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현대 사회가 도시화정보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의 기능과 경관이 발달하고 있으며, 이는 도심에 새로운 공간 형태를 만들고 있다. 이것은 공공문화 이미지 및 디자인 향상 등 도심 환경 개선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심내 공사장 가림막이 다양한 디자인 유형으로 표현되면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공간 공사장 가림막의 사례에 관하여 살펴보고, 정보 시각화 특성을 중심으로 국내국외 도심 내 공공장소에 설치 된 공사장 가림막 디자인의 사례조사들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사례 선정은 2009년 이후 국내국외 11개를 선정하였으며, 서울시 공공시설물의 기본 가이드라인에서 정의한 7가지 특성(테마성, 기능성, 심미성, 친환경성, 교류성, 정체성, 보편성)과 정보 시각화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1개 사례 중 8개 사례에서 타이포를 활용하였고, 3개 사례가 오브제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질감을 표현하여 사람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선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1개 사례 모두 기능성과 심미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5개 사례가 친환경성, 8개 사례가 테마성, 2개 사례가 교류성, 5개 사례가 정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 시각화 요소의 유형은 전달형, 친환경형, 참여형, 지역형, 아트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정보 전달형에는 모든 사례가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정보 시각화 요소와 공사장 가림막의 특성을 사례를 중점으로 탐색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것을 토대로 향후 도심 내 공공공간 공사장 가로환경 개선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continual urbanization of modern societies, there have been great progress in both the functions and forms of cityscapes. Accordingly, developments in urban spatial methodologies have likewise arisen to cope with these changing times.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such methodologie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urban centers. More recently, there have been an even keener interest and attention on the examinations of fen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encing mechanism of urban public spaces as focal points of urban center development, drawing upon multiple case studies for further comparative analysis. In total, eleven national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have been selected, all of which have been conducted after 2009. Analysis is based on seven core characteristics of the fences: Theme, function, aesthetics, environmentalism, interchangeability, identity, and ubiquity. The results focus on three key points. First, eight of the eleven case studies exhibit design elements that contain letters and characters, while the remaining three primarily have motifs. Second, all eleven case studies demonstrate a focus towards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of which five emphasize on environmentally friendly initiatives, eight are thematic, two indicate interchangeability, and five case studies are holistic.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se characteristics through informational visualization pertaining to transmission, environmental, participatory, territorial, and artistic models. Serving as a basis for future studies, this paper hopes to perpetuate an interest towards understanding the utilization of fences and its relationship with urban public spaces and urban cent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 = Education Course of Bauhaus : focused on Wassily Kandinsky's integrated education : 바실리 칸딘스키의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송혜영 pp.295-308

복식디자인에 나타난 인공피부 이미지가 갖는 의미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Artificial Skin Images in Costume Designs 유연재, 최정화 pp.365-380

기하학적 모듈을 활용한 텍스타일 장신구 디자인 연구 = A Study of Textile Ornament Design Using Geometric Module 선다혜 pp.269-280

패션 브랜드 피터 필로토의 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Peter Pilotto 신혜정 pp.309-326

전통색 오정색, 십간색과 복합색채시스템 비교연구 = A study on comparative between traditional color and compound color order system 정성환 pp.585-596

중국 소비자의 SNS(시나 웨이보) 이용에서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속성 지각과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nalysis of Effect of Perceived Korean Fashion Brand Traits by Sina Weibo User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Korean Fashion Brands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Chinese SNS(Sina Weibo) Activities 전상, 김칠순 pp.539-552

제품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본 유사성과 창작성 판단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judgement of Similarity and Originality from Product Design 박해림, 김성현 pp.215-228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스니커즈 디자인의 경향 분석 = Analysis on Sneakers Design Trend Observed in Fashion Collections : focused on design since 2000 : 2000년 이후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재영 pp.487-500

조형예술에서 일상 오브제(objet)의 표현에 관한 분석 = Analysis for expression of objet in daily routine 서정배 pp.255-268

일본 프리츠커 수상 작품에 나타난 일본 전통공간의 특성 연구 = Study on Features of Japanese Traditional Space as Appeared in the Works of Pritzker Prize : based on the background of Japanese traditional space formation : 일본 전통 공간 형성 배경을 중심으로 김민정, 윤재은 pp.51-62

