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위험의 예방과 대응을 위해 구축한 위험관리시스템의 실제 수행 활동인 액션 플랜의 실행 과정과 성과를 제시하는 경험적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로 위험 예방 및 대응을 위해 위험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수행 활동을 해온 A노인요양시설이 2년간 실시(2014년~2015년)한 액션 플랜 실행 과정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위험관리시스템 액션 플랜은 위험관리시스템 구축 4단계 과정 중 세 번째 단계인 위험 예방 및 대응처리 방법의 선택과 수행 단계에서 수립이 되었다. 둘째 위험관리시스템 액션 플랜 실행에 따른 성과로서 2년간(2014년~2015년)의 위험의 변화를 조사를 파악한 결과 2014년에 비해 2015년에 위험이 28% 감소하여 액션 플랜에 수행에 따른 위험관리 활동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에서 효과적인 액션 플랜 수립과 실행을 위해 액션 플랜은 독자적으로 수립되는 것이 아니라 비전과 전략을 바탕으로 전략, 성취목표와 성취과제 등이 잘 연계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추진일정을 수립해야 하고, 책임소재를 분명히 해야 하며, 간트 도표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실행되어야 할 모든 내용들이 한눈에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도식화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research is an empirical case study that suggests the practical practice and output of action plan, the actual performing activity of risk management system established to prevent and respond to risk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For this, this research analyzed the action plan practice process and outcome upon 2 years' practice (2014~2015) by A Elderly care facility which has conducted performance activity by establishing risk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and respond to danger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s the research result, first, risk management system action plan was established in the choice and performance stage of risk prevention and response handling method, the 3rd among 4 staged process of risk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Second, as the outcome along with risk management system action plan performance, as the result of comprehending the investigation on risk change for 2 years(2014~2015), risk decreased by 28% in 2015 compared to 2014, displaying effect in risk management activity along with performing action plan. Based on this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action plan for the effective action plan establishment and practice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should be established with systematic promotion schedule to be well connected with its strategy, achievement goal, and achievement project, etc. based on vision and strategy, instead of being established individually, based on clear matter of responsibility, utilizing such technique as Gantt chart, etc., composing concretely by schematizing in order to view all contents to be practiced clearly.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Effects of the Fal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PEP)for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on Fall-related Knowledge,Fall-related Burden, and Caring Behaviors for Fall Prevention | 소장 |
2 | A Case Study on methods of the identification, the analysis and the assessment of risk factors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 소장 |
3 | Risk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Acquisitions Using the Example of the TÜV NORD Group ![]() |
미소장 |
4 | 堀米史一, 古川潤子, "高齢者福祉施設における利用者のリスクとリスク要因の調査研究," 社会医学研究, 제27권, 제2호, pp.53-59, 2010. | 미소장 |
5 | 永和良之助, "介護事故の現状と問題点-高齢者介護施設を中心に," 佛教大学社会福祉学部論集, 제7권, pp.39-56, 2011. | 미소장 |
6 | The Study on the Tasks and Conditions to Introduce a Risk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소장 |
7 | 노충래, 사회복지와 위험관리, 경기도: 집문당, 2009. | 미소장 |
8 | 박미은, 사회복지 위험관리의 이해, 경기도: 집문당, 2010. | 미소장 |
9 | 부산복지개발원, 부산시 노인요양시설 위험관리실태 분석 및 위험관리 방안 연구, 2012. | 미소장 |
10 | A Case Study of the Establishment and Practices for Risk Management System in Korean Elderly Care Facilities | 소장 |
11 | G. E. Rejda, Principles of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New York: Addison-Wesley, 2003. | 미소장 |
