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안익태의 중남미 연주 활동을 추적한다. 1952년 멕시코 국립대학교 교향악단을 지휘한 후에 잠잠하던 중남미 활동은 1959년 멕시코와 코스타리카에서 총 4회의 음악회를 지휘하며 재개된다. 특히 1960년에는 아르헨티나의 투쿠만에서 열린 제1회 국제음악제에 개막연주회를 지휘하게 된다. 그 외에도 투쿠만에서만 총 5회의 음악회를 지휘하였으며 당시 남미의 최고 오케스트라라고 할 수 있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LRA라디오 방송 교향악단을 지휘하게 된다. 남미에서의 활동은 브라질의 사우바도르로 이어졌지만 이후 남미에서의 연주 기회는 더 오지 않았다. 안익태를 가장 환영한 나라는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였다. 과테말라는 안익태에게 상임지휘자 자리를 제안하기도 했으며 코스타리카는 1959년 이후 1962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초대했다. 한국과 중남미가 외교관계 수립을 위해 노력하던 시점에 의도했던 아니던 안익태는 민간 교류 차원에서 어느 정도 역할을 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This article traces the activities of Ahn EakTai in Latin and Central America. After leading the Mexico National University Symphony Orchestra in 1952 for the first time in the Central America, it was only 1959 that Ahn was invited from Mexico and Costa Rica where he conducted a total of four concerts. In 1960 Ahn's concerts included the opening concert at the 1st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held in Tucuman Argentina, a total of five concerts in Tucuman only, LRA Radio Symphony Orchestra of Buenos, Bahia University Symphony Orchestra (salvador, Brazil). Ahn was most welcomed in countries such as Guatemala and Costa Rica. Guatemala has also proposed a resident conductor to Ahn and Costa Rica invited him from 1959 to 1962 a total of three times. When South Korea was trying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Central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Ahn's concerts there were presumed to contribute to private sector's exchang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치유로서의 음악교육 = Music Education as Healing : Based on Audiation Music Activity : 오디에이션 음악교육활동을 중심으로 노주희 pp.33-51

사례분석을 통한 바테니프 펀더멘털즈의 이해 =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of Bartenieff Fundamentals through a Progressive Case Study 김유정 pp.53-82

안익태와 중남미 = Ahn EakTai and Latin and Central America 허영한 pp.83-111

한국 앵포르멜의 '태동 시점'에 관한 비평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the 'Beginning' of Informel in Korea 김허경 pp.113-137

작품 제작 과정으로서 플랫폼의 역할과 의미 = The Function and Meaning of Platform as the process of art making : open source art and participatory reproduction : 오픈 소스 아트와 참여적 재생산 진휘연 pp.139-164

루이 알튀세르와 ≪청년회화전≫ = Louis Althusser and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김새미 pp.165-189

천재(天才) = Genius : The Modern Change of the Concept of Art Examined through Cho Hee-Ryong's Notion of the Specificity of a Painter and a Painting : 조희룡의 화가와 회화의 특별함에 대한 인식을 통해 살펴본 회화개념의 근대적 변환 장은영 pp.191-209

김유정 문학의 웃음과 사랑 = Laughter and Love in Kim Yu-Jeong's Literature 김예리 pp.211-231

디지털 매체와 결합된 현대춤에서 스펙터클과 심미적 깊이의 상호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tacle and the Aesthetic Depth in Dance Combined with Digital Media 박서영 pp.233-257

공연예술 VR 콘텐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VR content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the Jultagi(traditional performing arts genre) : 전통연희 중 줄타기를 중심으로 이정희, 양승무 pp.259-286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Governmental Support System for Young Artists to Start up a Business : Focused on Ye-Kun-Dae Project : 예컨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강주희, 김선애, 이지연 pp.287-321

자유학기제 예술·체육 활동 프로그램 개발에의 시사점도출 = The Implications of Fine Arts/Physical Activities Program of the Free Semester System 정재은 pp.323-343

초등 예비 교사의 교수 행동 양식에 대한 시사점 고찰 =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 in Elementary Music Classes : 음악교과 수업 시연 사례를 중심으로 류미해 pp.345-362

대학생들의 음악적 특성과 향후 자녀 악기교육 의향간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tion to Educate Their Children in Instrumental Music 장은제, 조경숙, 윤철희 pp.363-383

예술치유 패러다임을 위한 지원정책의 역할과 전망 = The Role and Prospect of Support Policy for Arts Healing Paradigm : Focusing on Art Healing : 미술치유 중심으로 정여주 pp.5-31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경래. 안익태 . 서울: 태극출판사, 1976. 미소장
2 이경분. 잃어버린 시간: 1939-1944 . 서울: 휴머니스트, 2007. 미소장
3 미주 『한인학생회보』를 통해 본 안익태의 미국 유학시절 소장
4 허영한. 「자필기록을 기초로 한 안익태 유럽활동의 재구성」. 낭만음악 제73호.서울: 낭만음악사, 2006. 미소장
5 허영한. 「<한국환상곡>의 여행: 1937년 미국에서 1946년 스페인으로」. 낭만음악 제83호. 서울: 낭만음악사, 2009. 미소장
6 허영한. 「안익태와 마요르카 교향악단: 레퍼토리 연구」. 낭만음악 제85호. 서울:낭만음악사, 2009. 미소장
7 허영한. 「안익태의 미국활동 (1950-1958)」. 藝術論文集 제49호. 서울: 대한민국예술원, 2010. 미소장
8 EakTai Ahn and Cincinnati of America 소장
9 안익태와 스페인 소장
10 D. Talavera. 장선영 옮김. 나의 남편 안익태 . 서울: 신구문화사, 1974. 미소장
11 Anleu-Díaz, Enrique. “Aportes para la historia de la Orquesta Sinfo'nica Nacional de Gutemala (1970-2007).” Revista Tradiciones de Guatemala vol. 70. Centro de Estudio Folklóricos, 2007. 미소장
12 Gamboa, Norman. “Costa Rican Composer Luis Diego Herra and His Symphony 1: An Annotated Edition.” DMA dissertation, Louisiana State University, 2015. 미소장
13 López Alvarado, Marvin Ardany. “Propuesta De Ley Orgánica Para La Orquesta Sinfónica Nacional De Guatemala, Patrimonio Cultural De La Nación, Y Convertirla Como Entidad Descentralizada No Empresarial Del Estado De Guatemala.” Ph.D. dissertation. Universidad de San Carlos de Guatemala, 2005. 미소장
14 Vega, Eugenio Rodriguez. Costa Rica en el siglo XX, Vol. 1. San Jose: Editorial Universidad Estatal A Distancia, 2004. 미소장
15 동아일보 (한국, 서울) 미소장
16 일간 예술통신 (한국, 서울) 미소장
17 조선일보 (한국, 서울) 미소장
18 A Tarde (브라질, 사우바도르) 미소장
19 Diario de Centro America (과테말라, 과테말라시티) 미소장
20 Diario de Costa rica (코스타리카, 산호세) 미소장
21 Díário de Noticias (브라질, 사우바도르) 미소장
22 Diario Latino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 미소장
23 El Diario di Hoy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 미소장
24 Excelsior (멕시코, 멕시코시티) 미소장
25 Jornal da Bahia (브라질, 사우바도르) 미소장
26 La Gaceta (아르헨티나, 투쿠만) 미소장
27 La Nacion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미소장
28 La Nacion (코스타리카, 산호세) 미소장
29 La Prensa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미소장
30 La Republica (코스타리카, 산호세)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