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통영시 예술인 기념 공간의 조성 과정과 특징 = On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Property of Commemorative Museums of Tongyeong Artists / 진금주 1
초록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III. 연구 분석 5
1. 통영시의 예술인 기념 공간 조성 추진 배경 5
2. 기념 공간 조성 고정의 특징 7
IV. 연구 결과 21
1. 예술인 기념 공간 조성 추진 배경의 특징 21
2. 논쟁·비논쟁적 예술인에 따른 기념 공간 조성 주체의 관(官)·민(民) 양분화 22
3. 기념 공간 조성의 필요성 분류 26
V. 결론 및 시사점 29
참고문헌 33
Abstract 34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렬·구정태(2006), 랜드마크 건립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상징조형물의 시장가치와 비시장가치추정,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 16(2): 189-211. | 미소장 |
2 | 김민영(2011), 김용익 문학의 서지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 | 워싱턴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 참전용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 소장 |
4 | 김한도(2007), 제주도 박물관의 특성 변화와 지역 관광개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5 | The formation of 5.18 memorial spaces and regional identity: the issues and assignment after the 1990s | 소장 |
6 | 백선혜(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 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 | 이병준·김미화(2008), 기념관, 역사, 미학 그리고 학습 - 미국과 독일의 사례 연구, Art Education Review , 31: 143-165. | 미소장 |
8 | 이승욱(2005), 지역기반산업의 위기에 대한 지역엘리트의 대응양식 : 통영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9 | 이정훈(2005), 지역 관광개발의 전략적 과제와 지리학적 상상력: 목적지 브랜드 개발과 문화·관광의 영역적 시스템 구축, 대한지리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127-129. | 미소장 |
10 | A Theoretical Review on Place Branding as a Major Toolkit of Soft Regional Development | 소장 |
11 | New Spatial Perspective of Sacred Space: The case of ``Jeoldusan Martyrs`` Shrine | 소장 |
12 | 5·18과 도시공간의 상징적 구성 | 소장 |
13 | 정호기(2002),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한국에서의 민주화운동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기념관 건립운동의 변화와 동학 : 민주화운동 기념관들을 중심으로 | 소장 |
15 | 진금주(2015a), 장소마케팅을 위한 통영시 예술인 기념 공간의 조성 과정,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6 | 예술인 기념 뮤지엄이 통영의 문화예술적 도시 이미지 형성에 미친 영향 | 소장 |
17 | An Analysis of the Place Branding Methods for Regenerat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 소장 |
18 | 최기석·구영민(2011), 홀로코스트 기념관 건축을 통해서 본 감각적 장소성 재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 31(2): 119-120. | 미소장 |
19 | 5·18 Commemoration Space and Social Conflicts of Commemoration | 소장 |
20 | Tuan(1977), Space and place, Arnold, Lond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