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실시간 가상시청공동체의 행동 특성 = Realtime virtual social-viewing behavior characteristic : Focus on DCInside community : 온라인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별에서 온 그대'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김시은, 황용석, 나혜정 pp.5-43

정치적 태도 극화 및 적대감 증가 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탐색 연구 = Exploring factors and consequences of political attitude polarization and animosity : focusing on communic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ocial capital : 커뮤니케이션 변인, 정치참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김하늬, 정낙원 pp.45-82
정치 예능 프로그램이 정치 지식과 정치 효능감을 통해 정치적 행동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 = Effects of Political Talk Shows :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 <썰전>을 중심으로 김현정 pp.83-105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n local government : Focusing on the Gangneung City : 강릉시를 중심으로 박근후, 이제영 pp.107-145
Teenagers' Social Media Use and Civic Engagement =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이용과 시민참여 : 중국 웨이보를 중심으로 : Focused on Weibo in China Ting Yang, Sangho Seo pp.147-172
지상파방송사의 시사다큐 내용분석 연구 = A Content Analysis of Current-Affair Documentaries aired on Korean National Broadcasting Stations : Focusing on KBS1, KBS2, MBC, SBS : KBS1 & 2, MBC, SBS 채널을 중심으로 이학재, 최성진, 홍종배 pp.261-293
김영란법이 취재 관행에 미치는 문제점과 대안 = The Influence of 'Kim Young-ran Law'(anti-graft law) on News Gathering of Minor Media : Focusing on the Depth Interview with Reporters : 군소 언론사 기자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상훈, 김요한 pp.173-201
청소년 사이버불링의 원인, 영향 및 대책 = The Causes, Effects, and Policy Measures of Cyberbullying among Youths : Focusing on Interview with Youths with Cyberbullying Experiences : 사이버불링경험청소년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창호 pp.231-260
개인 소액광고주의 지역신문 광고에 대한 인식, 집행의도 결정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dvertising in Local Newspapers and the Determinants of Execution Intention among Individual Small-Sum Advertisers : With a focus on local newspaper users in Gwangju and Jeolla regions : 광주·전라 지역 지역신문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정기, 정성호, 이화행, 김효은 pp.203-229
철도노조의 민영화 파업과 언론보도 = Examining the Press Coverage of Railroad Union's Commercialization Strike : Cases of Chosunilbo v. Hankyoreh :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이효성 pp.295-321
한국 대통령의 연설 목소리에 나타난 특징과 이미지 분석 = A Study on the Vocal Images in Successive Presidential Speeches : From Former President Park Jeong-hee to Incumbent President Park Geun-hye : 박정희 전 대통령부터 박근혜 대통령까지 정은이, 남인용 pp.323-349
국회의원이 된 유명인들의 의정활동 및 평가 = An Analysis of Celebrity Politicians' Legislative Effectiveness from 1979 to 2016 : 연예인 및 스포츠스타 출신을 중심으로 홍성철 pp.351-385

참고문헌 (4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aracteristic Study of Voice Attractiveness by Preceding Study Analysis 소장
2 직업적 음성사용자에서 날달걀 먹기 전과 후의 음성 변화 소장
3 김영임 (1998).『스피치커뮤니케이션』. 서울: 나남. 미소장
4 김우룡・장소원 (2004).『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서울: 나남. 미소장
5 Effectiveness of Television Debates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 Young Voters' Political Cynicism and Political Efficacy 소장
6 김훈기 (1995).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과학동아』, 통권 제 120호, 120∼123. 미소장
7 문영일 (1991).『음성과 언어』. 서울: 청우. 미소장
8 Effect of politician's voice on electors -Focused on ward head election 소장
9 박란희 (2009).『목소리 구성요소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화자의 호감도와 공신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The Impact of Voice Construction on Communication 소장
11 위장 발화 방법의 차이가 청취 판단에 미치는 영향 소장
12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vocal chords and importance of breathing and resonance in singing 소장
13 윤오성 (2013).『음향과 음악녹음』. 서울: 사운드미디어. 미소장
14 양지영 (1999). 초등학생의 낭독 지도 연구. 全南大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라디오 인기 오락 프로그램 진행자의 준 언어적 표현의 특성 연구 소장
16 이승선 (2015. 02. 12). 오바마, 신년연설로 지지율 90%, 내용은.『프레시안』. 미소장
17 A Voice Analysis of Tele-marketer and Show-host 소장
18 Study on Politician image of Woman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ure in 2012 소장
19 대통령 리더십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소장
20 이현경 (2007).『비언어 전달행위가 커뮤니케이터 공신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Contributing Factors of Sexy Voice 소장
22 정은이 (2014).『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 - 쇼호스트의 스피치상황을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 : 건국대학교. 미소장
23 A Study on the voices of South Korean politicians : Focusing on expert opinion and voice analysis 소장
24 A Comparative Study on the Public Speech Spectrum between ROK and USA Politicians 소장
25 The meaning and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alysis of home shopping hos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소장
26 최광선 (1999).『몸짓을 읽으면 사람이 재미있다』. 서울: 일빛. 미소장
27 최병학 (1997).『방송화술』. 서울: 오늘예감. 미소장
28 홍규덕・김현숙・이정선 (2008), 연설문에 나타난 이명박 대통령과 George Bush 대통령의 리더십 비교연구: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중심으로,『숙명리더십연구』, Vol 8, 135∼167. 미소장
29 Argyle. M. (1975). Bodliy Communication. NY: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미소장
30 Vocal types and stereotypes: Joint effects of vocal attractiveness and vocal maturity on person perception 네이버 미소장
31 Buller,D., & Aune. R. (1986). The effects of vocalics and nonverbal sensitivity on compli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ch, 14, 301〜332. 미소장
32 Heinz, G. (2004).『말하기의 정석』. 윤진희 역. 경기: 리더북스. 미소장
33 Joseph, A. (2008). 보컬파워(유리타 역). 서울: 다산라이프. 미소장
34 Mehrabian, A. (1971). Silent Messages. Belmont: Wadsworth. 미소장
35 Morton, C. (1984). Change your voice, change your life. NY: Macmillan. 미소장
36 Murray, E. (1944). The Speech Communication: the integration of the speaker: the grosser speech skills textbook and guidance manual of individual and class projects. Chicago: Lippincott. 미소장
37 Nonverbal Vocalic Communication and Perceptions Of A Speaker. 네이버 미소장
38 Vocal affect expression: a review and a model for future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39 Street, R. L., & Hopper, R. (1982). A model of speech style evaluation. In Ruyan, E. B., & Giles(Eds.), Attitudes toward Language Variation (pp.175∼188). London:Edward Arnold. 미소장
40 Stuart Hyde. (1995). Television & Radio announcing. Boston : Allyn and Bacon. 미소장
41 Trager, G. L. (1958). Paralanguage: A first approximation. Studies in Linguistics, 13, 319~333. 미소장
42 실험심리학용어사전(200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2873&cid=50294&categoryId=5029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