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공유재산의 유효활용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 수탁기관 및 민간시행자가 각각 참여한 공유재산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유효활용 개발 촉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개발기관의 적기 개발비용 회수를 위한 명확한 규정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지자체와 민간시행자 간의 신뢰할 만한 협업이 전제된다면, 공유재산의 매각이나 임대를 통한 민간참여 개발방식은 대규모 비용의 정책사업 실행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재산 활용방향에 대한 지자체의 명확한 비전과 목표가 전제되어야 한다. 민간시행자의 사업 실행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지원도 필요하다. 끝으로 두 가지 접근방식 모두 비용회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 수요 진단 및 키 테넌트 유치 전략을 토대로 합리적이고 타당한 개발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Whi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executed, the need for efficient use of state and public property has also been increased. This study analyzes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property development cases through each public and private participation approach, and examines the main characteristic,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ublic property developments.
The main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public entrusted development, it is the most necessary to provide clear rules on appropriate cost recovery for public trustee. Second, under the reliant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developer, the private participation development through sale or leasehold of LGP can also be an execution alternative for vest expenses policy projects. In this case, local governments’ clear visions and goals for public property use direction are the fundamental conditions. The various supports for private developments’ performance are also required. And the last, in both approach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rational and reasonable development plan based on pre-demand diagnostics and strategies attracting tenants for cost-recovery risks minimization.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