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원전 1천년기 요서지역 비파형동검문화와 이웃한 내몽골 동남부/발해만 이북지역의 유목계통 문화를 중국 사서의 기록과 비교하여 그 실체를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선진 사서에 반영된 다양한 주민집단의 기록이 다양한 맥락에서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단편적인 증거로 무리하게 고고학적 문화에 대입함을 비판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일관되게 전쟁을 일으키는 집단의 경우 상당히 구체적인 정황에서 기록되었기 때문에 실체적인 접근이 가능한 예로 보았다. 전쟁을 통해서 얻어진 이방민족에 대한 자료가 제일 체계적이며, 전쟁을 통하여 상대방의 무기 및 마구가 유입되는 경우 고고학적 유물에도 잘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구체적인 예로 하가점상층문화의 소흑석구 유적에서 발견된 허국산 청동기를 분석하였고, 이를 선진사서에 구체적이며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이방민족과의 충돌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하가점상층문화에서 소흑석구/남산근 유적이 만들어진 기원전 8~7세기대는 산융에 비정됨을 밝혔다. 그 이후 동호의 등장과 소멸에 대해서는 동주시기 장성일대의 유목문화, 사카문화의 유입으로 전개되는 초기 흉노와 동호계통의 문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호는 기존 중국학계에서 제시한 정구자유형 보다는 연나라 북방지역에서 기원전 4세기를 중심으로 널리 확산된 사카문화 계통의 유목집단의 확산과 연결시켰다.
사서에 기록된 모든 주민집단을 무리하게 고고학적 문화로 대입하는 것은 오히려 고대 문화상의 구현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오히려 고고학자료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다양한 민족을 비정하는 것은 오히려 연구에 혼란이 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고고학 자료가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민족 집단의 대입보다는 좀 더 광의의 문화권으로 설정을 하고, 축적되는 고고학적 자료에 따라 지역과 시간을 세분해서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민족집단의 비정은 유동적이며 고고학적 자료에 기인하는 바, 가변성이 강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요서지역 하가점상층문화에서 사카문화의 유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문화변천을 사서와 비교함으로써 본고에서 고고학에서 민족비정은 결코 최종의 목적이 아니라 고고학자료를 해석하기 위한 수단임을 밝혔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管子』 | 미소장 |
2 | 『國語』 | 미소장 |
3 | 『史記』 | 미소장 |
4 | 『說苑』 | 미소장 |
5 | 『春秋左氏傳』 | 미소장 |
6 | 遼寧地域 琵琶形銅劍에 대한 一考察 | 소장 |
7 | 강인욱, 2008, 「동아시아고고학 고대사 연구속에서옥저문화의위치-옥저 읍루문화권의제기를중심으로」 『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 동북아역사재단. | 미소장 |
8 | Xiongnu in Ancient Culture of East Asia -an Approach to Solve Xiongnu`s Chronological and Spacial Paradox with Suggestion of International Xiongnu Studies- | 소장 |
9 | Fur trade and Knife Money(Mingdao qian, 明刀錢) in Old Chosun | 소장 |
10 | 內蒙古 동남부 시라무렌하 유역에서 발견된 새로운 유목문화에 대한 이해 : 「林西井溝子_晩期靑銅時代墓地的發掘与綜合硏究」, 主立新·塔拉·朱永剛 편 <서평> | 소장 |
11 | 강인욱, 2015, 「스키토-시베리아 문화의 기원과 아르좐 고분」 『중앙아시아연구』 20, 중앙아시아학회. | 미소장 |
12 | 김원용, 1976, 「심양정가와자 청동기시대 묘와 부장품-예맥퉁구스의 청동전기문화-」 『동양학』 6. | 미소장 |
13 | ‘療西琵琶形銅劍文化’의 再認識 | 소장 |
14 | 박대재, 2013a,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선사와 고대』 32. | 미소장 |
15 | 박대재, 2013b, 『중국 고문헌에 나타난 고대 조선과 예맥』 , 경인문화사 | 미소장 |
16 | The linguistic area of Old Joseon a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 | 소장 |
17 | '濊貊'의 形成過程과 古朝鮮 | 소장 |
18 | 古朝鮮의 春秋 齊와 교류 관계 | 소장 |
