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오래된 나무에 신선한 수액이 흐른다 :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상임지휘자 파비오 루이지 <인터뷰>
|
파비오 루이지 ; 박용완 글
|
pp.32-36
|
|
|
|
당신의 욕망은 어떻습니까? : 칼릭스토 비에이토 연출, 코미셰 오퍼의 글루크 '아르미다'
|
Desmond Chewyn 글 ; 류태형 역
|
pp.40-42
|
|
|
|
판타지 없는 무대에 남은 스릴러 : 바스티유 극장의 베르디 '맥베스'
|
배윤미
|
pp.44-46
|
|
|
|
당신은 진정한 레지테아터를 보았는가 : 베를린 슈타츠오퍼의 바그너 '로엔그린'
|
이설련 글 ; Karl Forster 사진
|
pp.48-50
|
|
|
|
낯설게 하더라도 파괴해선 안 된다 : 아힘 프라이어 연출 LA 오페라 '발퀴레'
|
Desmond Chewyn 글 ; 류태형 역 ; M Rittershaus 사진
|
pp.54-55
|
|
|
|
그린 룸을 장식한 또 하나의 젊음 : 플루티스트 최나경 위그모어 홀 데뷔 런던 현지 취재
|
박용완 글·사진
|
pp.56-59
|
|
|
|
백건우의 베토벤, 그 황홀경에 빠지다 : 백건우 독주회
|
장일범
|
pp.60-61
|
|
|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호세 카레라스 <인터뷰>
|
호세 카레라스 ; 김정은 글
|
pp.76-77
|
|
|
|
다시 그녀 앞으로 모여라 : 벳푸 아르헤리치 페스티벌 in Seoul 2009
|
박용완 글
|
pp.78-79
|
|
|
|
고음악 실연의 통념 깬다 : 레이첼 포저 & 개리 쿠퍼 내한 공연
|
이재준
|
pp.80-81
|
|
|
|
베토벤 희망 바이러스, 서울 봄공기에 퍼진다 : 2009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
류태형
|
pp.82-83
|
|
|
|
80년을 이어온 러시아 합창의 종가(宗家) : 러시아 국립 볼쇼이 합창단 예술감독 레프 칸타로비치 <인터뷰>
|
레프 칸타로비치 ; 김주연 글
|
pp.84-85
|
|
|
|
다른 안경을 끼면 다른 음악이 들린다 : 피아니스트 유영욱 <인터뷰>
|
유영욱 ; 박용완 글 ; 강태욱 사진
|
pp.86-87
|
|
|
|
'슬픈 수수께끼'를 풀다 : 작곡가 이찬해 <인터뷰>
|
이찬해 ; 김정은 글 ; 강태욱 사진
|
pp.88-89
|
|
|
|
초심으로 돌아가 더 탄탄해지다 : 통영국제음악제 봄 시즌 '동과 서'
|
류태형, 이석렬
|
pp.96-100
|
|
|
|
Walter Gieseking
|
전진수
|
pp.110-111
|
|
|
|
놓치지 말아야 할 3인 3색 작곡가들 : 마르크스·과르니에리·린드베리
|
헨리 포겔 글 ; 류태형 역
|
pp.114-115
|
|
|
|
하늘로 사라진 사자의 포효·질주·불꽃 프레디 허바드
|
하종욱
|
pp.116-117
|
|
|
|
청중은 키신만큼 순수했나? : 예프게니 키신 피아노 독주회
|
류태형
|
pp.118-118
|
|
|
|
종교적인 감동은 충분했다 : 내 잔이 넘치나이다
|
김준형
|
pp.119-119
|
|
|
|
은은하고 소탈했던 말러의 밤 : TIMF 앙상블 말러 프로젝트
|
이석렬
|
pp.120-120
|
|
|
|
각각의 깊이와 개성을 드러낸 축제의 시간 : 2009 교향악축제
|
왕치선
|
pp.121-121
|
|
|
|
셰익스피어 시대로의 편안한여행 : 소프라노 엠마 커크비 & 런던 바로크
|
김강하
|
pp.122-122
|
|
|
|
종묘제례악, 대한민국 상위1퍼센트를 위한 : 국립국악원 종묘제례악
|
윤중강
|
pp.123-123
|
|
|
|
쉽지 않은 모험, 그 성과와 과제 : 기발한 자살여행
|
최유준
|
pp.124-124
|
|
|
|
경계를 넘어서는 열쇠, '몸' : Beyond
|
장인주
|
pp.125-125
|
|
|
|
1946~1948, 한국의 음악과 나 : 제임스 캐힐 교수가 회상하는 1940년대 후반의 한국음악계
|
제임스 캐힐 글·사진 ; 김정현 역
|
pp.126-131
|
|
|
|
덕수궁 돌담길에 아직 남아있는 건 : 작곡가 이영훈
|
윤중강
|
pp.132-133
|
|
|
|
인간 실존의 처절한 혈서 알베르 카뮈
|
백승무
|
pp.134-135
|
|
|
|
그들의 죽음은 이별이 아니었으니 : 구노 '로미오와 줄리엣'
|
박종호 ; 홍소희 일러스트
|
pp.142-145
|
|
|
|
삶의 움직임, 움직임의 연극
|
조만수 글 ; 유영주 사진
|
pp.170-172
|
|
|
|
연출가 임도완 인터뷰
|
임도완 ; 김주연 글
|
pp.173-173
|
|
|
|
빗물처럼 스며들어온 중년의 사랑 : '시간이 흐를수록'
|
김미도 글 ; 이성균 사진
|
pp.174-175
|
|
|
|
만약 앨리스가 이곳에 살고 있다면? : 2009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앨리스 프로젝트'
|
김주연
|
pp.176-177
|
|
|
|
삶도 연극도 끝나지 않은 여행 : '페르 귄트' 공연하는 배우 정해균 & 김은희 <인터뷰>
|
정해균, 김은희 ; 김주연 글 ; 강태욱 사진
|
pp.178-179
|
|
|
|
한층 성숙해진 우리들의 축제 : 창작뮤지컬 '사춘기'의 새 주역 에녹·임수연·오승준 <인터뷰>
|
에녹, 임수연, 오승준 ; 김주연 글 ; 유영주 사진
|
pp.180-181
|
|
|
|
바스티유가 어깨춤을 추던 밤 : 하용부 파리 상상축제 초청공연
|
서주연 글 ; 신귀만 사진
|
pp.182-183
|
|
|
|
이제, 실험보다는 균형으로 : 모다페 2009
|
문애령
|
pp.184-185
|
|
|
|
오묘한 심리극의 걸작 : '오네긴(Onegin)'
|
유형종
|
pp.186-18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