12 | ACHS, Risk Management & Quality Improvement Handbook, 2013. | 미소장 |
13 | 全國社會福祉施設經營者協議會, 福祉施設におけるリスクマネジメントのあり方に關する檢討委員會檢討狀況報告, No.2, 2001. | 미소장 |
14 | 신복기, 박경일, 이명현, 사회복지행정론, 경기도: 공동체, 2013. | 미소장 |
15 | 奥村哲弥, “社会福祉法人 あいの土山福祉会エーデル土山のリスク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第32回 全国社会福祉法人経営者香川大会 特別別添資料, pp.12-23, 2013. | 미소장 |
16 | http://managementhelp.org/strategicplanning/actionplanning.htm | 미소장 |
17 | 교육과학기술부, 기술사제도 선진화를 위한 중장기 마스터 및 액션플랜 개발, 2011. | 미소장 |
18 | J. M. Bryson, Strategic Planning for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San Francisco:Jossey-Bass. 1995. | 미소장 |
19 | Hurd. Genna, The Metropolitan Strategic Planning Grant Program in Kansas, Kansas Center for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2002. | 미소장 |
20 | 김신열, “비영리 기관의 전략 기획,”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11권, pp.1-19, 2007. | 미소장 |
21 | Direction and Challenges of National-based Mental Health Research -Focused on the Study of 「National Research Action Plan」and 「NIMH Strategic Plan」- | 소장 |
22 | The Case Study on the Outcome and Implementation of TQM Work in Community Welfare Center : Impact on Service Quality Manage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 소장 |
23 | case study of BS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and activiti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 소장 |
24 | 윤기혁, 노인요양시설 위험관리시스템 구축 및적용 성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25 | 의료기관 BSC 전개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 한국·미국·일본의 BSC 적용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 소장 |
26 | The Research on the Guide to Implementation Steps through TQM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Agencies -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Pusan - | 소장 |
27 | A Study on the Balanced Scorecard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 A case of the K-Agency | 소장 |
28 | BSC 평가모델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소장 |
29 | http://www.weblio.jp/content/アクションプラン) | 미소장 |
30 | 島袋忠, 2009, 「アクションプラン」の書き方実戦的なアクションプランの立て方とは?http://www.bizocean.jp/column/formatting_guid e/guide12/ | 미소장 |
31 | 김수진,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전략적 기획 수행 활동에 관한 연구-경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의전략적 기획 사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32 | http://www.hware.com/2010/09/5-reasons-why -your-business-idea-needs-an-action-plan | 미소장 |
33 | http://www.yourarticlelibrary.com/management /what-are-the-advantages-and-potential-disad vantages-of-planning-under-management/3501/ | 미소장 |
34 | http://ctb.ku.edu/en/table-of-contents/structure /strategic-planning/develop-action-plans/main | 미소장 |
35 | 나태준, 김성준, 공공조직의 전략기획체제 구축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 미소장 |
36 | Bridging the awful gap between strategy and action ![]() |
미소장 |
37 | Allison Michael, and Kaye. Jude, Strategic Planning forNonprofit Organizations: A Practical Guide and Workbook, WILEY, 1997 | 미소장 |
38 | 全国社会福祉協議会,福祉サービス事故事例集(福祉サービスにおける危機管理(リスクマネジメント)に関する調査・研究事業報告書, 2001. | 미소장 |
39 | (株)三菱綜合硏究所, 特別養護勞人ホームにおける介護事故子防ガイドライン, 2007 | 미소장 |
40 | Jean. Scheid, Why You Need a Risk Management Action Plan, 2013. http://www.brighthubpm.com/risk-management /31709-why-you-need-a-risk-management-act ion-plan/ | 미소장 |
41 | 액션플랜(Action Plan)을 활용한 실행 중심의 교육성과 제고 | 소장 |
42 | J. Shapiro, Action Planning Toolkit, World Alliance for Citizen Participation, Accessed 2012. http://www.aces-tools.or.at/images/doku/action _planning.pdf. | 미소장 |
43 | 서울복지재단, 복지시설종사자 위험관리 매뉴얼, 2006. | 미소장 |
44 | 김기덕, 김용석, 유태균, 이기영, 이선우, 정슬기역, 사회복지조사방법론, Rubin. Allen, and Babbie, Earl R.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CENGAGE Learning, Inc,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2010. | 미소장 |
45 | R. K. Yin, Case Study Research-Design and Methods(5rd ed), SAGE Publications, Inc, 200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