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때 ‘비문자-감성’ 요소에 주목함으로써, 억눌린 감정과 표현하지 못한 감각이 어떻게 개인의 내면을 구성하고 외적으로 억압되는지를 해명했다. 또한 이주 주체를 바라보는 타자의 시선과 행위, 철학에 주목함으로써, ‘귀환’을 자연화하는 관점이 ‘귀환하지 못한 자’와 그 삶을 불완전한 것으로 사유하는 사회적 편견과 억압성이 지닌 문제를 제기했다.

젠더적 차원에서는 국제적 이주의 과정에서 여주인공 옥영이 ‘남성에 미치지 못하는 남성’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이국의 남성-지배 사회에서 포로-감시, 지배-복종의 관계를 평화롭게 유지하는 전략을 확보하고 있음을 분석하고, 이러한 자기 은닉과 대리 수행, 동화의 방식이 ‘이주자의 위치성’을 대변한다는 인식이 이미 17세기 소설에서 공감적 요소로 확보되었음을 해명했다. 또한 지역적 경계를 넘는 ‘이주’ 과정에서는 국적, 지역, 인종, 언어적 경계를 넘는 ‘자기 철학’이 확보되어야 ‘인륜성’을 지키는 인간적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상상력이 구조화되어 있음을 해명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에 재현된 '귀환 없는 이주' 불능성의 감각"> '귀환'의 역설 = Paradox of Return : The Sense of Impossibility in "Wandering with no Return" as Represented in Choecheok jeon : <최척전>에 재현된 '귀환 없는 이주' 불능성의 감각 최기숙 pp.9-52

식민지 조선인,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그리고 그의 죽음 = The Colonial Korean, Native Diaspora, and his Death : A study of Kim Nam-Cheon's "A Beautiful Story(美談)" : 김남천의「미담(美談)」을 중심으로 이진형 pp.53-83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 = Women/Hatred(Misogyny) as a Symptom and the Geometry of Diaspora Gender : feminization of migration, housewification of immigrant labor : 이주의 여성화, 이주노동의 가정주부화 소영현 pp.85-117

유커(游客)와 싼커(散客) = Youke and Sanke : Toward affective geography of postcolonial Asia : 탈식민적 아시아의 정동지리학 서동진 pp.119-147

팬픽션의 생성 요소 연구 = Study on Generative Elements of Fanfiction : Focusing on <Star Trek> : <스타 트렉(Star Trek)>을 중심으로 김유나 pp.151-186

과 <서울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의 예외상태의 지속과 회복되지 않는 일상 = People Who Cannot Go Back to Daily Life in Korean Society : A Study of Yeon Sang-Ho, Focused on "Train to Busan" and "Seoul Station" : 연상호론, <부산행>과 <서울역>을 중심으로 김형식 pp.187-222

소설『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음악 세계 추론 = Inferences about the Musical World of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신사빈 pp.223-254

TV 드라마 <추적자>의 정치학과 이데올로기 = The Politics and Ideology of The Chaser 신주진 pp.255-290

뉴-걸 또는 새론-소녀, 김새론의 스크린 문화 정치 = New-girl or Saeron-Sonyeo, The Cultural Politics of Kim Sae[r]on 심혜경 pp.291-322

텔레비전 드라마 <허준>의 인물 형상화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Way of Character Shaping in the Soap Opera <Heo Jun> 양진문 pp.323-350

연구"> 상대평가 시대의 질투와 시기 그리고 '보통의 삶'의 가능성 = Jealousy and Envy made by Relative Evaluation and the Opportunity to Build "the Good Life" : the Korean Drama "Cheese in the Trap" : 한국 드라마 <치즈인더트랩> 연구 장정윤 pp.351-380

사실주의에 대한 변증법적 재론 = A Dialectical Reexamination of Realism : Fredric Jameson's The Antinomies of Realism and "Affect" : 프레드릭 제임슨의 The Antinomies of Realism과 '정동' 이윤종 pp.383-412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상구 역주, <崔陟傳>,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307-324쪽. 미소장
2 郭守正ㆍ高月槎 집록, 『이십사효』, 임동석 역주, 동서문화사, 2012, 1-368쪽. 미소장
3 최부, 『표해록』, 서인범ㆍ주성지 옮김, 한길사, 2004, 1-656쪽. 미소장
4 『역주 삼강행실도』, 김정수 옮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1-360쪽. 미소장
5 한국 고전소설 속 중국 배경과 중국 인식 소장
6 고영란, 「17~18세기 한일문학 속 월경(越境)과 결혼」, 『일본어문학』 68호, 한국일본어문학회, 2016, 155-167쪽. 미소장
7 권혁래, 「<최척전>에 그려진 ‘유랑’의 의미」, 『국어국문학』 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 207-235쪽. 미소장
8 권혁래, 「<최척전> 소주, 항주 공간의 문학지리와 스토리텔링」, 『고소설연구』 39, 한국고소설학회, 2015, 73-102쪽. 미소장
9 Re-reading Choicheok-jeon, Kimyoungcheol-jeon from the East Asian View 네이버 미소장
10 The study on the family- oriented nature of the 『Choicheukjon』 소장
11 김용기, 「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체험과 다문화 양상 비교」, 『다문화콘텐츠연구』 22호, 중앙대 문화콘텐츠기술원, 2016, 187-221쪽. 미소장
12 「최척전」속의 동아지중해와 대항해시대 소장
13 김진호 외, 『사회적 영성』, 현암사, 2014. 미소장
14 김현미,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한국에서 이주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4. 미소장
15 박희병, 「최척전: 16ㆍ17세기 동아시아의 전란과 가족이산」, 『한국고전소설 작품론』, 집문당, 1990, 83-106쪽. 미소장
16 소재영, 『임병양란과 문학의식』, 한국연구원, 1980. 미소장
17 신선희, 「전란이 낳은 이방인의 삶」, 『장안논총』 33호, 장안대학교, 2012, 1554-1572쪽. 미소장
18 유성용, 『여행생활자』, 사흘, 2007. 미소장
19 The Literature of Prisoner of War Experience and The Family's Love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소장
20 壬辰倭亂 포로 기억의 敍事化와 그 意味 소장
21 越境과 敍事 - 동아시아의 서사 체험과 '이웃'의 記憶 : 「崔陟傳」독법의 한 사례 소장
22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소장
23 최기숙, 「평온은 나의 힘, 영성 수행자에게 듣는다」, 소영현 외, 『감정의 인문학』, 봄아필, 2013, 233-247쪽. 미소장
24 지속 가능한 '감성–성찰' 자원 구축을 위한 한국 '고전/전통' 자원의 재맥락화 소장
25 가야트리 스피박 외,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태혜숙 옮김, 그린비, 2013. 미소장
26 롤랑 바르트, 『신화론』, 정현 옮김, 현대미학사, 1995. 미소장
27 스탠리 밀그램, 『권위에 대한 복종』, 정태연 옮김, 에코리브르, 2009. 미소장
28 우에노 치즈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나일등 옮김, 은행나무, 2012. 미소장
29 우치다 타츠루, 『하루키씨를 조심하세요」, 김경원 옮김, 바다출판사, 2010. 미소장
30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조현준 옮김, 문학동네, 2008. 미소장
31 지그문트 바우만,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정일준 옮김, 새물결, 2013. 미소장
32 케빈 케니, 『디아스포라 이즈』, 최영석 옮김, 앨피, 2016. 미소장
33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이진우ㆍ태정호 옮김, 한길사, 1996. 미소장
34 Gan Yue(甘悦), 「한국 내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실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35 The Aesthetics of Diaspora: Ownership and Appropria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