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일본의 근대정치사상사가 마루야마 마사오는 19세기 메이지의 계몽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의 실학의 특징을 ‘도리에서 물리로의 전회’라고 표현했다. 그것은 곧 19세기의 일본 문명의 격변을 ‘도리’(윤리)를 중심에 둔 전통적 주자학 문명으로부터 ‘물리’ 즉 자연과학을 중심에 둔 근대 과학문명으로의 전회로 파악한 것이었다. 마루야마에 따르면, 일찍이 ‘리’의 통합적 이해라는 바탕 위에서 ‘심리’와 ‘물리’를 혼동했던 주자학이 원리적으로 자연에 대한 주관적 이해를 벗어날 수 없었다면, 후쿠자와는 ‘물리’를 ‘심리’의 속박에서 해방시킴으로써 비로소 자연에 대한 객관적 탐구가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후쿠자와 실학을 통해 구체화된 이 같은 마루야마의 근대사상 인식은 19세기 일본의 계몽주의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아울러 그것은 왜 일본만이 동아시아 인국의 조선, 중국과는 다른 근대화를 거쳤는가를 사상적 측면에서 해명하는 것으로 폭넓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메이지의 계몽사상은 반드시 마루야마식의 단선적 과정만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후쿠자와를 비롯한 일본 계몽사상가들의 주자학적 ‘리’의 재해석은 마루야마가 지적했듯이 ‘물리’를 ‘윤리’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그것은 한편으로는 ‘윤리’의 속박에서 벗어난 ‘물리’가 이번에는 ‘윤리’를 지배하는 예기치 않은 반동으로 귀결되었다는 사실 또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스기우라 주고의 사상은 그 같은 ‘리’의 재해석의 과정 속에서 ‘물리’가 어떻게 ‘윤리’를 지배하게 되었는가를 보여준다. 즉, ‘이학종’(理學宗)으로 대표되는 스기우라의 사상은 서양 자연과학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한편, 인간 윤리 또한 물리 법칙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그것은 물리(자연과학)의 법칙을 인사에 적용하여 그것을 서양의 기독교와 비견할 만한 일본의 도덕주의로 재정립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자학적 ‘리’의 재해석을 통해 ‘윤리’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난 ‘물리’가 반대로 ‘윤리’를 속박하는 순간, 그것은 메이지의 ‘과학주의’(scientism)라는 괴물의 등장을 의미한 것에 다름 아니었다. 아울러 그것은 20세기 들어 본격화된 과학과 제국주의의 결합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했다.

Sugiura Jugo was a scholar for Japanese enlightenment during the Meiji period(1868-1912). In this article, I focus on Sugiura’s unique scientific idea, which is said as ‘scientific morality’(Rigakushu, 理學種). Japanese attitudes of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Bakumatsu(幕末) period is generally said as ‘Japanese sprit and Western learning’(Wagon-yousai, 和魂洋才). It means that Japanese sprit is superior to the West, while Japanese science and technology are inferior to the West so that Japanese have to lear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Sugiura's idea of Western civilization was different from ‘Japanese sprit and Western learning’. He set a high value on spiritual values such as morals and ethics derived from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In other word, he wanted to establish new Japanese morality based o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Sugiura thought that all human behaviors could be understood and explained by physical laws such as the law of energy conservation and wave theory.

It did not seem that Sugiura studied evolutionism, but his idea was very similar to Kato Hiroyuki’s social evolutionism in Meiji period. Kato told that human and social studies based on human mind are such as delusionist's studies, on the other hand natural science based on natural principles tells us the truth of the world. Kato and Sugiura insisted that human behaviors should be explained by physical principles. Sugiura and Kato were in different fields of science, but they were all in the same line in respect to blind face of science. The idea of ‘scientific morality’ by Sugiura shows how Japanese scientism was born during the Meiji perio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王充의 人性論 硏究 = A Study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of Wang Chong 조원일 pp.5-24
회남자 감응통치 연구 = A Study on Huainanzi's Rule Based on Resonance 정우진, 문석윤 pp.25-43
周代 宗廟의 기능과 그 의미에 대한 儒敎經典의 이해 = Understanding of Confucian scriptures on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an Jongmyo Shrine in Zhou(周) Dynasty era 서정화 pp.45-73
순자의 경험주의적 진리관과 치도론의 명암 = Reasoning of Ideal Governance in Xunzi's Empiricism and Its Limit 정용환 pp.75-104
오온(五蘊)으로 본 정신적 고통의 원인과 치유 방안 = Causes of Mental Agonies and a Method of Curing Them Based on the Five heaps 최동훈 pp.105-124
『擊蒙要訣』을 통해 본 율곡의 문화계몽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Yulgok's Cultural Enlightenment through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김희 pp.125-144
다산 정약용의 신체관과 수양론 = Tasan Jeong Yakyong's Viewpoint of Body and Self-cultivation : Centered around Simgyeongmilheom(心經密驗) : 「心經密驗」을 중심으로 김부찬 pp.145-167
청광자 이근주의 생애와 의리정신 = Cheong-gwang-ja Lee Geun Ju's life and loyalty spirit 민황기, 손세제 pp.169-195
불교와 정신신경면역학 = Buddhism and Psychoneuroimmunology : possibility of a new paradigm for the life science : 생명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윤희조, 신경희 pp.197-230
철인왕과 정치의 리더십 = Philosopher King and Leadership of Justice 서영식 pp.231-262
17~18세기 프랑스 예수회의 '색은주의 천학' 논고 = A Study on Cheonhak of France Jesuits' Figurism in the 17~18th centuries : Cultural identical interpretation of Figurism about Confucianism literature : 유교 문헌에 대한 색은주의의 문화 동일적 해석 전홍석 pp.263-299