19 | 박준형, 2016, 「기원전 7세기 전후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와 고조선의 위상」 『비파형동검문화의 전개와고조선의 성립』 , 한국고대사 고고학연구소 제5회 학술회의 자료집. | 미소장 |
20 | 배진영, 2009, 『고대 북경과 연문화-연문화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21 | 春秋時期燕國之對外關係的變化 | 소장 |
22 | 동주시기 연나라와 동대장자 유적 청동예기 부장무덤의 연대 | 소장 |
23 | 폴로스막 저 강인욱 역, 2016, 『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 주류성. | 미소장 |
24 | 이강승, 1979, 「요령지방의 청동기문화」 『한국고고학보』 5, 한국고고학회. | 미소장 |
25 | 황기덕, 1987, 「료서지방비파형단검문화와그 주민」 『비파형단검문화에관한연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 미소장 |
26 | 甘肅省文物考古硏究所 外, 2008, 「2006年度甘肅張家川回族自治縣馬家塬戰國墓地發掘簡報」 『文物』 8. | 미소장 |
27 | 岡內三眞, 2003, 「燕と東胡と朝鮮」 『靑丘學術論叢』 23, 韓國文化硏究振興財團. | 미소장 |
28 | 郭素新, 田廣金, 1980, 「西溝畔匈奴墓」 『文物』 7. | 미소장 |
29 | 郭治中, 2000, 「水泉墓地及相關問題之探索」 『中國考古學跨時期的回顧與前膽』 , 科學出版社. | 미소장 |
30 | 潘玲, 2004, 「西溝畔漢代墓地四號墓的年代及文化特征再探討」 『华夏考古』 2. | 미소장 |
31 | 李廣安, 2014, 「湖北谷谷城出土土許国铜器」 『文物』 8. | 미소장 |
32 | 林澐, 1996, 「戎狄非胡論」 『金景芳九五誕辰紀念文集』 , 吉林文史出版社. | 미소장 |
33 | 林澐, 1993, 「關于中國的對匈奴族源的考古學研究」 『內蒙古文物考古』 1, 2合集. | 미소장 |
34 | 林澐, 1995, 「東胡與山戎的考古探索」 『環渤海考古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 知識出版社(『林澐學術文集』 ,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8에 재수록). | 미소장 |
35 | 徐少華, 1994, 「許國铜器及其歷史地理硏究」 『江漢考古』 3. | 미소장 |
36 | 王立新, 2004, 「探尋東胡遺存的一個新線索」 『邊疆考古硏究』 3, 科學出版社. | 미소장 |
37 | 王立新 塔拉 周永剛 主編, 2010, 『林西井溝子-晩期靑銅時代墓地的發掘與綜合硏究』 , 科學出版社. | 미소장 |
38 | 王輝, 2013, 「甘肅发现的两周時期的“胡人”形象」 『考古與文物』 6. | 미소장 |
39 | 伊克昭盟文物工作站, 1991, 「內蒙古東勝市磚房渠發現金銀器窖藏」 『考古』 5. | 미소장 |
40 | 伊克昭盟文物工作站, 1981, 「西溝畔漢代匈奴墓地調査記」 『內蒙古文物與考古』 創刊號. | 미소장 |
41 | 張懋容, 2008, 「試論西周青铜器演變的非均衡性問題」 『考古學報』 3. | 미소장 |
42 | 臧振華 編輯 1997, 『中國考古學與歷史學之整合研究(上下冊)』 ,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 미소장 |
43 | 田廣金, 郭素新, 1980, 「內蒙古阿魯柴登發現的匈奴遺物」 『文物』 4. | 미소장 |
44 | 井中偉, 2009, 「葉县舊县四號春秋墓出土土⻘青铜兵器研究」 『文物』 11. | 미소장 |
45 | 陳昌遠, 1993, 「許國始封地望及其遷徙的歷史地理問題」 『中國歷史地理論叢』 4. | 미소장 |
46 | 塔拉 梁京明, 1980, 「呼魯斯太匈奴墓」 『文物』 7. | 미소장 |
47 | 平顶山市文文物管理局, 2007, 「河南葉县舊县四號春秋墓發掘簡報」 『文物』 9. | 미소장 |
48 | 河北省文物硏究所, 1996, 『燕下都(上下冊)』 , 文物出版社. | 미소장 |
49 | 項春松, 1984, 「“許季姜簋”銘文考」 『北方文物』 3期. | 미소장 |
50 | 項春松 李義, 1995, 「寧城小黑石溝石槨墓調査整理報告」 『文物』 5. | 미소장 |
51 | 許齊平, 2003, 「許子子妝策考釋」 『中原文物』 4. | 미소장 |
52 | Archaeology and Chinese Historiography ![]() |
미소장 |
53 | On the historiographical orientation of Chinese archaeology ![]() |
미소장 |
54 | Prusek, Jaroslav. "Chinese Statelets and the Northern Barbarians in the Period 1400-300 BC." Asian Perspectives 19.2 (1976): 323. | 미소장 |
55 | Ковалёв А.А. 1999 : О связях населения Алтая и Ордоса в V-III веках до н.э. // Итоги изученияскифской эпохи Алтая и сопредельных территорий. Барнаул: Изд-во Алт. ун-та. 1999. С. 75-82. | 미소장 |
56 | Ковалев А. А. Синьчжуантоу М30 - погребение знатного представителя пазырыкцев-«лоуфаней» на службе вана китайского царства Янь //Краткие сообщения Института археологии. Вып. 238 c.229~24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