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SF 영화는 과학기술이라는 소재와 공상적 이야기라는 모티브를 통해 관객을 지구상의 상식과는 다른 시공간으로 초대하는 장르다. 따라서 이 장르에는 미래비전에 대한 인간의 관념과 인류의 불확실성에 대한 고민 등이 담겨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관념은 우주전쟁 이후의 비참한 인간상을 통해 제시되거나 또는 유토피아적으로 설계되어 있던 인류의 모형사회가 묵시록적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그래비티 = Gravity (2013) : A formalistic interpretation of the realistic SF movie : 사실주의적 SF 영화의 형식주의적 해석 배상준, 정수완 pp.9-48

포스트IMF기 한국 복수영화 연구 = Revenge Films in the Post-IMF Korean Cinema 곽한주 pp.49-79

가부장제를 통해 바라본 권력의 메커니즘 연구 = Study on Mechanism of Power through Patriarchy : Focus on Mise en Scene Film Miss Violence : 영화 <은밀한 가족>의 미장센을 중심으로 이명보 pp.81-100

빛과의 조우 = Encounter with the glimmer : Focusing on the politics of survival showned on Saul fia (2015) : <사울의 아들>(Saul fia, 2015)에 나타난 잔존의 정치 김수진 pp.101-121

<붉은 살의>의 공간적 함의 =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oppression and desire in Imamura Shohei's Intentions of Murder : 억압과 욕망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황균민 pp.123-159

속도감을 높이는 영상 기법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film technique to increase a perceived pace = 에드가 라이트의 3부작 영화를 중심으로 정승은 pp.161-199

Masculine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n Cinema = 한국영화에 나타난 남성 재현에 대한 연구 Lee, Aramchan pp.201-238

자기반영성의 영화로서 <전우치> = Jeon Woochi : The Taoist Wizard as a Film of Self-Reflexivity : Focusing on the Media Reproduction : 매체 재현을 중심으로 진수미 pp.239-266

<오발탄>, <박서방>, <혈맥>의 스타일적 차이에 따른 해방촌 재현의 의미 =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of Hea Bang Chon On The Difference of Film Style : focusing Aimless Bullet, Mr. Park, Bloodline 홍진혁 pp.267-291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선순환구조 모색 = In search of an industry-wise of short film works by students by leveraging new media image platforms 정원식 pp.293-314

게임과 전통적 내러티브의 차이 = Games and Narrative 문원립 pp.315-338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루이스 자네티 저, 박만준․진기행 역, 「영화의 이해」, 제10판, K-books, 2008. 미소장
2 배리 랭포트 저, 방혜진 역, 「영화 장르」, 한나래, 2010. 미소장
3 배상준, 「영화예술학 입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미소장
4 배상준, 「장르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미소장
5 수전 손택 저, 이민아 역,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02. 미소장
6 앙드레 바쟁 저, 박상규 역,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1998. 미소장
7 울리히 벡 저, 홍성태 역,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2006. 미소장
8 이승구․이용관, 「영화용어해설집」, 영화진흥공사, 1990. 미소장
9 질 들뢰즈 저, 이정하 역, 「시네마II」, 시각과 언어, 2005. 미소장
10 권병철, 「<그래비티>의 움직임 연출」, 「씨네포럼」, 24호, 2016, 43~74쪽. 미소장
11 영화 존재론 소장
12 Puppet in film - image symbol of passions - Fassbinder, , - 소장
13 게임이 된 영화, 혹은 영화가 된 게임 : 알폰소 쿠아론의 <그래비티>에서 게임요소의 영화적 변용 소장
14 오가희,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 영화 ‘그래비티’의 우주미아귀환기」, 「과학동아」, 11호, 2013, 40~43쪽. 미소장
15 Cinematic space of and ‘Earth-Being’ - Focusing on sense of anxiety 소장
16 할리우드 SF는 후기산업사회 이데올로기인가? 네이버 미소장
17 할리우드 지구 종말 SF 영화 : <블레이드 러너>와 <인터스텔라>의 디스토피아적 시공간성 소장
18 Koebner, Thomas. Filmgenres. Science Fiction. Stuttgart: Reclam, 2003. 미소장
19 Koebner, Thomas. Reclams Sachlexikon des Films. Stuttgart:Reclam, 2002. 미소장
20 네이버 지식백과, 크리스토포로스(聖) [Christophoros] 미술대사전(인명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미소장
21 배명훈, 상상이 아닌 진짜의 세계. 씨네21 2013.11.14.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4988) 미소장
22 허문영, 무중력의 카메라, 외설적 카메라. 씨네21 2013.11.21.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5047) 미소장
23 리차드 맥브라이드(Richard McBride), 시각효과 감독의 영상 인터뷰(https://www.youtube.com/watch?v=OXpKvFwDOF4) 미소장
24 미리디트 워너(Meredith Woerner), 쿠아론 감독과의 인터뷰, Gravity’s ending holds a deeper meaining, says Alfonso Cuaron. http://io9.com/gravitys-ending-holds-a-deeper-meaning-sa ys-alfonso-c-144269078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