법정 프레젠테이션의 논지 전개를 위한 그래픽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Graphic Tools for Main Thesis Deployment of Court Presentation 백서영 pp.243-254

프리저 페이퍼를 활용한 퀼트 기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Quilt Technique using Freezer Paper : Focused on the cases of the researcher : 연구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배석인, 강기용 pp.229-242

공공공간 공사장 가림막의 디자인 정보 시각화 유형에 관한 연구 = The research on visual informatization of public space block 바이옌, 서한석, 안병진 pp.175-188

중국 도시브랜드 로고디자인에 나타난 한자문화요인 분석 = Analysis on the Cultural Factors of Chinese Characters in Urban Brand Logo Design in China 우야오, 박진숙 pp.339-350

모듈의 가변성과 미니셀 소재를 활용한 비정형적 입체 조형물 제안 = A Study on Atypical Three Dimensional Artwork Using Variability of Module and Minicel Material 이영은 pp.447-458

주얼리 디자인에 있어서 전형성 요소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ypicality Elements in Jewelry Design : 20 University students surveyed : 20대 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양일, 형성은, 정성환 pp.327-338

국내 문화예술 포스터의 한글 레터링 시각적 특징 분석 = The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Hangeul Lettering on the Domestic Culture Art Poster : focusing on the posters from 2010 to 2015 of museums, galleries, and culture & art centers in Seoul : 서울 소재의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의 2010년~2015년 포스터를 중심으로 이슬예리, 박수진 pp.433-446

친환경 메세지 전달을 위한 패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for the green message delivery 전성찬, 윤지영, 김현주 pp.553-570

중국 뚜도우의 조형이 반영된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expressed Chinese Dudou's Form 노사우, 최유진, 김정숙 pp.143-154
우화 그림책을 활용한 상담이 대학생의 자존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How much influence fable picture book based interviews give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recognition 임난영 pp.527-538

가정용 체성분 분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I/UX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UI/UX design of mobile application of home body composition analyzer : Focusing on the Inbody dial : 인바디 다이얼을 중심으로 최용순 pp.659-670

Big-Six 모델 기반의 카모티콘 및 표정 언어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 of Carmoticon and Facial Express Language Based on Big-Six Model 전진이 pp.571-584

대학 교과 과정에서의 산학협력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사례 제안과 수업 평가 체계 디자인 = The Sugges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Capstone Design Program Case and the Design of Course Evaluation System in University Curriculum : focusing on the case of developing family-type lifestyle fashion product using digital textile printing : 디지털 날염을 활용한 가족형 라이프스타일 패션제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주 pp.125-142

현대 명상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ditation space 김주아, 황용섭, 이돈일 pp.99-110

현대 가구디자인에 나타나는 시간성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emporality Appearing in the Contemporary Furniture Design : focused on process art : 과정예술(Process Art)을 중심으로 김소현 pp.87-98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위한 공공정보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emporality Appearing in the Contemporary Furniture Design : focused on process art 김성만 pp.75-86

오리지널 판화와 복제품의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Print and Reproduction 하임성 pp.685-698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 The study on development possibility of wearable art through biological approach 김계옥 pp.37-50

업사이클링 산업의 수요 창출을 위한 가치 연구 = A Study on the Value for Creating Demand for Up-cycling Industries 기수아, 반영환 pp.25-36

1970~80년대 아파트 이름과 아파트 외벽 글자 레터링의 조형적 특징 = A study on the apartment names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letterings of the 1970~80s 정재완 pp.617-630

이우환과 일본 = Lee Ufan and Japan : Reading Lee Ufan's works in the context of Japanese culture : 일본문화의 맥락에서 이우환의 작품읽기 원영태 pp.351-364

라비유 기야르(Labille-Guiard)와 비제 르 브룅(Vigee-Le Brun)의 초상화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 A Study on Femininity in the Portraits of Labille-Guiard and Vigee-Le Brun 윤민주, 정금희 pp.381-394

디지털 추상 이미지의 유형과 가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Value of Digital Abstract Images 소나영, 장민한 pp.281-294

한국의 전통적 형태미와 한국추상미술의 근원 = The Traditional Formative Beauty of Korea and the Origin of Korean Abstract Art : Analysis of the Korean Aesthetics by Andreas Eckardt : 안드레 에카르트의 한국적 미학 분석 권성운 pp.13-24

