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역사의 살 = The Flesh in History 류의근 pp.413-431
막스 셸러의 르상티망론 연구 = A Study on M. Scheler' Opinions on Ressentiment 금교영 pp.141-160
장자 철학에서 지止와 행行의 역설 = The Paradox of Stop and Flow in Chuang-tzu's Philosophy : 기氣의 운동성을 중심으로 송정애 pp.253-273
칸트철학에서 죽음의 의미 = A Study on the Meaning of Death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pp.321-344

고령화 사회의 노인 돌봄을 위한 토대로서 공감에 근거한 사회적 책임의 의의 = Implications of Empathy-based Social Responsibility Requisite for Elderly Care in the Aging Society 김진경, 김택중 pp.67-85
고타마 싯닷타는 어떻게 붓다가 되었나? = How did Gotama Siddhattha become Buddha? : A philosophical appreciation on the four factors of success : 네 가지 성공요인에 대한 철학적 음미 박태원 pp.87-112
장자의 심성관과 이상적 인간 = Chuang Tzu's view of Xin(心), Xing(性), and the Real Man 신순정 pp.235-252
존 듀이의 윤리학에서 "도덕적 자아" 개념 = The Concept of "Moral Self" in Ethics of John Dewey 장혜진 pp.275-294
칸트와 후설의 '초월성' 비교 = Comparison between Kant and Husserl in transcendental philosophy : Possibility of "openness" in Husserl's phenomenology :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의 개방성의 가능성 최우석 pp.295-319
기술을 통한 도덕적 능력향상(moral enhancement)에 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Consideration of Human Moral Enhancement by Technological Methods 이상헌 pp.1-20

『노자』「덕경」에서 1(一)의 의미 = The Implications of "1(一)" or the "One" in Laozi Teh Ching 정달현 pp.21-44
감정과 공공성 = Emotion and Publicness 이상형 pp.45-65
무의식론 = The Unconscious : The Difference between G. Freud and Jacques Lacan : 프로이트와 라깡의 차별성 황순향 pp.161-183
칼 융의 무의식에 관한 탐구 = A study on C.G Jung's concept of unconsciousness 진숙 pp.345-366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 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성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istotelian character of Thomas Aquinas' moral philosophy : On the basis of Thomas Aquinas' passion :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념'을 중심으로 이상일 pp.367-392
『周易』이해를 통해 본 花潭 徐敬德의 處世觀 = Hwadam Seo Gyeong-deok's outlook on art of living Examined through understanding on『zhouyi』 : Focusing on Gangwae and Bokgwae : 艮卦와 復卦를 중심으로 황인옥 pp.185-209
니체의 세계경험과 언어비판 = World experience and language in Nietzsche's philosophy 이서규 pp.113-140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In search of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palliative care and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 Focusing on Nietzsche and Epicurus : 니체와 에피쿠로스를 중심으로 권미연 pp.211-234
화엄사상에서 '부분'과 '전체'의 의미 = The Meaning of "Part" and "Whole" in Huayan Thought 고승학 pp.393-412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노자 강의』, 서울 : 예문 서원, 2004. 미소장
