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현재 독일의 의료보험의 기본적인 틀은 1883년 비스마르크 시절 도입된 공적의료보험 제도(SHI; Social Health Insurance)이고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사회보험제도로 많은 환경 변화 속에서 지속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환경변속에서 거의 대부분의 선진국들에서 발견되어지는 현상이지만 독일의 의료비 지출 증가가 GDP 증가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의료비 비용 증가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의료보험 개혁의 원인, 과정 및 의료보험 개혁의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개혁 과정에서 의료보험의 독일 의료보험의 공공성의 변화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독일 의료보험에서 비용을 억제하고 통제하려는 목적으로 1980년대부터 독일의 의료보험 제도의 개혁이 시작되었고 이후부터 의료보험 재정의 안정화를 위한 자기부담금과 같은 의료보험의 수입 부문과 의료공급자인 의사들을 위한 인센티브 구조를 변화시키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제도화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독일의 의료공공성은 2013년 기준으로 높은 공공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족주의와 사회적 신뢰의 상관성 연구 = The Impact of Familism on Social Trust 김승현 pp.1-24
민영화와 제도개혁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n Corporate Profits by Privatization and Reform : Focusing on KT Case Analysis : KT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은주, 심익섭 pp.25-58
민간위탁 제도의 변화가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Impact of Institutional Change in Contracting-out on Responsibility : Focusing on the Adoption of Agency's Responsibility System into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s : 공공하수처리장 책임대행제 도입을 중심으로 조서형, 최근호, 엄태호 pp.59-89
한국 경제발전기 정부의 특성과 공무원 교육훈련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Regimes and Civil Service Training in the Era of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최창수 pp.91-110
긴축재정 환경에서 혁신 잠재력 유지를 위한 미국의 연구개발 재정운용 정책변동 = R&D Budget Policy Change to Spur Innovation in a Fiscal Austerity Environment : Based on Multiple Streams Flow Model :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영석, 고영주 pp.111-137

소프트웨어산업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Policy Changes in Korean Software Industry based on the Interest Group Standing Changes Model : 이익집단위상변동모형 및 정책변동유형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강혜연, 엄태호 pp.139-166
정부 간 관계의 유형에 따른 정부 간 갈등의 속성 = Characteristics of Intergovernmental Conflicts by the Type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하지만, 홍준현 pp.167-198
공공갈등관리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Conflict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최성욱 pp.199-227
지방자치단체의 컨벤션센터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분석 = A Recognition Analysis of Members in Revitalizing Method of Local Convention Center : Focusing on Profitability Creation Factors : 수익성 창출 요인을 중심으로 박정훈, 남창우 pp.229-254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 인력의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urse Workforc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enior Medical Welfare Centers 임귀희, 윤준상, 안형기 pp.277-299
평창동계올림픽 빙상시설 사후활용 방안 =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Policy for Post-event Usage of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 Venues 서원재, 박성희, 김남수, 한승진 pp.255-276
세계와 한국의 복권정책에 관한 연구 = Study on Lottery Policy in Korea and the World 문혜정 pp.301-321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우선순위 분석에 대한 연구 = A Priority Analysis of Infrastructures and Services for Realizing the Convergence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김태진 pp.349-364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이후 한국 BMD에 관한 제안 = Recommendations for the South Korean Ballistic Missile Defense after the Deployment of THAAD Systems : From KAMD to KBMD : KAMD에서 KBMD로 박휘락 pp.365-385
성역할 태도가 일-가정 양립 갈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ex Roles in Family on Work-Family Conflict 김은경, 심준섭 pp.323-347
중국의 소수언어정책 = Minority Language Policy in China : A Disjunction between Policy Intentions and Reality : 정책의도와 현실의 괴리 강휘원 pp.387-411
외국인을 위한 독도교육에 관한 권고적 의견 = Advisory Opinions on the Dokdo Education for Foreigners 이태규 pp.413-430
독일 의료보험제도 변화과정에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ness of Healthcare Reform Process in Germany 배귀희, 이건형, 여영현 pp.431-460

행정에서의 정신과 영성 = Spirit and Spirituality in Public Administration 김흥회 pp.461-487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 (2005). 건강보험제도 개요. 미소장
