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예술은 오직 나로부터 시작된다 : 피아니스트 피오트르 안데르셰프스키
|
한정호
|
pp.42-43
|
|
|
|
여전한 피나의 온기 : 피나 바우슈의 '스위트 맘보'
|
장인주
|
pp.46-47
|
|
|
|
윤이상, 음악으로 물결친 삶 : 일제 치하, 남북분단, 독재정권 등 지난한 역사가 담긴 그의 인생과 작품세계
|
이정은
|
pp.52-59
|
|
|
|
윤이상을 바라보는 젊은 연주자들의 시선 [인터뷰]
|
최예은, 고봉인, 최나경, 서형민 ; 이정은 글·정리
|
pp.62-63
|
|
|
|
무대에서 직접 만나는 윤이상의 음악
|
이정은
|
pp.64-65
|
|
|
|
무대를 오래 지키기 위한 마음 : 뉴욕에서 만난 소프라노 조수미 [인터뷰]
|
조수미 ; 김동민 글 ; 김용호 사진
|
pp.68-71
|
|
|
|
21세기 피아노의 시인 : 피아니스트 아담 랄룸 [인터뷰]
|
아담 랄룸 ; 김동준 [취재]
|
pp.74-76
|
|
|
|
손 끝으로 독일 악단을 장악하다 : 바이올리니스트 이지혜 [인터뷰]
|
이지혜 ; 정원 글 ; 박진호 사진
|
pp.78-80
|
|
|
|
천천히, 숨 고르며, 달린다 : 바이올리니스트 에스더 유
|
김호경
|
pp.82-83
|
|
|
|
새로운 출발점에서 : 플루티스트 조성현 [인터뷰]
|
조성현 ; 김호경 글
|
pp.86-88
|
|
|
|
맑은 감성의 희망 메시지 : 피아니스트 김혜진 [인터뷰]
|
김혜진 ; 국지연 글
|
pp.90-91
|
|
|
|
음악은 인문학이다 : 음악학자·평론가 최유준 [인터뷰]
|
최유준 ; 송현민 글 ; 황미숙 사진
|
pp.94-96
|
|
|
|
내리막길에서 만난 노래 : 테너 김영우 [인터뷰]
|
김영우 ; 국지연 글 ; 강태욱 사진
|
pp.98-98
|
|
|
|
잘못된 사회에 국악으로 말 걸기 : 거문고 연주자 김준영&작곡가 김성국 [인터뷰]
|
김준영, 김성국 ; 송현민 글 ; 김준영 사진
|
pp.102-105
|
|
|
|
요나스 카우프만, 성공적인 복귀! : 파리 오페라의 바그너 '로엔그린'
|
배윤미
|
pp.108-111
|
|
|
|
발레로부터의 변화, 현대무용의 시작 : 보여주는 아름다움에서 표현하는 의지로
|
김호경
|
pp.143-143
|
|
|
|
현대무용 속 페미니즘의 확장과 변화 : 더 높고 창의적인 변화를 꿈꾸다
|
전미숙
|
pp.144-146
|
|
|
|
무용가·평론가 4인이 추천하는 페미니즘을 이끈 현대무용 작품들 : 여성의 내면을 드러낸 무대 위 이야기들
|
김호경 정리
|
pp.147-147
|
|
|
|
오케스트라의 근음(根音)을 지탱하다 : 김남호의 튜바 특강
|
송현민 글 ; 심규태 사진
|
pp.150-153
|
|
|
|
오케스트라가 악(惡)에 부역할 때 일어나는 일 = When orchestras collaborate with evil : 빈 필하모닉과 베를린 필하모닉에서 쫓겨난 유대인 음악가들
|
노먼 레브레히트
|
pp.154-157
|
|
|
|
한반도 민족음악의 잊힌 선구자, 돌아오지 못한 거장 : 김순남Soon Nam Kim
|
송주호
|
pp.160-162
|
|
|
|
젊은 열정으로 그려갈 베토벤 : 피아니스트 전지훈
|
국지연
|
pp.164-165
|
|
|
|
깊은 위로의 선율 : 첼리스트 박진영
|
국지연
|
pp.166-166
|
|
|
|
셰익스피어의 출퇴근길. 런던 뱅크사이드 : 셰익스피어와 글로브 극장
|
최여정
|
pp.178-181
|
|
|
|
한 배를 탄 영웅들, 이아손과 아르고 원정대 : 황금 양털을 손에 쥐기 위한 험난한 여정
|
유형종
|
pp.182-185
|
|
|
|
서양의 전통 위에 우리다움을 짓다 : 파이프오르간 건축가 홍성훈
|
정원 글 ; 심규태 사진
|
pp.188-19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