영신, 김지훈 pp.57-71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동기, 재미, 수업만족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un Factors, and Class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o Continuance Intention 홍성광, 전선혜 pp.73-93

스쿼시 선수들의 심판판정 인식에 대한 귀납적 내용 분석 = An Inductive Analysis for Squash Player's Cognizance of Referee Judgement 이병혁, 이소미 pp.95-106

초등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Violences : Focusing on After-School Sports Participation : 방과 후 스포츠 참여를 중심으로 정우석, 박형란 pp.107-120

유아체육활동이 유아들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preschoolers 이예훈, 진연경, 전선혜 pp.121-137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가르치는 무용가(Dance Teaching Artist)'의 전문성 형성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 Grounded theory approach on Dance Teaching Artists' Professionality Formation Proces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김지영, 이원일 pp.139-154

교양댄스수업 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대인행동과 수업몰입의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Teaching Inter-personal Behavio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Dance Classes And Class Flow 정문미, 원영신, 이민규 pp.155-170

대학 축구 선수들의 커리어 회복탄력성과 지각된 팀 성과간의 관계에서 커리어 정체성의 매개효과 검증 =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identity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of university male football players 홍은아, 정예지 pp.171-189

웹기반 신체활동증진서비스의 주요 내용 분석과 활성화 방안 = Content Analysis of The Web-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ervice and A study for it's Vitalizing Strategy 오자왕, 한연오 pp.191-208

피트니스센터 여성회원들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itness Service Scape Attributes to Women participating Fitness using the IPA Method 남궁진, 배정섭, 원도연 pp.209-231

여성 스포츠 선수 매력자본 구성요소의 이해 및 탐색 = Understanding Erotic capital for sporting women 김가영, 김유겸 pp.233-251

초중등 여학생의 좌식행동 상관요인 = Correlates of Sedentary Behaviour among Girls : Age, Physical Activity, and Adiposity : 연령, 신체활동, 체지방률 이은영, 안기용, 민지희, 전용관 pp.253-268

대학 무용 전공수업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피드백 유형과 내적동기가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Perceived feedback type of instructors and intrinsic motivation influences the performance confidence of college level dance majoring students 윤서진, 이지항, 최희순 pp.269-284

수행을 결정하는 뇌파패턴은 동일한가? = Is Cortical Activation Pattern-related to Performance similar? : Case Study of Elite Shooters : 사격선수 사례연구 김지호, 우민정 pp.285-298

청소년 우울 위험군의 개인적, 심리적, 환경적, 인지적 특성 = Individu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Cognitive Factors in Adolescent at High Risk of Depression 이한아, 우민정 pp.299-310

신체활동 연구에서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의 의미와 검사방법, 연구현황 및 기전 = Executive Function in Physical Activity Research : An Overview of Concepts, Definitions, Mechanisms, Assessment and Research Issues 박세윤 pp.311-329

성찰적 훈련일지를 통한 반성적 사고수준의 변화 분석 = Analysis of Reflective Thinking, Through Reflective Training Journal Writing 석류, 임신자 pp.331-352

유산소운동유형이 여성노인의 BDNF 및 대뇌피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erobic Exercise Style on BDNF and Cerebral Cotex of Elderly Females 한정규 pp.353-367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애영(2006). 한국개화기 기독교계 학교의 체육활동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 김성학(2009). 근대 학교운동회의 탄생-화류에서 훈련과 경쟁으로. 한국교육사학회지, 31(1), 57-94. 미소장
3 김성학(2011). 근대 학교운동회의 팽창-그 실태와동인. 한국교육사학회지, 33(1), 1-46. 미소장
4 김숙자(2007). 한국사회발전과 여성체육. 서울: 대경북스. 미소장
5 Children in the large Family 네이버 미소장
6 김정란(1993). 일제하 한국 여성체육의 전개양상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7 김태희(1992). 일제하 한국민족주의적 체육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8 대한체육회(2010). 대한체육회 90년사Ⅰ. 대한체육회. 미소장
9 박덕수(2008) 일제하 민족주의 체육활동 성립과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 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0 박상훈(2006) 한말 체육보금과 일제 식민지하의 민족주의 체육활동. 석사학위 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1 배재80년사 편찬위원회(1965). 배재80년사. 배재학당. 미소장
12 변창섭(1992). 개화기 체육의 민족주의적 성격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3 숙명여자대학교(2006). 숙명 100년사. 숙명여자대학교. 미소장
14 윤택림 (2000). 신현경 할머니의 생애사. ‘주민 생애사를 통해 본 20세기 서울 현대사’. 서울학연구소. 미소장
15 윤택림 ・함한희 (2006). 새로운 역사쓰기를 위한구술사 연구 방법론. 서울:아르케. 미소장
16 이광섭(1988). 목표변천에 따른 체육교육의 미래전망. 학교체육연구회. 미소장
17 이율희(2002) 일제하 민족주의 체육활동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8 이화100년사 편찬위원회(1994). 이화100년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9 韓國文學論叢 네이버 미소장
20 정삼현, 이동건(1991). 일제 무단통치하 한국사회체육의 민족주의적 성격에 관한 연구, 동아대 부설 스포츠사회과학연구논문, 9, 21-30. 미소장
21 함한희 (2010)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구술사 연구 1(1), 7-47. 미소장
22 100인의여성체육인(2014). 한국여성체육 100년사. 제1권 여성과 학교체육. 서울: 대경북스. 미소장
23 100인의여성체육인(2016). 한국여성체육 100년구술생애사. 서울: 대경북스. 미소장
24 Spivak, G. C. (1988). Can the Subaltern Speak? In C. Nelson & L. Grossberg (Eds.),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pp. 271–313).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