니체와 고대 그리스의 인문정신 = Nietzsche and Human Spirit of Ancient Greece : Focusing on Three Classic Authors of Tragedy : 3대 고전비극작가를 중심으로 양해림 pp.301-328
의례적 행위와 삶의 진지함 = Ritual and Seriousness of life : A Study on Wittgenstein's Anthropological Thinking : 비트겐슈타인의 인류학적 사유에 대한 고찰 김화경 pp.329-357
슈미트와 벤야민의 종말론적 사유 = Schmitt's and Benjamin's apocalyptic thought 조창오 pp.359-382
화이트헤드 유기체의 철학에서 '사회(Society)' 개념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Society in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 정윤승 pp.383-410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이 다문화간호교육에 주는 의미 =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and Its Implication for Multicultural Nursing Education 이정순, 이창금 pp.411-436
레비나스의 타자로서의 주체물음과 정신분석학 = A question on the subject as other in Lévinas and psychoanalysis : 부조리, 향유 그리고 타자욕망의 관점에서 윤대선 pp.437-465

들뢰즈에게 주체화의 문제 = Problem of the subjectivation at Gilles Deleuze 신지영 pp.467-491

탈형이상학 시대의 종교 = Religion in Time of Postmetaphysics : 교리종교에서 생활종교로 최신한 pp.493-509
음악작품의 본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ature of musical works 김요한 pp.511-528
메이지 일본의 과학과 제국주의 = Science and Imperialism in Meiji Japan : Sugiura Jugo and Scientific Morality : 스기우라 주고(杉浦重剛)의 '이학종(理學宗)'을 중심으로 김성근 pp.529-550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 유학의 자연철학, 예문서원, 서울, 1998. 미소장
2 杉浦重剛全集刊行会, 杉浦重剛全集, 제1-2권, 東京, 1982-1983. 미소장
3 家永三郞, 日本近代思想史硏究, 東京大学出版会, 東京, 1953. 미소장
4 村上陽一郎, 文明のなかの科学, 青土社, 東京, 1999. 미소장
5 麻生義輝, 近世日本哲学史, 近藤書店, 東京, 1942. 미소장
6 丸山眞男・加藤周一 共著, 翻訳と日本の近代, 岩波書店, 東京, 1998. 미소장
7 渡邊和靖, 明治思想史―儒敎的伝統と近代認識論, ぺりかん社, 東京, 1978. 미소장
8 小泉仰, 西周と欧米思想との出会い, 三嶺書房, 東京, 1989. 미소장
9 島根県立大学西周硏究会 編, 西周と日本の近代, ぺりかん社, 東京, 2005. 미소장
10 周程, 福澤諭吉と陳独秀ー東アジア近代科学啓蒙思想の黎明, 東京大学出版会, 東京, 2010. 미소장
11 安川寿之輔, 福沢諭吉と丸山眞男, 高文研, 東京, 2003. 미소장
12 蓮沼啓介, 西周における哲学の成立―近代日本における法哲学のためのエチュード, 有斐閣, 東京, 1987. 미소장
13 本間邦雄, 「西周の哲学的著述における[自然の理]の位相」, 法政大学敎養部紀要62, 法政大学敎養部, 東京, 1987. 미소장
14 天沼香, 「明治中期国粋主義者の移民観─政教杜, 杉浦重剛の移民論から」, 東海女子大学紀要, 제6호, 東海学院大学, 1986. 미소장
15 廣政直彦, 「杉浦重剛の科学観(1)」, 東海大学文明研究所紀要, 제2호, 東海大学, 1981. 미소장
16 廣政直彦, 「杉浦重剛の科学観(2)」, 東海大学文明研究所紀要, 제3호, 東海大学, 1981. 미소장
17 杉浦重剛について 네이버 미소장
18 佐々木力, 「西欧の科学革命と東アジア」, 思想, no. 905, 岩波書店, 東京, 1999. 미소장
19 Casson Nicholas James, 「マンチェスターの明治期日本人留学生ー杉浦重剛(1855−1924)の場合」, 日本語・日本文化, 제29호, 大阪大学, 2003. 미소장
20 下村育世, 「杉浦重剛における伝統と近代科学―高島嘉右衛門の易に対する理解をめぐって」, 一橋社会科学, 제7호, 一橋大学, 2009. 미소장
21 藤井淸久, 「明治初期における西洋科学思想の移入ー杉浦重剛の場合」, 科学史研究, 日本科学史学会, 1970. 미소장
22 加藤弘之, 「德育ニ付テノ一案」, 大日本教育会雑誌, 제68호, 大日本教育会, 1887. 미소장
23 村上陽一郎, 「生物進化論に対する日本の反応」, 日本人と近代科学 新曜社, 東京, 1980. 미소장
24 西周, 「知說」, 西周全集, 제1권, 宗高書房, 東京, 1945. 미소장
25 水野友晴, 「あたらしい[理] 理解の登場とその背景―西周における啓蒙の意義」, 木岡伸夫⋅鈴木貞美 編, 技術と身体, ミネルヴァ, 東京, 2006. 미소장
26 源了圓, 「西周における[理]の観念の転回―徳川時代における合理的思惟の発展(11)」, 心23, 心編集委員会, 1970. 미소장
27 丸山真男, 「福沢における実学の転回ー福澤諭吉の哲学研究序説」, 東洋文化研究3,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194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