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학교 텃밭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텃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사전-사후 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텃밭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에게 자신에게 맡겨진 일을 위해 어려움을 참고 시작한 일을 끝까지 해내며 그 일을 남에게 미루지 않는 책임성을 길러주었다. 둘째,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은 구성원이 함께 맡겨진 일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앞으로의 일에 대해 대비하는 방법을 배우며 이를 통해 얻어지는 것들에 대해 강한 성취감을 갖게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에게 자신이 이룬 것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고 이를 통해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 및 자기에 대한 가치를 존중할 줄 아는 자기 우월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넷째,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은 자신이 계획하고 기대한 바와 결과가 다르더라도 이를 빠르게 인정하고 다음을 준비하는 안정감을 갖게 하는 효과를 갖추게 하였다. 다섯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에게 함께하는 협동심을 길러주고 주변을 돌아보는 태도와 자신의 것을 나누며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 대해 인식하는 폭넓은 인성을 갖추게 하여 점차 사회적 사교성에 영향을 줌으로 교우관계가 눈에 띄게 개선되는 현상을 보였다. 여섯째,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타인과 여러 상황에 대해 좀 더 이해하는 배려심과 자신의 행동에 스스로 반성하는 태도를 갖추게 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학교 텃밭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세구(2010). 식물 가꾸기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강신성(2004). 초등실과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아동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Exploring on Meaning, Advantages and Principles of Learning by Direct Experienc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 소장 |
4 | 김윤경(2014). 초등학교 텃밭 운영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윤정(2014). 초등학교 학교 텃밭 조성과 이용에 따른 교사, 학부모, 및 초등학생의 인식.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Effect of Plants Education on the Personalit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소장 |
7 | 김주리(2010). 초등학생의 식물에 대한 태도와 인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김혜영(2013). 식물 기르기를 통한 중학생의 식물에 대한 감수성과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희정(2013). 학교 텃밭 체험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일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The Model Develop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aking advantage of Flower | 소장 |
11 | 박미화(1998). 초등학교 인성교육에 관한 덕목별 현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박태호(2012). 도시텃밭의 운영프로그램이 참여자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윤순구(2001). 재배 활동이 아동들의 인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이경용(2010). 야생화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이민규(2004). 야생화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이용선(2012). 베란다 상자 텃밭 가꾸기 실제가 초등학생의 통합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이윤정(2011). 초등학교 실내 식물 가꾸기 활동이 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여성환경연대(2014). 자연을 꿈꾸는 학교 텃밭. 들녘. | 미소장 |
19 | 장진, 이교영, 오충현(2011). 수도권지역 스쿨팜(School Farm)유형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2). pp.120-123. | 미소장 |
20 | Effect of Gardening Activ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veness | 소장 |
21 | 정모근(2003). 인성교육과 실과교육. 한국실과교육학회. | 미소장 |
22 | 진흥섭(2003). 인성교육을 위한 인성덕목의 요인분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최원호(2016). 인성교육개론. 학지사. | 미소장 |
24 | 최유현(1998). 실과교육 연구. 서울:형설출판사. | 미소장 |
25 | 한국교육학회(1998). 인성교육. 서울:문음사. | 미소장 |
26 | Jeffrey Hou, Julie Johnson, and Laura Lawson(2009). Greening Cities Growing Communities Learning from Seattle's urban community garden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