2 朴世堂 撰, 『新註道德經』, 『老子集成』 初編 35, 臺北 : 藝文印書館, 1965. 미소장
3 苗玥, 「黃老学视域下《凡物流形》中的“执一”道」, 陳鼓應 主编, 『老子的学说与精神』, 北京 :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6. 미소장
4 陳鼓應, 『老子注譯及評介』, 北京 : 中華書局, 1984. 미소장
5 大英博物館藏唐抄本老子“道德經”殘券.(何新, 『宇宙之道 : 老子新考』, 北京 : 中国民主法制出版社, 2008. pp.249-264.에 수록.) 미소장
6 戴建业, 『老子现代版』, 上海 : 上海古籍出版社, 2007. 미소장
7 董平, 『老子硏读』, 北京 : 中华书局, 2015. 미소장
8 冯友兰, 『中国哲学史新编』第二冊, 北京 : 人民出版社, 1984. 미소장
9 高亨, 『老子正詁』, 中国 : 古籍出版社, 1956. 미소장
10 高懷民, 『大易哲學論』, 臺北: 成文出版社, 1978.(한국어 번역판 : 鄭炳碩 譯, 『周易哲學의 理解』, 서울 : 문예 출판사, 1995.) 미소장
11 高明 撰, 『帛書老子校注』, 北京 : 中華書局, 1996. 미소장
12 河上(公) 注, 『老子道德經』, 『老子集成』 初編 3, 臺北 : 藝文印書館, 1965. 미소장
13 何新, 『宇宙之道 : 老子新考』, 北京 : 中国民主法制出版社, 2008. 미소장
14 柯可, 『老子 : 九观正义』, 广州 : 广东经济出版社, 2008. 미소장
15 荆门市博物馆 编, 『郭店楚墓竹簡』(老子甲, 乙, 丙本), 北京 : 文物出版社, 2002. 미소장
16 铙尚宽 译注, 『老子』, 北京 : 中华书局, 2006. 미소장
17 牛贵琥, 『老子通释』, 北京 : 商务印书馆, 2016. 미소장
18 任法融, 『道德经释义』, 北京 : 北京白云观, 1999. 미소장
19 林希逸, 『老子鬳斋口义』, 上海 : 华东师范大学出版社, 2010. 미소장
20 彭富春, 『论老子』, 北京 : 人民出版社, 2014. 미소장
21 释德淸, 『道德经释解』, 上海 : 华东师范大学出版社, 2009. 미소장
22 王弼, 『老子王弼注』, 北京 : 河洛圖書出版社, 1973. 미소장
23 王夫之, 『老子衍莊子通尙書引義』, 北京 : 河洛圖書出版社, 1974. 미소장
24 王素芬 丁全忠, 『生态语境下的老子哲学硏究』, 北京 : 人民出版社, 2016. 미소장
25 王少农, 『读老子有心得』, 北京 : 群言出版社, 2007. 미소장
26 吴澄, 『道德真经注』, 『道藏』第12冊, 中国 : 天津古籍出版社, 上海书店, 文物出版社, 1988. 미소장
27 沈善增, 『老子原来这么说』, 上海 :华东师范大学出版社, 2006. 미소장
28 沈善增, 『老子走近靑年』, 上海 : 人民出版社, 2007. 미소장
29 奚侗 集解, 『老子』, 上海 : 上海古籍出版社, 2007. 미소장
30 夏海, 『老子與哲學』, 北京 : 生活 · 读书 · 新知 三联书店, 2016. 미소장
31 许春华, 『天人合道 : 老子哲学硏究』, 北京 : 人民出版社, 2013. 미소장
32 杨鹏, 『老子详解』, 西安 : 陕西师范大学出版社, 2008. 미소장
33 杨训乾, 『惠施十句老子十字』, 成都 : 四川大学出版社, 2008. 미소장
34 殷旵 编著, 『老子』, 长春 : 吉林出版集团有限责任公司, 2008. 미소장
35 张松辉, 『老子研究』, 北京 : 人民出版社, 2009. 미소장
36 朱謙之 撰, 『老子校釋』, 北京 : 中華書局, 2000. 미소장
37 阿部吉雄 山本敏夫, 『老子』, 東京 : 明治書院, 1996. 미소장
38 大濱晧, 『老子の哲學』, 東京 : 勁草書房, 1963. 미소장
39 神塚淑子, 『老子 : “道”への回歸』, 東京 : 岩波書店, 2009. 미소장
40 小池一郞, 『帛書「老子道德経」』, 東京 : 勉誠出版株式會社, 2013. 미소장
41 蜂屋邦夫, 『「老子」 「莊子」をよむ』(上), 東京 : 日本放送出版協会, 2010. 미소장
42 福永光司, 『老子』, 東京 : 朝日新聞社, 1968. 미소장
43 A. C. Graham, Disputers of the TAO, Illinois :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89. 미소장
44 Arthur Waley trans., Laozi, Changsha : Human People’s Publishing House, 2007. 미소장
45 Gu Zhengkun trans., Lao Tzu, Beijing : Peking Univ. Press, 1995. 미소장
46 Jean Grenier, L’esprit du Tao, Paris : Ernest Flammarion, 1957. 미소장
47 Lee Jae Sook, “A Comparative Study of Upanisadika Yajnavalkya and Lao Tzu”(Ph. D. Thesis.), Delhi : Univ. of Delhi, 1997. 미소장
48 Lin Yutang, LAOTSE, Frankfurt/M · Hamburg : Fischer Bücherei, 1956. 미소장
49 Ursula K. Le Guin, Lao Tzu : Tao Te Ching, Boston & London : Shambhala Publications, Inc., 199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