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대중매체, 부모, 친구의 영향과 같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신체 비교 및 마른몸 규범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신체 비교와 마른몸 규범화는 신체 불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신체 불만족은 신체 보완 제품의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부산지역에 살고 있는 20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다음 자료를 분석하여 가설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각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모형은 대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는 대체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대중매체, 부모, 친구의 영향과 같은 사회문화적 압력 중에서 부모의 영향만이 신체 비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마른 몸 규범화에 대해서는 대중매체, 부모, 친구의 영향과 같은 모든 사회문화적 압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에서 친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신체 비교와 마른몸 규범화 중에서 마른몸 규범화만이 신체 불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체 불만족 정도가 높을수록 화장품, 옷, 액세서리와 같은 신체 보완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문화적 압력 중에서도 특히 부모의 영향이 신체 비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자녀와의 대화에서 외모지상주의에 근거한 신체 비하적인 표현을 사용하게 되면 자기 존중감이 약해진 자녀가 자신의 신체를 타인과 비교하는 경향이 커질 수 있으므로 자기 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부모와 자식 간의 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마른 몸매를 이상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사회문화적 압력 중에서 친구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친구 사이에 공유되는 신체 기준을 적정 수준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Study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 소장 |
2 | 김영신, 「여자고등학생의 신체불만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삼자영향모형’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3 | 초등학생의 체중조절에 대한 경함과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 | 소장 |
4 | Effect of self-esteem, body image and external factors of body type on die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 소장 |
5 | 남인용, 박경미, 「광고모델의 신체 노출과 소비자의 성별 및 신체 존중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통권제 22호, pp162, 2002. | 미소장 |
6 | 광고모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체이미지 비교를 중심으로 | 소장 |
7 | The Perceived Body Importance Model of Self-Evaluation on Restrained Eating and Bulimia Behaviors in a sample of female undergraduate | 소장 |
8 | 박희숙, 「여고생의 체형에 대한 인식과 다이어트 행동의도에 관한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 미소장 |
9 | 여대생의 자아존중감, 신체 비교, 마른 이상적인 체형의 내면화, 신체 불만족이 이상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0 | 신미영, 「대중매체가 여성의 다이어트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미소장 |
11 | 대중매체 노출이 신체상 지각과 상태 신체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2 | 성인 여성의 신체적 매력성 자아지각이 자존심과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3 | 조근영, 「광고 모델의 신체적 매력이 수용자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회 비교(Social comparison)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 미소장 |
14 | Effects of the Media, Peers and Parents on Adolescents'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the Body Satisfaction | 소장 |
15 | 하지현, 「신체 이미지 관련 광고 노출이 광고의 비의도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20대 남성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미소장 |
16 | study on the effects of proccessings of thin promoting TV messages on college females' body satisfaction and dieting behaviors | 소장 |
17 | 홍종필, 이시연, 「잡지 속의 신체 이미지 광고에 대한 노출이 20 대 여성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 &문화, 4, 72-118, 2005. | 미소장 |
18 | META-ANALYSES OF THE EFFECTS OF MEDIA IMAGES ON MEN'S BODY-IMAGE CONCERNS ![]() |
미소장 |
19 | Television images and adolescent girls' body image disturbance ![]() |
미소장 |
20 | Developmental expression of c-kit, a proto-oncogene encoded by the W locus. ![]() |
미소장 |
21 | Featherstone, M., Hepworth, M., & Turner, B. S., The body: Social process and cultural theory, (Vol. 7) Sage, 1991. | 미소장 |
22 |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 |
미소장 |
23 | Gagnard, A.,“From feast to famine: Depiction of ideal body type in magazine advertising: 1950–1984,” I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Vol. 27, pp. 461-470, 1986. | 미소장 |
24 | Developmental Changes in Children's Body Images ![]() |
미소장 |
25 | Social Comparison Theory Psychology from the Lost and Found ![]() |
미소장 |
26 |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sumption and eating disorders ![]() |
미소장 |
27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measuring state self-esteem. ![]() |
미소장 |
28 | Body Image and Televised Images of Thinness and Attractiveness: A Controlled Laboratory Investigation ![]() |
미소장 |
29 | Helfert, S. & Warschburger, P, “A prospective study on the impact of peer and parental pressure on body dissatisfaction in adolescent girls and boys,”Body Image, 8(2), 101–109, 2011. | 미소장 |
30 | An evaluation of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of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turbance with adolescent girls. ![]() |
미소장 |
31 | Family influence on disordered eating: The role of body image dissatisfaction ![]() |
미소장 |
32 | Lakoff, R. T, & Scherr, R. L. Face value, the politics of beauty, Routledge, 1984. | 미소장 |
33 | Linkages between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 |
미소장 |
34 | Particularistic and universalistic evaluation in the social comparison process. ![]() |
미소장 |
35 | Family Weight Talk and Dieting: How Much Do They Matter for Body Dissatisfacti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 Adolescent Girls? ![]() |
미소장 |
36 | Children's perceptions of peer influence on eating concerns ![]() |
미소장 |
37 | Social Comparison and the Idealized Images of Advertising ![]() |
미소장 |
38 | Body Imag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in College Women ![]() |
미소장 |
39 | Body image,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parental feedback regarding physical appearance ![]() |
미소장 |
40 | Explanations of body image disturbance: A test of maturational status, negative verbal commentary, social comparison, and sociocultural hypotheses ![]() |
미소장 |
41 | Toward an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for bulimia. ![]() |
미소장 |
42 | Thin-Ideal Internalization: Mounting Evidence for a New Risk Factor for Body-Image Disturbance and Eating Pathology ![]() |
미소장 |
43 |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in the Effect of Magazine Advertisements on Women's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