한국 기독교공간에 나타난 종교현상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ligious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aces in Korea : Focusing on M. Eliade's religious phenomenology : M. 엘리아데의 종교현상학을 중심으로 이진경, 김문덕 pp.501-514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보행환경의 인클루시브 워커빌리티 평가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clusive Walkability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order to prepare for a super-aged society : Focus on Physical Environment Analysis : 물리적 환경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영 pp.459-472

프랙탈 특성을 적용한 소재 개발 기반의 패션디자인 = A study on Fashion Design based on Material Development Appli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ractal 정인의, 윤지영, 김현주 pp.597-616

트랜스미디어 활용을 통한 공감각적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yn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Use of Transmedia : Focusing on campaign cases of 'Searching for the Koreanness' : '한국다움을 찾아서'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보람, 장동련 pp.407-418

일본 전통문화의 관점에서 후지모리 테루노부 다실건축의 재료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Architectural Materials in Terunobu Fujimori's Tea House from Japanese Cultural Perspective : focused on culinary triangle of Claude Levi Strauss : 레비스트로스의 요리 삼각형을 중심으로 박경애 pp.189-202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작품에서 관람자와 작품의 상호관계 = Interrelations with Viewers in the Work of Olafur Eliasson 박성연 pp.203-214

한국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탈전통' 성격 연구 = Study on the Tendency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ism in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 민병권 pp.155-174

윤리성을 기반으로 해체의 방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A study of fashion design to which deconstruction procedure is applied on the basis of ethicality 허진영, 김혜연 pp.699-716

작품 <돼지의 왕>과 <사이비>의 분석을 통해 본 연상호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 Yeon Sang-ho's animation image obser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ing of Pigs and The Fake 최정윤 pp.671-684

두 가지 경향의 그로테스크 비교 연구 =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n Grotesque Based on Two Trends : centering around works by Viennese actionism and Paul McCarthy : 빈 행동주의와 폴 맥카시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재걸 pp.473-486

초기 한국 인포그래픽으로서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Goguryeo Mural Tombs as the Early Korean Infographics : focused on procession scene : 행렬도를 중심으로 이수진 pp.419-432

심박 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가치 제공을 위한 디자인 요소 도출 = Design Elements Derivation to Provide User Value on the Heart Rate Sensor Wearable Device : based on health information application : 건강 정보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이혜민, 반영환 pp.515-526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모듈러 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 A Study on Application of Modular Design for Micro Mobility 윤정채, 곽정환, 이근 pp.395-406

사회문화예술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 연구 = A Study o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Sociocultural Arts Education Field : focused on 'the old story of asia-the journey of magic painting' program : '아시아의 옛 이야기 마법의 그림여행'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성숙 pp.631-646

추운 겨울 착장 니즈와 패딩 아우터 관여도 및 디자인 선호도가 프리미엄 패딩 의복태도에 미친 영향 = The Effect of Needs for Clothing under Cold Weather, Involvement towards Padded Outers and Preference of Design Features on Attitudes towards Premium Padded Clothes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20s and 30s to 40s aged Korean women : 한국 여성 20대와 30-40대 비교를 중심으로 김칠순 pp.111-124

기초조형의 시각적 인지차이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Difference of Visual Cognition in the Basic Form : centered on the forms and color changes : 형태와 색채변화를 중심으로 김병수 pp.63-74

스마트 홈 IoT 서비스 사용 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 Study on Discontinuance Intentions towards Smart Home IoT service 구혜민, 김성우 pp.1-12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미진, 「교육통계서비스를 위한 정보시각화 방법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2 김나영, 「공사장 가림막의 디자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3 A Study on the Nature of the Expression of Construction Fence Screens to enhance the Images of Cities - Focus on the fence screens of Seoul - 소장
4 이홍, 안병진, 이창근 「건설 현장의 환경구조물에 관한 연구 : 공사장 가설펜스 슈퍼그래픽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확회, 2009 미소장
5 안미자, 「도시 환경디자인 요소로서 건설현장의 가림막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6 이지혜, 「공공기관의 가림막 디자인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7 유지하, 「경관 구성요소로서 가림막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8 이혜연, 「도시경관 구성요소로서의 공사가림막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7 (2)호 미소장
9 장재욱, 이견실, 「공공디자인에 있어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포럼 24 (1)호 미소장
10 서울시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 서울시청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