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보르헤스의 문학이 환상적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유교가 합리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수천 년 동안 아시아의 현실정치의 원리였던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어울리지 않는 상이한 두 작품, 『도덕경』과 『천일야화』를 한 작가의 작품으로 간주하고 비평하는 것이 바로 튈른의 전통, 다시 말하면 보르헤스 문학의 핵심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어울리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보르헤스의 문학세계와 유교를 비교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보르헤스적 문학 전통이라 할 수 있다.

보르헤스 문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보편자(lo universal)의 개념은 유교적 제례의 조상개념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한 개인이 사망하고 4대 봉사를 마치게 되면 위패마저 묻게 된다. 개별자로서의 삶은 끝이 나고 조상의 일원이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유교의 제례는 결국 보편자를 향해가는 여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상의 개념을 전 인류로 확장시킨다면 유교의 제례를 통해 보편자의 개념은 구체화된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무한한 우주의 상징으로서 도서관은 태극도설의 음양오행설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무한한 우주라는 개념은 유한함속에서 무한함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무극에서 태극으로 태극에서 음양오행으로 이어지는 유교의 태극도설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동시에 유일한 책이라는 주제는 일반적으로 성경을 연상하기 쉽지만 다양하고 계속 변화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주역이 더 가깝다. 주역 64괘의 다양함은 이미 보르헤스만이 아니라 서양의 사상가들에 의해 언급된 바 있다.

보르헤스 문학에 등장하는 주요한 개념과 유교의 개념들이 흡사하다고 하여 보르헤스의 문학과 유교가 직접적 연관성을 갖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보르헤스가 유교에 관련된 서적을 읽으며 어떤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부정하기도 어렵다. ‘퇼른’ 혹은 보르헤스 문학의 전통이 상이한 두 작품을 한 사람의 작품으로 간주하며 비평하는 것이라면 보르헤스와 유교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야 말로 역설적으로 보르헤스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It can’t be denied that the text of Borges is fantastic, also the confucianism is a system of philosophical and ethical teachings based on the rationalism, and same time the fundamentals of actual politics in East Asia for thousands of years. And artistic tradition of Tlön is that consider two discordants texts to be written by one author, in other words that is considered the essential elements of Borges’s literature. In the same vein, it is paradoxically the tradition of Borges’s literature that compare between Borges’s text and essentials concepts and the confucianism.

At first, “the universal”, one of essentials concepts of Borges, a contrary concept of the particular,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the ancestor worship in the confucianism. When one person die, after 4 generations worship, will be the ancestor, the object of ancestor worship, finally the memorial services of the confucianism is the process of be a part of the ancestor. Therefore if the concept of ancestor is be extended all mankind, is a concrete form of “the universal”.

As the symbol of the infinite universe, Borges used the concept of “Library of Babel”, periodically changing, that is similar with the concept of the theory the Great Absolute, Tae Geuk Do Seol, o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Basically it deals with infinite changing, forming, creating the finite world, like “Library of Babel”. And the theory the Great Absolute is written in the I Ching, also known as the Classic of Changes or Book of Changes, so is the symbol of the original one book o the book of sand, one of most important cconcept of Borges.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re is the closed relation between Borges’s literature and the confucianism. But as mentioned, it is that paradoxically the tradition of Borges’s literature that compare two discordants texts, like this work.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억과 망각, 그리고 한국전쟁 참전의 의미 = Memory, Oblivion and Meaning of the Participation in Korean War in Guadalupe Años sin Cuenta : 『과달루페, 끝없는 세월』을 중심으로 송병선 pp.5-27

오태석의「초분」에 나타난 해체성과 상호텍스트성 = Deconstruction and Intertextuality in「Mummy grave」 by Oh, Tae-Suk 안미현 pp.29-49

바르뗀두의 희곡「바라뜨 두르다샤」의 알레고리 연구 = Allegory in Bhāratendu's「Bhārata Durdaśā」 김용정 pp.77-112

'앙가주망'에서 '소수문학'으로 = The Usage of the Literature : From Sartre's Literary 'Engagement' to Deleuze/Guattari's 'Minor Literature' : 사르트르, 들뢰즈·가타리의 문학 사용법 변광배 pp.113-138

프랑스 대혁명의 극복과 치유로서의 문학 = Literature, as consolation and cure at the exit of the French Revolution : about A Treatise in Ancient and Modern Literary of Madame de Staël : 스탈 부인의『문학론』을 중심으로 이순희 pp.139-164

쿤데라의 소설『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A Study on the Existence of Human Caught in the Trap in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by Milan Kundera : 덫에 빠진 인간의 실존탐구 조현천 pp.187-207

