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윤림호 소설 연구 = A Study on Yoon, Lim-ho's Novels / 최병우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억압된 정치 상황 속의 감추어진 영웅 5
3.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 10
4. 환상을 통한 야생과 인간의 대비 16
5. 한국 체험의 소설화, 그 한계와 의의 22
6. 결론 28
참고문헌 30
[요약] 32
본고는 윤림호의 소설을 창작 시기 별로 작품의 경향을 정리하고, 그러한 경향성을 띠게 된 요인을 검토하여 그 전체적 모습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윤림호의 소설은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여 개혁개방과 한중수교 등으로 경제적으로 윤택해지면서 돈 때문에 윤리가 사라진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한중 교류로 한국을 통해 부를 획득하였지만 한국과의 접촉으로 그들이 태어난 중국 땅이 고향이라는 의식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윤림호 소설은 급변하는 조선족의 현실을 올바로 형상화하고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가치관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또 1990년대 중반 이후 환상적인 세계와 야생성의 세계에 과도하게 몰입함으로써 소설적 리얼리티를 상실하고, 필요 이상의 사건을 나열하여 주제가 산만해진 점도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윤림호 작품에 나타난 이러한 한계는 작가가 시대 변화를 해석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새로운 시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소설적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결과일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윤림호, 『투사의 슬픔』,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5. | 미소장 |
2 | 윤림호, 『고요한 라고하』,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2. | 미소장 |
3 | 윤림호, 『조막손로친과 세다리 개』, 료녕민족출판사, 2001. | 미소장 |
4 | 윤림호, 『승냥이가 울던 계절』,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2. | 미소장 |
5 | 윤림호, <명암의 세계>, 『연변문학』 2000.1~2000.10. | 미소장 |
6 | 윤림호, <산의 사랑>, 『아리랑』 1986.5. | 미소장 |
7 | 윤림호, <라고하>, 『아리랑』 1991.11. | 미소장 |
8 | 윤림호, <생활의 교실>, 『천지』 1998.6. | 미소장 |
9 | 강걸, 「윤림호 소설의 주제학적 연구」, 연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미소장 |
10 | 김호웅․조성일․김관웅, 『중국조선족문학통사 하』, 연변인민출판사, 2012. | 미소장 |
11 | 리장수, 「윤림호 소설로부터 말해본다」, 『20세기중국조선족문학선집4』, 연변인민출판사, 1999: 223~230쪽. | 미소장 |
12 | 리혜선․손문혁 정리, 『연변작가협회 대사기』, 연변인민출판사, 2006. | 미소장 |
13 | Presentation and Significance of Nationalism in Novels by Limho Yoon | 소장 |
14 | 오상순, 『개혁개방과 중국조선족 소설문학』, 월인, 2001. | 미소장 |
15 | 왕단, 송인재 역, 『왕단의 중국현대사』, 동아시아, 2013. | 미소장 |
16 | 이광일, 『해방 후 조선족 소설문학 연구』, 경인문화사, 2003. | 미소장 |
17 | 최병우, 「한중수교가 중국조선족 소설에 미친 영향 연구」, 『국어국문학』 제151호, 국어국문학회, 2009: 463~486쪽. | 미소장 |
18 | National Identity Observed in Choseonjok Novels | 소장 |
19 | 황수민, 양영균 역, 『린 마을 이야기』, 이산, 2003. | 미소장 |
20 | 김호웅(hxjin525@ybu.edu.cn)의 메일, 2017. 2. 11. | 미소장 |
21 | 우광훈(ghwoo5469@hanmail.net)의 메일, 2017. 1. 2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