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곽애영(2006). 한국개화기 기독교계 학교의 체육활동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 |
김성학(2009). 근대 학교운동회의 탄생-화류에서 훈련과 경쟁으로. 한국교육사학회지, 31(1), 57-94. |
미소장 |
3 |
김성학(2011). 근대 학교운동회의 팽창-그 실태와동인. 한국교육사학회지, 33(1), 1-46. |
미소장 |
4 |
김숙자(2007). 한국사회발전과 여성체육. 서울: 대경북스. |
미소장 |
5 |
Children in the large Family  |
미소장 |
6 |
김정란(1993). 일제하 한국 여성체육의 전개양상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7 |
김태희(1992). 일제하 한국민족주의적 체육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8 |
대한체육회(2010). 대한체육회 90년사Ⅰ. 대한체육회. |
미소장 |
9 |
박덕수(2008) 일제하 민족주의 체육활동 성립과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 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0 |
박상훈(2006) 한말 체육보금과 일제 식민지하의 민족주의 체육활동. 석사학위 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1 |
배재80년사 편찬위원회(1965). 배재80년사. 배재학당. |
미소장 |
12 |
변창섭(1992). 개화기 체육의 민족주의적 성격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3 |
숙명여자대학교(2006). 숙명 100년사. 숙명여자대학교. |
미소장 |
14 |
윤택림 (2000). 신현경 할머니의 생애사. ‘주민 생애사를 통해 본 20세기 서울 현대사’. 서울학연구소. |
미소장 |
15 |
윤택림 ・함한희 (2006). 새로운 역사쓰기를 위한구술사 연구 방법론. 서울:아르케. |
미소장 |
16 |
이광섭(1988). 목표변천에 따른 체육교육의 미래전망. 학교체육연구회. |
미소장 |
17 |
이율희(2002) 일제하 민족주의 체육활동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8 |
이화100년사 편찬위원회(1994). 이화100년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9 |
韓國文學論叢  |
미소장 |
20 |
정삼현, 이동건(1991). 일제 무단통치하 한국사회체육의 민족주의적 성격에 관한 연구, 동아대 부설 스포츠사회과학연구논문, 9, 21-30. |
미소장 |
21 |
함한희 (2010)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구술사 연구 1(1), 7-47. |
미소장 |
22 |
100인의여성체육인(2014). 한국여성체육 100년사. 제1권 여성과 학교체육. 서울: 대경북스. |
미소장 |
23 |
100인의여성체육인(2016). 한국여성체육 100년구술생애사. 서울: 대경북스. |
미소장 |
24 |
Spivak, G. C. (1988). Can the Subaltern Speak? In C. Nelson & L. Grossberg (Eds.),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pp. 271–313).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