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제국신문』(1907.5.17~1909.2.28) 논설란에 게재된 ‘풍속개량론’ 및 관련 논설, 기서, 별보를 잡보란에 수록된 ‘풍속’ 관련 ‘사건 기사’와 비교함으로써, 근대계몽을 주장한 매체와 지식인, 언론의 입장과 매체(기자/목격자)에 의해 관찰된 일상, 또는 그 안에 포섭된 당사자의 행동과 목소리의 ‘차이’를 ‘다층적 근대성’이라는 관점에서 해명했다.

『제국신문』은 풍속개량론을 연재하기 전에 사회와 일상에 대한 관찰을 수행하여, 체계적인 분석의 기초를 마련했고 비판과 대안을 모두 제안했다. 연재 전후에는 문제적 풍속이 나타난 인민의 태도를 비판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제언을 서술함으로써, ‘태도로서의 근대’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청국의 문제와 연결시킴으로써 아시아 내부의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했다.

풍속개량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 풍속은 의복, 개가, 압제혼, 육아 등인데, 여성 독자의 기서는 여기서 간과된 여성의 교육권과 교양적 처신을 논의함으로써, 매체의 관점을 확장하는 역할을 했다.

풍속개량론이 계몽의 언설구조를 취했다면, 이와 연결된 여성문제는 잡보란을 통해 ‘사건화’되어 서술되었다. 논설에서는 개가 허용을 강조했지만, 잡보란에서는 부모의 만류로 불가능했던 사연, 개가를 둘러싼 각종 사기와 폭행 사건, 과부 보쌈을 둘러싼 범죄가 서술되었으며, 사망한 남편을 따라죽는 여성을 여전히 열녀로 치하하는 기사가 공존했다.

조혼과 압제혼은 풍속개량론에서 비판된 혼례문화였는데, 잡보란을 통해 특히 각종 매매혼의 피해 사례가 빈번했음이 드러났고, 작첩, 통간, 폭력, 가출 등 혼인생활의 파국과 가정불화가 속출되었음이 보도되었다. 기사의 서술 시각은 여전히 남성 중심적이었지만, 여성의 억울함을 듣고 공감하는 관점이 공존하는 중층성을 띠었다.

잡보란에는 여성에 대한 강간, 화간(통간), 유명인에 연루된 성적 스캔들, 기생, 매음(위생, 범죄, 스캔들), 인신매매 등이 ‘사건화’ 되어 실렸다. 이는 논설이 주목하지 않았던 근대 초기 여성적 삶의 실상이다.

이 논문은 근대초기 인쇄매체를 대상으로 근대성을 논할 때, 지식인의 관점이 반영된 논설란만을 배타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논증하기 위해 ‘논설’와 ‘잡보’란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층적 근대성’이라는 연구 관점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교 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정치적 의제 = Comparative Research Regarding Affect Studies and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Gender Studies : Puissance of Ungovernables and the Fear Against the 'La Foule de Femme' : '여자 떼'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권명아 pp.7-38
아파트 공화국과 시기심의 민주주의 = The Apartment's Republic and the Democracy of Envy : Park Wan Suh's novel during dictatorial era of development : 박완서의 개발독재기 소설을 중심으로 김은하 pp.39-66
좀비는 정동될 수 있는가? = Are Zombies Capable to Be Affected? : The Affect of Neo-Liberalism and Future of Female-Survivors in Train to Busan : 「부산행」에 나타난 신자유주의 시대의 정동과 여성 생존자의 미래 이윤종 pp.67-100
'사건화'된 일상과 풍속개량론의 사회적 상상 = Everyday Life as a News and Social Imagination on the Improvement of Culture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lumns and Articles of Jekuk Sinmun with Gendered Perspective : 젠더적 시각으로 본『제국신문』의 '풍속개량' 논설과 여성 관련 잡보 기사의 비교 분석 최기숙 pp.103-152

김명순 시에 나타난 분노 감정 = Feelings of Anger in Kim Myeong-Sun's Poetry 송명희 pp.153-186
일제강점기 소설 속 하층민 아편중독자 표상 연구 = The Representation of a Subaltern Opium Addict in the Korean Novels at the Colonial Age : From View Point of the Maternity : 모성을 중심으로 김주리 pp.187-216
『사상계』기행문에 나타난 아시아 리저널리즘의 재편양상과 재건의 젠더 = A Perspectives of Asian Regionalism and Gender of Development in Travelogue of Sasanggye 김복순 pp.217-260