2 권혁철・임금자. (2013). 독일의 공적의료보험 의사결정구조와 시사점. 자유와 시장 5: 75-104 미소장
3 행정학자와 공익 소장
4 한국 보건의료의 공공성 푯대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 보건의료에 적용 가능한 공공성 개념 정립을 위한 소고 소장
5 Public Adminstration and Publicness in Korea 소장
6 Assessing the Publicness of the Healthcare System in the United Kingdom 소장
7 보험연구원 (2010). 주요국의 민영건강보험의 운영체계와 시사점: 미국, 독일, 네덜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미소장
8 The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ness Problem 소장
9 송호근. (2003). 복지국가와 의료정책: 영국, 독일, 미국의 의료보험 구조조정 연구. 의료정책연구소 미소장
10 신동교・김지만・윤장호・이희원 (2012). 유럽의 DRG: 병원의 투명성, 효율성 및 질 향상을 위하여. 서울: 대한의학 미소장
11 신의철. (2010).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효율적 관리운영모형 개발. 의료정책연구소 미소장
12 이용갑. (2007). 독일의 공적의료보험 개혁 동향. 건강보험포럼. 69-89 미소장
13 Reforms of the German Public Health Insurance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and Their Lessons for the Korean National Health 소장
14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소장
15 행정민주주의와 공공성 : 심의 민주주의와의 접모 소장
16 A Study On Reform of Health Insurance under the Red-Green Coalition(1998-2005) in Germany 소장
17 Transformation of Corporatism in the Period of Globalization: Cases of Germany and Nertherlands 소장
18 최병호・한동운・이정우・이건세・신현웅・선우덕・배성일. (2005). 건강보험제도의 발전과정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9 Dimensions of Publicn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Review of the Evidence 네이버 미소장
20 Altenstetter, C., & Busse, R. (2005). Health Care Reform in Germany: Patchwork Change within Established Governance Structures. Journal of Health Politics and Policy and Law, 30:121-142 미소장
21 The ‘Publicness’ of Public Organizations 네이버 미소장
22 Bozeman, B. (1987). All Organizations Are Public: Bridgi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al Theories. Hoboken: Jossey-Bass. 미소장
23 The "Publicness Puzzle" in Organization Theory: A Tes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of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네이버 미소장
24 Boyne, George A. 2002. Public and Private Management: What’s the Differe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9(1): 97–122. 미소장
25 The Income Elasticity of Health Care Spending: A Comparison of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네이버 미소장
26 Espin-Andersen, G. (1990). The Three World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27 Evans, R. G., Barer, M. G., Lewis, S., Rachlis, M., and Stoddart, G. L. (2000). Private Highway, One-Way Street: The Deklein and Fall of Canadian Medicare? Vancouver: Centre for Health Services and Policy Research. 미소장
28 Fuller, C. (1998). Caring for Profit. Vancouver: New Star Books 미소장
29 Giaimo, S. (2009). Markets and Medicine: The Politics of Health Care Reform in Brita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미소장
30 Dimensions of publicness and performanc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organizations 네이버 미소장
31 Leith, K. H, Knott, A., Mayer, A. G. and Westermannm, J. (2010). Germany, in Johnson and Stokskopf ed. Comparative Health System. Sudbury: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미소장
32 Putting Together the Publicness Puzzle: A Framework for Realized Publicness 네이버 미소장
33 OECD (2013).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Paris: OECD 미소장
34 OECD (2014). OECD Health Data. 미소장
35 Olsen, G. (2002). The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Canada,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Toronto: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6 Porter, M. & Guth, C. (2012). Redefining German Health Care: Moving to a Value-Based System. New York: Springer 미소장
37 Saltman, R. B. & Otter, C. V. (1992). “The Emergence of Planned Market.” In Planned Markets and Public Competition: Strategic Reform in Northern European Health Syste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미소장
38 World Health Organization 네이버 미소장
39 Mapping European healthcare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 of financing, service provision, and access to healthcare 네이버 미소장
40 Inequalities in access to medical care by income in developed countri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