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윤림호 소설 연구 = A Study on Yoon, Lim-ho's Novels / 최병우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억압된 정치 상황 속의 감추어진 영웅 5

3.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 10

4. 환상을 통한 야생과 인간의 대비 16

5. 한국 체험의 소설화, 그 한계와 의의 22

6. 결론 28

참고문헌 30

[요약] 32

초록보기

본고는 윤림호의 소설을 창작 시기 별로 작품의 경향을 정리하고, 그러한 경향성을 띠게 된 요인을 검토하여 그 전체적 모습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윤림호의 소설은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여 개혁개방과 한중수교 등으로 경제적으로 윤택해지면서 돈 때문에 윤리가 사라진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한중 교류로 한국을 통해 부를 획득하였지만 한국과의 접촉으로 그들이 태어난 중국 땅이 고향이라는 의식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윤림호 소설은 급변하는 조선족의 현실을 올바로 형상화하고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가치관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또 1990년대 중반 이후 환상적인 세계와 야생성의 세계에 과도하게 몰입함으로써 소설적 리얼리티를 상실하고, 필요 이상의 사건을 나열하여 주제가 산만해진 점도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윤림호 작품에 나타난 이러한 한계는 작가가 시대 변화를 해석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새로운 시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소설적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결과일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 독자의 현대시 선호 양상 연구 = A Study on Asp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ecting and Estimating Poems 민재원 pp.35-70

보기
윤림호 소설 연구 = A Study on Yoon, Lim-ho's Novels 최병우 pp.251-283

보기
김소월의 한시 국역 양상과 그 문학사적 의미 연구 = A Study on Kim, So-Woel's Translation of Hansi and Its Literary Historical Meaning : focus on the directivity of orality and songs : 구술적 특성과 노래 지향성을 중심으로 정소연 pp.137-178

보기
최부 ≪표해록≫ 언해본의 이본 고찰 =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of Choi Bu's ≪Pyohaerok(漂海錄)≫ 이지영 pp.5-33

보기
태고 보우의 산문과 가음명시(歌吟銘詩)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성격 =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aegobowu(太古普愚)'s writer consciousness in his Gaeummeong(歌吟銘) poetry and prose 전재강 pp.103-135

보기
함허당 경기체가의 주제의식과 문학적 성격 = The Theme Consciousness and Literary Character of Ham Heo dang's Kyunggiche 김기종 pp.71-102

보기
경쟁사회와 감정의 작동방식 = Competitive Society and the Operation of Emotions : Focusing on Youth Culture in <Fashion King> : 웹툰 <패션왕>에 나타난 청소년 문화를 중심으로 김연숙 pp.179-207

보기
1920년대 신문 '기자/작가' 은파 박용환 문학 연구 = 1920s Newspaper 'journalist/writer' Eunpa Park Yong-hwan Literary research 배정상 pp.209-249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윤림호, 『투사의 슬픔』,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5. 미소장
2 윤림호, 『고요한 라고하』,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2. 미소장
3 윤림호, 『조막손로친과 세다리 개』, 료녕민족출판사, 2001. 미소장
4 윤림호, 『승냥이가 울던 계절』,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2. 미소장
5 윤림호, <명암의 세계>, 『연변문학』 2000.1~2000.10. 미소장
6 윤림호, <산의 사랑>, 『아리랑』 1986.5. 미소장
7 윤림호, <라고하>, 『아리랑』 1991.11. 미소장
8 윤림호, <생활의 교실>, 『천지』 1998.6. 미소장
9 강걸, 「윤림호 소설의 주제학적 연구」, 연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10 김호웅․조성일․김관웅, 『중국조선족문학통사 하』, 연변인민출판사, 2012. 미소장
11 리장수, 「윤림호 소설로부터 말해본다」, 『20세기중국조선족문학선집4』, 연변인민출판사, 1999: 223~230쪽. 미소장
12 리혜선․손문혁 정리, 『연변작가협회 대사기』, 연변인민출판사, 2006. 미소장
13 Presentation and Significance of Nationalism in Novels by Limho Yoon 소장
14 오상순, 『개혁개방과 중국조선족 소설문학』, 월인, 2001. 미소장
15 왕단, 송인재 역, 『왕단의 중국현대사』, 동아시아, 2013. 미소장
16 이광일, 『해방 후 조선족 소설문학 연구』, 경인문화사, 2003. 미소장
17 최병우, 「한중수교가 중국조선족 소설에 미친 영향 연구」, 『국어국문학』 제151호, 국어국문학회, 2009: 463~486쪽. 미소장
18 National Identity Observed in Choseonjok Novels 소장
19 황수민, 양영균 역, 『린 마을 이야기』, 이산, 2003. 미소장
20 김호웅(hxjin525@ybu.edu.cn)의 메일, 2017. 2. 11. 미소장
21 우광훈(ghwoo5469@hanmail.net)의 메일, 2017. 1. 2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