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ed groups’ needs for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Two hundred twenty nin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ne hundred three professors who have taught foreign students, and forty one university institutional staff members whose work is related to foreign students have taken part in the survey. The direction for testing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needs survey.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speaking test for the academic purposes should be adopted because the tests for the general purposes could not cover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foreign students. Also the criteria for the test are needed to be set up to mitigate the perception gap of interested groups’ academic speaking proficiency. Futhermore, we reviewed various constructs beyond linguistic competence and considered test takers’ background variables when we develop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의료관광 한국어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 Need analysis for desig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medical tourism 김현진 pp.1-34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숙련도에 따른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변별 지각 양상 = Effects of L2 proficiency on Mandarin speakers' perception of Korean stops and affricates 류나영 pp.35-56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 Current State, Issues and Challenges Seong-Chul Shin pp.57-102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대화 행위 주석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A Basic Research to Develope the dialogue act tag se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corpus : tagging on the Korean natives' and foreigners' dialogue act : 한국인과 외국인의 대화 행위 주석에 적용하여 이동은, 김지애, 이민아 pp.103-122

영상매체 제작을 통한 국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권별 표현기제 연구 = A Study of the Expression Mechanisms According to Culture Among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Video Media Production : Focusing on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a and the UK : 중국과 영국의 한국어 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이미향, 엄나영, 조숙연 pp.123-153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Textbook Development of College Writing Course for Foreign Undergraduates 이유경, 박현진, 이선영, 장미정, 노정은, 류선숙 pp.155-188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듣기-쓰기 요약 과제 수행 양상 = KAP learners' Performance on an Integrated Reading-Listening-Writing Task 이인혜 pp.189-217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 규칙 교육용 과제 구성 방안 연구 = A study on designing pedagogical task of Korean phonological rules for Korean advanced learners :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pronunciation into listening and speaking : 발음, 말하기, 듣기의 통합을 중심으로 장아남 pp.219-242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The Needs Analysis of Korean Speaking Test for the Academic Purposes 홍은실, 박현정, 조수진, 민병곤, 안현기, 오예림, 강석한 pp.243-268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승혜(2005), “한국어 고급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 기초 연구: 고급 말하기 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0권,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21쪽. 미소장
2 권수현(2013),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방안,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권순용(2015),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과제 유형 개발 연구 : 다국면 라쉬 모형과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소장
5 김상경(2015),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김정숙, 이동은, 지현숙, 김유정, 진대연(2006),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및 평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한국어세계화재단. 미소장
7 김정숙, 이정희, 장은아, 이준호(2010),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미소장
8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tandard in Korean Language Speaking Ability 네이버 미소장
9 한국어능력시험의 운영 현황 및 과제 소장
10 박광진(2010),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실 말하기 평가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박선윤(2015),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박혜미(2011),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과제 유형 개발 방안-말하기 숙달로 평가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서동선(2015),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능력 평가 방안 연구, 경희사이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testing tool for the assessment of speaking proficiency in Korean 소장
15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의 구성 요소 연구 소장
16 A trend analysis of research on needs analysis in the field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소장
17 Actual condition and Suggestions i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rough Analysis of Trends in Education Research 소장
18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대학 입학 전 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19 홍은실, 안현기, 박현정, 강석한, 조수진, 민병곤(2015),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학부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26회 학술대회 발표. 미소장
20 Bachman, L. F.⋅Palmer, A. S.(2010), Language assessment in practice: Developing language assessments and justifying their use in the re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 Dick, W.⋅Carey, L.⋅Carey, J. O.(2005),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6th ed.), Allyn and Bacon. 미소장
22 Dudley-Evans, T.⋅St John, M. J.(1998), Developments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3 Fulcher, G.⋅Davidson, F.(2012), The Routledge handbook of language testing, Routledge. 미소장
24 Jordan, R. R.(1997),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 guide and resource book for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5 Queeney, D. S.(1995), Assessing needs in continuing education: An essential tool for quality improvement, The Jossey-Bass Higher and Adult Education Series. 미소장
26 교육부(2015), 2015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미소장
27 http://www.moe.go.kr/web/100088/ko/board/view.do?bbsId=350&pageSize=10¤tPage=0&encodeYn=&boardSeq=60923&mode=view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