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때 ‘비문자-감성’ 요소에 주목함으로써, 억눌린 감정과 표현하지 못한 감각이 어떻게 개인의 내면을 구성하고 외적으로 억압되는지를 해명했다. 또한 이주 주체를 바라보는 타자의 시선과 행위, 철학에 주목함으로써, ‘귀환’을 자연화하는 관점이 ‘귀환하지 못한 자’와 그 삶을 불완전한 것으로 사유하는 사회적 편견과 억압성이 지닌 문제를 제기했다.
젠더적 차원에서는 국제적 이주의 과정에서 여주인공 옥영이 ‘남성에 미치지 못하는 남성’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이국의 남성-지배 사회에서 포로-감시, 지배-복종의 관계를 평화롭게 유지하는 전략을 확보하고 있음을 분석하고, 이러한 자기 은닉과 대리 수행, 동화의 방식이 ‘이주자의 위치성’을 대변한다는 인식이 이미 17세기 소설에서 공감적 요소로 확보되었음을 해명했다. 또한 지역적 경계를 넘는 ‘이주’ 과정에서는 국적, 지역, 인종, 언어적 경계를 넘는 ‘자기 철학’이 확보되어야 ‘인륜성’을 지키는 인간적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상상력이 구조화되어 있음을 해명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상구 역주, <崔陟傳>,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307-324쪽. | 미소장 |
2 | 郭守正ㆍ高月槎 집록, 『이십사효』, 임동석 역주, 동서문화사, 2012, 1-368쪽. | 미소장 |
3 | 최부, 『표해록』, 서인범ㆍ주성지 옮김, 한길사, 2004, 1-656쪽. | 미소장 |
4 | 『역주 삼강행실도』, 김정수 옮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1-360쪽. | 미소장 |
5 | 한국 고전소설 속 중국 배경과 중국 인식 | 소장 |
6 | 고영란, 「17~18세기 한일문학 속 월경(越境)과 결혼」, 『일본어문학』 68호, 한국일본어문학회, 2016, 155-167쪽. | 미소장 |
7 | 권혁래, 「<최척전>에 그려진 ‘유랑’의 의미」, 『국어국문학』 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 207-235쪽. | 미소장 |
8 | 권혁래, 「<최척전> 소주, 항주 공간의 문학지리와 스토리텔링」, 『고소설연구』 39, 한국고소설학회, 2015, 73-102쪽. | 미소장 |
9 | Re-reading Choicheok-jeon, Kimyoungcheol-jeon from the East Asian View ![]() |
미소장 |
10 | The study on the family- oriented nature of the 『Choicheukjon』 | 소장 |
11 | 김용기, 「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체험과 다문화 양상 비교」, 『다문화콘텐츠연구』 22호, 중앙대 문화콘텐츠기술원, 2016, 187-221쪽. | 미소장 |
12 | 「최척전」속의 동아지중해와 대항해시대 | 소장 |
13 | 김진호 외, 『사회적 영성』, 현암사, 2014. | 미소장 |
14 | 김현미,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한국에서 이주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4. | 미소장 |
15 | 박희병, 「최척전: 16ㆍ17세기 동아시아의 전란과 가족이산」, 『한국고전소설 작품론』, 집문당, 1990, 83-106쪽. | 미소장 |
16 | 소재영, 『임병양란과 문학의식』, 한국연구원, 1980. | 미소장 |
17 | 신선희, 「전란이 낳은 이방인의 삶」, 『장안논총』 33호, 장안대학교, 2012, 1554-1572쪽. | 미소장 |
18 | 유성용, 『여행생활자』, 사흘, 2007. | 미소장 |
19 | The Literature of Prisoner of War Experience and The Family's Love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소장 |
20 | 壬辰倭亂 포로 기억의 敍事化와 그 意味 | 소장 |
21 | 越境과 敍事 - 동아시아의 서사 체험과 '이웃'의 記憶 : 「崔陟傳」독법의 한 사례 | 소장 |
22 |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 소장 |
23 | 최기숙, 「평온은 나의 힘, 영성 수행자에게 듣는다」, 소영현 외, 『감정의 인문학』, 봄아필, 2013, 233-247쪽. | 미소장 |
24 | 지속 가능한 '감성–성찰' 자원 구축을 위한 한국 '고전/전통' 자원의 재맥락화 | 소장 |
25 | 가야트리 스피박 외,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태혜숙 옮김, 그린비, 2013. | 미소장 |
26 | 롤랑 바르트, 『신화론』, 정현 옮김, 현대미학사, 1995. | 미소장 |
27 | 스탠리 밀그램, 『권위에 대한 복종』, 정태연 옮김, 에코리브르, 2009. | 미소장 |
28 | 우에노 치즈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나일등 옮김, 은행나무, 2012. | 미소장 |
29 | 우치다 타츠루, 『하루키씨를 조심하세요」, 김경원 옮김, 바다출판사, 2010. | 미소장 |
30 |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조현준 옮김, 문학동네, 2008. | 미소장 |
31 | 지그문트 바우만,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정일준 옮김, 새물결, 2013. | 미소장 |
32 | 케빈 케니, 『디아스포라 이즈』, 최영석 옮김, 앨피, 2016. | 미소장 |
33 |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이진우ㆍ태정호 옮김, 한길사, 1996. | 미소장 |
34 | Gan Yue(甘悦), 「한국 내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실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35 | The Aesthetics of Diaspora: Ownership and Appropriation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