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장르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닌 텍스트집단을 가리킨다. 한 텍스트가 특정 텍스트 집단에 속한다는 것은 이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집단에 속하는 텍스트들의 성격이 상이하며, 더 나아가 이 텍스트집단과 다른 텍스트집단들이 서로 다르다는 뜻을 내포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장르 개념은 보편성과 역사성 중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뉜다. 보편성을 강조하는 장르개념은 존재론적 혹은 인간학적 특성이나 작품내재적 근거에 기초한다. 이러한 장르이론들은 장르를 고정불변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장르현상의 가변성과 역사성에 전혀 주목하지 않는다. 반면 장르의 역사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장르이론들은 장르를 역사적으로 상이한 소통방식이나 전달형식으로 이해한다.
오늘날에는 장르가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문화적, 사회적 합의과정의 결과라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이러한 인식에 기반을 둔 장르이론들은 장르 현상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장르의 생성조건, 사회적 기능, 독자의 기대지평, 장르들 간의 경쟁 등) 다소 차이는 있지만 공히 장르의 변화과정과 제반 조건을 밝히고 기술하는데 역점을 둔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nz, Thomas. Literatur und Lust, München, 1998. | 미소장 |
2 | Bakhtin, Mikhail. Speech Genre and Other Late Essays, Austin 1986. | 미소장 |
3 | Eichenbaum, Boris. “Das literarische Leben”, J. Striedter (Hg.), Russischer Formalismus, München, 1969, 463-481. | 미소장 |
4 | Gaiser, Gottlieb. Literaturgeschichte und literarische Institutionen. Zu einer Pragmatik der Literatur, Meitingen, 1993. | 미소장 |
5 | Goethe, Johann Wolfgang, Werke. Hamburger Ausgabe, hrsg. v. E. Trunz, Hamburg, 1965. | 미소장 |
6 | Gunkel, Hermann. Einleitung in die Psalmen, Göttingen, 1966. | 미소장 |
7 | Hempfer, Klaus W.. Gattungstheorie, München, 1973. | 미소장 |
8 | Horn, András. Theorie der literarischen Gattungen, Würzburg, 1998. | 미소장 |
9 | Jauß, Hans Robert. “Theorien der Gattungen und Literatur des Mittelalters”, H. R. Jauß u. E. Köhler (Hg.), Grundriß der romanischen Literaturen des Mittelalters, Bd. 1, Heidelberg. 1972, 107-138. | 미소장 |
10 | Jauß, Hans Robert, Literaturgeschichte als Provokation, Frankfurt a. M., 1979. | 미소장 |
11 | Jolles, André. Einfache Formen, Tübingen, 1972. | 미소장 |
12 | Marsch, Edgar. “Gattungssystem und Gattungswandel”. W. Haubrichs (Hg.), Probleme der Literaturgeschichtsschreibung, Göttingen 1979, 104-123. | 미소장 |
13 | Müller, Harro. “Literaturgeschichte und allgemeine Geschichte”, H. Brackert u. E. Lämmert (Hg.), Literatur. Frankfurt a. M., 1981. | 미소장 |
14 | Müller-Dyes, Klaus. “Gattungsfragen”, H. L. Arnold u. H Detering (Hg.), Grundzüge der Literaturwissenschaft, München, 1997, 323-348. | 미소장 |
15 | Meyer, Holt. “Gattung”, M. Pwchivanos u. a. (Hg.), Einführung in die Literaturwissenschaft, Stuttgart, 1995, 66-77. | 미소장 |
16 | Schnur-Wellport M.. Aporien der Gattungstheorie aus semiotischer Sicht, Tübingen, 1983. | 미소장 |
17 | Staiger, Emil. Grundbegriffe der Poetik, München, 1978. | 미소장 |
18 | Striedter, Jurij. Russischer Formalismus. Texte zur allgemeinen Literaturtheorie und zur Theorie der Prosa, München, 1981. | 미소장 |
19 | Suerbaum, Ulrich. “Texte, Gattung, Intertextualität”, B. Fabian (Hg.), Anglistischer Grundkurs. Einführung in die Literaturwissenschaft, Berlin, 2004, 81-123. | 미소장 |
20 | Tynjanow, Jurij. Die literarische Kunstmittel und die Evolution in der Literatur, Frankfurt a. M., 1967. | 미소장 |
21 | Voßkamp, Wilhelm. “Gattungen und Epochen in der Literaturgeschichte”, H. Brackert u. E. Lämmert (Hg.), Literatur, Frankfurt a, M., 1981, 170-192. | 미소장 |
22 | Voßkamp, Wilhelm, “Gattungen als literarisch-soziale Institutionen. Zu Problemen sozial- und funktions- geschichtlich orientierter Gattungstheorie und –historie”, W. Hinck (Hg.), Textsortenlehre – Gattungsge- schichte, Heidelberg, 1977, 27-42. | 미소장 |
23 | Wenzel, Peter. “Gattungsgeschichte”, A. Nünning (Hg.), Metzlers Lexikon. Literatur- und Kulturtheorie, Stuutgart, 1998, 174-175. | 미소장 |
24 | Wittgenstein, Ludwig.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Frankfurt a. M., 198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