1960년대 과학주의와 젠더의 재구성 = Research on Discourse of Scientism and Gender in 1960s Magazine『Sasanggye』 : 『사상계』를 중심으로 이선옥 pp.261-302

1960~70년대 여성 시의 정전화 과정과 '센티멘털리즘'의 문제 = The Canonization of Women's Poetry in the 1960s-70s and the Issue of "Sentimentalism" : Focusing on the『Korean Women's Literary Collection』 : 『한국여류문학전집』을 중심으로 김은석 pp.303-335
'위기'의 여자들 = Women Destroyed : Translation of Beauvoir Text in the 1970's and Gender/Sexuality : 보부아르「위기의 여자」번역과 1970년대 젠더/섹슈얼리티 박지영 pp.337-373

『자기만의 방』과『여인무사』를 통해 본「뮬란」의 여성 주체 번역 실천 = The Female Subject in Mulan through A Room of One's Own and The Woman Warrior : the Overlapping Between Politics and Ethics in Judith Butler's Cultural Translation :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 번역에 나타난 정치와 윤리의 가능성 조현준 pp.375-411
'소녀'들의 이야기의 행방 : 다자이 오사무「여학생」「치요조」와 그 주변 나카야 이즈미 ; 신현아 역 ; 다지마 테츠오 감수 pp.415-446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 이현재 저 [서평] 박현선 [평] pp.449-459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제국신문』 미소장
2 근대초기매체연구회 편역, 『제국신문 미공개 논설자료집』, 현실문화, 2014. 미소장
3 김미지, 『누가 하이카라 여성을 데리고 사누』, 살림, 2005, 1~93쪽. 미소장
4 김미선 면담 편집ㆍ임형선ㆍ이종수ㆍ양충자 구술, 『모던 걸, 치장治裝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08, 1~335쪽. 미소장
5 김주리, 『모던 걸, 여우 목도리를 버려라: 근대적 패션의 풍경』, 살림, 2005, 1~95쪽. 미소장
6 C.Wright. Mills, 『사회학적 상상력』, 강희경ㆍ이해찬 역, 돌베개, 2004, 1~300쪽. 미소장
7 The Power of Jeguksinmun(The Newspaper of The Empire)-The Birth of “Women`s Sensibility” 소장
8 김은정, 「1920~30년대 한국 여성 패션과 소비문화의 변화」, 연세대 박사논문, 2013, 1~156쪽. 미소장
9 김주리, 「근대적 패션의 성립과 1930년대 문학의 변모」, 『한국현대문학연구』 7집, 한국현대문학회, 1999, 123~150쪽. 미소장
10 Women Minority Groups as the symbol of savageness - Centering around the discourses on the concubine, female shaman and prostitute shown in “Chekuk Sinmun (The Journal of Empire)” 소장
11 박애경, 「기생을 바라보는 근대의 시선: 근대 초기 신문 매체에 나타난 기생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323~357쪽. 미소장
12 Desires and Viewpoints of Civilization Shown in Enlightening-Gasa with Reference to the Discourses upon the Improvement of Public Morals 소장
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32집 목차 네이버 미소장
14 최기숙, 「전통과 근대의 ‘부정교합’, 표류라는 서사의 근대성」, 『고소설연구』 37집, 한국고소설학회, 2014ⓐ, 49~89쪽. 미소장
1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정체성과 지구화 시대의 과제 소장
16 The Paradox between Idea and Experience of Modernity surrounding Women`s Identities and their lives -The Female discourses and the Representation Printed in Jekuk-Sinmun 소장
17 최기숙, 「舊物如何成為頑固: 透過帝國新聞(1898-1908)看近代化理論的錯綜與逆說(‘옛것’은 어떻게 ‘완고’가 되었나?: 『제국신문』(1898-1908)을 통해 본 근대화 논리의 착종과 역설)」, 대만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연세대 국학연구원 HK사업단 제 2회 공동학술회의 발표문, 2014ⓓ. 4.21(월), 대만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 2층 회의실, (中國語:1~13)+(한국어:1~19)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