로뻬의『복수 없는 처벌』과 우에르따의『라껠』에 나타난 비극성에 대한 비교연구 = Study on the Comparison in Tragedies between Lope's El Castigo sin Venganza and Huerta's Raquel 윤용욱 pp.209-234

보르헤스 문학의 유교적 해석 = The Confucian Interpretation of Borges's Literature : Focusing on Ancestor Worship,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 I Ching, (Classic of Changes) : 제례, 태극도설, 주역을 중심으로 최명호 pp.235-260

명대 여성작가 단숙경(端淑卿)의 시사(詩詞) 초탐(初探) = Primary Analysis of Chinese Poems Written by Duan Shuqing, Chinese Woman Poet of the Ming Dynasty 윤혜지 pp.51-76

막스 프리쉬의『호모 파버』에 나타난 내면의 풍경으로서의 공간 = Space as Inner Landscape in Homo Faber by Max Frisch 서유정 pp.165-186

뮬따뚤리(Multatuli)와『막스 하벌라르』(Max Havelaar) = Multatuli and Max Havelaar :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of Dutch East Indies literature : 네덜란드령 동인도문학의 자전적 퍼포먼스 문지희 pp.261-288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bagnano, Nicola, Diccionario de la filosofía, F.C.E., Edición 4, México, 2004. 미소장
2 Adorno, Theodor. W., Dialéctica negativa, Traducción de José María Ripalda, España, Taurus, 1984. 미소장
3 Borges, Jorge Luis, Ficciones, Barcelona, Editorial El Mundo. Nº 9, 2001. 미소장
4 Borges, Jorge Luis, El Aleph, Madrid, Editorial DEBOLS!LLO, 2011. 미소장
5 Borges, Jorge Luis, Borges y yo, http://www.escribirte.com.ar/textos/649/borges-y-yo.htm 미소장
6 Confucio, Analectas, Traducción de Anne-Hélène Suárez, Editorial Kairós, Barcelona, 1997. 미소장
7 Stanovich, Keith , How to think straight about psychology, Canada, Pearson, 2004. 미소장
8 Russell, Bertrand Arthur William, Historia de la filosofía occidental tomo I, Traducción de Julio Gómez de la serna y Antonio dora, Madrid, Editorial Espasa, 2007. 미소장
9 Russell, Bertrand Arthur William, Historia de la filosofía occidental tomo II, Traducción de Julio Gómez de la serna y Antonio dora, Madrid, Editorial Espasa, 2007. 미소장
10 Sarduy, Severo, "El barroco y el neobarroco", América Latina en su literatura, México, SigloVeintiuno, 1978. 미소장
11 Whitehead, Afred North, La función de la razón, Madrid, Tecnos, 2003. 미소장
12 금장태, 『귀신과 제사』, 제이앤씨, 2009. 미소장
13 김승호, 『새벽에 혼자 읽은 주역인문학』, 다산북스, 2015. 미소장
14 김용옥, 『도올논어 3』, 통나무, 2001. 미소장
15 김용옥, 『기독교 성서의 이해』, 통나무, 2008. 미소장
16 루이스 레알, 『중남미 문학에 나타난 마술적 사실주의』, 박병규 역, http://www.latin21.com/ board3/view.php?table=theory_rh&bd_idx=2&page=1&key=&searchword= 미소장
17 알프레드 노드 화이트헤드, 『이성의 기능』, 김용옥 역, 통나무, 1998. 미소장
18 아도르노, 호르크 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김유동 역, 문학과지성사, 2012. 미소장
19 앙헬 플로레스, 『이스파노아메리카 소설에 나타난 마술적 사실주의』, 박병규 역, http://www.latin21.com/board3/view.php?table=theory_rh&bd_idx=1&page= 1&key=&searchword= 미소장
20 옥타비오 파스, 『흙의 자식들』, 김은중 역, 솔, 2003. 미소장
21 엔리케 안데르손 임베르트, 『중남미 소설과 마술적 사실주의』, 현중문 역, http:// www.latin21.com/board3/view.php?table=theory_rh&bd_idx=3&page=1&key =&searchword= 미소장
22 이규성, 『동양철학 그 불멸의 문제들』, 이화여자대학출판부, 1994. 미소장
23 이종필,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2013.03.22.,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 20&contents_id=2184 미소장
24 장정일, 『너에게 나를 보낸다』, 김영사, 2005. 미소장
25 최준식, 『한국의 풍속 민간 신앙』, 이화여자대학출판부, 2005. 미소장
26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만리장성과 책들』, 정경원 역, 열린책들, 2008 미소장
27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보르헤스 전집 2: 허구들』, 민음사, 2003. 미소장
28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보르헤스 전집 3: 알렙』, 민음사, 20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