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공동주택 관리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비리 적발에 집중되어 있고 가치 중립적 분석 사례가 흔치 않은 바,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자체에 초점을 두고 관리비에 대한 객관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매월 측정된 관리비 데이터는 공간적으로 공동주택 단지에, 시간적으로 측정 월에 속하는 교차포섭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공간적 교차포섭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다수준 모형을 분석의 틀로 사용하였고, 구체적인 모수의 추정은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기법의 하나인 HMC(Hamiltonian Monte Carlo) 알고리듬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관리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첫 번째 요인으로 계절적 주기를 꼽을 수 있었고, 이는 관리비를 구성하는 항목 중 개별 사용료에서 보다 뚜렷하게 파악되었다. 두 번째 요인으로 공동주택 단지의 개별적 특징을 들 수 있다. 지리적 위치, 건물 동의 배치 형태 등 일일이 측정하여 변수화할 수 없는 이러한 요인들을 모두 ‘단지’라는 변수에 포함시켰으며, 이 요인이 관리비 결정에 그 어떤 요인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동당 세대수는 관리비 상승의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리면적과 경과연수 또한 관리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들 두 요인 간에 상호 작용 효과가 존재하여 소규모보다는 대규모 단지일 때 경과연수 증가에 따른 관리비 상승효과가 보다 뚜렷함을 발견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서울지역 아파트 공용관리비 결정요인 | 소장 |
2 | 아파트의 관리비 비교 분석-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
미소장 |
3 |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Management Expenses for Super High-rise Apartments -A Comparative Study among 3 groups(general, high, super high-rise apartments)- ![]() |
미소장 |
4 | 이정명. 2016. 아파트 관리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Lee Jungmyung. 2016.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partment Management Fees: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M.B.A. diss., Pusan National University. | 미소장 |
5 | 공동주택 유지관리비의 특성분석 | 소장 |
6 | 이희두, 손정환, 김진호, 임남기. 2001. 공동주택 관리비 항목별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1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권, 2호: 575-578. Lee Heedo, Son Junghwan, Kim Jinho and Lim Namki. The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items of apartment management expenses. Proceedings in Korean Architecture Society Conference of 2001 21, no.2: 575-578. | 미소장 |
7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016. 서울시 아파트관리비, 전국 대비17% 높아, 2월 15일. 보도자료. Korea Consumer Association. 2016. Maintenance fee in Seoul 17% higher than national average, February 15. Press release. | 미소장 |
8 | 한수진, 박신영. 2003. 아파트 管理費의 影響 要因에 대한 實證 分析.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9권, 4호: 41-48. Han Sujin and Park Shinyoung. 2003. An empirical analysis of determinant factors of APT management fe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Construction 19, no.4:41-48. | 미소장 |
9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of management fee of muti-family housing in Seoul | 소장 |
10 | 황미라. 2013. 공동주택관리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재생에너지와 공용전기료 관계를 포함하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Hwang Mira. 20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House of Common Expenses: Renewable Energy and Public Relations, Including the Cost of Electricity. M.D. diss., Kyunggi University. | 미소장 |
11 | Factors affecting housing maintenance cost in Malaysia ![]() |
미소장 |
12 | Factors affecting housing maintenance cost ![]() |
미소장 |
13 | McElreath, Richard. 2016. Statistical Rethinking: A Bayesian Course with Examples in R and Stan. New York: CRC Press. | 미소장 |
14 | A General Framework for the Parametrization of Hierarchical Model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