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 (2005). 건강보험제도 개요. | 미소장 |
2 | 권혁철・임금자. (2013). 독일의 공적의료보험 의사결정구조와 시사점. 자유와 시장 5: 75-104 | 미소장 |
3 | 행정학자와 공익 | 소장 |
4 | 한국 보건의료의 공공성 푯대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 보건의료에 적용 가능한 공공성 개념 정립을 위한 소고 | 소장 |
5 | Public Adminstration and Publicness in Korea | 소장 |
6 | Assessing the Publicness of the Healthcare System in the United Kingdom | 소장 |
7 | 보험연구원 (2010). 주요국의 민영건강보험의 운영체계와 시사점: 미국, 독일, 네덜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 미소장 |
8 | The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ness Problem | 소장 |
9 | 송호근. (2003). 복지국가와 의료정책: 영국, 독일, 미국의 의료보험 구조조정 연구. 의료정책연구소 | 미소장 |
10 | 신동교・김지만・윤장호・이희원 (2012). 유럽의 DRG: 병원의 투명성, 효율성 및 질 향상을 위하여. 서울: 대한의학 | 미소장 |
11 | 신의철. (2010).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효율적 관리운영모형 개발. 의료정책연구소 | 미소장 |
12 | 이용갑. (2007). 독일의 공적의료보험 개혁 동향. 건강보험포럼. 69-89 | 미소장 |
13 | Reforms of the German Public Health Insurance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and Their Lessons for the Korean National Health | 소장 |
14 |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 소장 |
15 | 행정민주주의와 공공성 : 심의 민주주의와의 접모 | 소장 |
16 | A Study On Reform of Health Insurance under the Red-Green Coalition(1998-2005) in Germany | 소장 |
17 | Transformation of Corporatism in the Period of Globalization: Cases of Germany and Nertherlands | 소장 |
18 | 최병호・한동운・이정우・이건세・신현웅・선우덕・배성일. (2005). 건강보험제도의 발전과정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19 | Dimensions of Publicn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Review of the Evidence ![]() |
미소장 |
20 | Altenstetter, C., & Busse, R. (2005). Health Care Reform in Germany: Patchwork Change within Established Governance Structures. Journal of Health Politics and Policy and Law, 30:121-142 | 미소장 |
21 | The ‘Publicness’ of Public Organizations ![]() |
미소장 |
22 | Bozeman, B. (1987). All Organizations Are Public: Bridgi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al Theories. Hoboken: Jossey-Bass. | 미소장 |
23 | The "Publicness Puzzle" in Organization Theory: A Tes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of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 |
미소장 |
24 | Boyne, George A. 2002. Public and Private Management: What’s the Differe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9(1): 97–122. | 미소장 |
25 | The Income Elasticity of Health Care Spending: A Comparison of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 |
미소장 |
26 | Espin-Andersen, G. (1990). The Three World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Evans, R. G., Barer, M. G., Lewis, S., Rachlis, M., and Stoddart, G. L. (2000). Private Highway, One-Way Street: The Deklein and Fall of Canadian Medicare? Vancouver: Centre for Health Services and Policy Research. | 미소장 |
28 | Fuller, C. (1998). Caring for Profit. Vancouver: New Star Books | 미소장 |
29 | Giaimo, S. (2009). Markets and Medicine: The Politics of Health Care Reform in Brita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미소장 |
30 | Dimensions of publicness and performanc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organizations ![]() |
미소장 |
31 | Leith, K. H, Knott, A., Mayer, A. G. and Westermannm, J. (2010). Germany, in Johnson and Stokskopf ed. Comparative Health System. Sudbury: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 미소장 |
32 | Putting Together the Publicness Puzzle: A Framework for Realized Publicness ![]() |
미소장 |
33 | OECD (2013).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Paris: OECD | 미소장 |
34 | OECD (2014). OECD Health Data. | 미소장 |
35 | Olsen, G. (2002). The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Canada,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Toronto: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Porter, M. & Guth, C. (2012). Redefining German Health Care: Moving to a Value-Based System. New York: Springer | 미소장 |
37 | Saltman, R. B. & Otter, C. V. (1992). “The Emergence of Planned Market.” In Planned Markets and Public Competition: Strategic Reform in Northern European Health Syste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8 | World Health Organization ![]() |
미소장 |
39 | Mapping European healthcare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 of financing, service provision, and access to healthcare ![]() |
미소장 |
40 | Inequalities in access to medical care by income in developed countrie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