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김억은 근대기 한국의 신문학을 개척한 시인일 뿐만 아니라, 평론가, 유행가요 작사자였으며, 번역가이기도 할 만큼 다면적인 면모의 문학자이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김억 연구는 그 다면적인 면모를 분절적으로 논변함으로써 총체적으로 조명하지 못하는 공통점을 지닌다. 특히 김억의 명분론(혹은 풍교론)적인 문학관에 대한 오독, 번역의 인식과 실천의 혼종성을 합당하게 설명할 만한 지식과 이해의 불비 차원에서 그러하다. 그리하여 김억의 문학적 편력의 중요한 변화의 국면들 또한 온전히 해명되지 못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이 논문은 김억이라는 텍스트를 ‘한국’, ‘근대’, ‘문학’이라는 상식적인 범주를 넘어서서 독해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독법은 첫째, 한국근대문학 내부에 복수의 근대시, 근대문학사가 존재한다는 전제, 둘째, 한국근대문학의 내셔널리즘, 서구중심주의로부터 김억의 텍스트를 분리하는 관점의 전회, 셋째, ‘문학성’과 ‘상호주체성’의 관점에 기반한 비교연구이다. 이러한 관점과 방법론의 전회는 궁극적으로 김억을 통해서 ‘한국’, ‘근대’, ‘문학’을 둘러싼 상식을 반성적으로 사유하는 시발점이기도 하다. 또한 이 논문은 이러한 새로운 세대의 김억 연구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써 정전의 재구성을 제안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정(有情)"한 감각의 테크놀로지 = The Technology of "Hearty" Senses : A Study on the Visuality on Sinsoseol and The Heartless : 신소설과『무정』에 나타난 시각성과 초점화의 문제 조형래 pp.9-48

생물화학무기와 침묵의 기억들 = Biochemical Weapons and Silent Memories : Texts on Korean War bacteriological Warfare : 한국전쟁기 세균전에 관한 텍스트들 김민선 pp.49-82

소리의 낭만주의와 섬광세계의 신비 = Romanticism of Sound-scape and Mysticism of Flash World : Optics and Aesthetics of Early Korean Broadcasting Play : 초기 한국 방송극의 광학과 미학 권두현 pp.83-122

박정희 정권의 문화영화와 기억 상실의 형식 = Cultural Film of Park Jung-hee Regime and Forms of Amnesia : 「어느 근로자의 하루」(1970)와「열사의 젊은이」(1979)를 중심으로 임태훈 pp.123-146

김억 연구의 현 단계와 과제 = The present stage research and tasks on Kim Eok 구인모 pp.147-178

김억 '번역론'의 현대성과 현재성 = Actuality and Modernity of KIM Ok's Translation Theory 조재룡 pp.179-220

『표준국어대사전』의 고유어 접두사 연구 = The Study of Native Prefix in『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서정호 pp.221-252

근대 계몽기 한국에서의 중국 번역 서학서 수용 양상과 의의 = The Meaning of Acceptance of Translated the West Books from China to Korea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강미정, 김경남 pp.253-288

TV 뉴스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듣기 교수 방안 연구 = A Study of Teaching Method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istening Comprehension Using TV News Show 노미연 pp.289-318

딕토섀도잉, 딕토글로스, 섀도잉이 L2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Dictoshadowing, Dictogloss, Shadowing on L2 Listening Ability 박미향, 김영주 pp.319-343

불교계 여성한시에 보이는 불행감과 해탈 지향 = Study on the implicated feeling of infelicity in women's chinese poetry of Buddhist circle : Focusing on, LeeYeSoon, HeyJung, DamDo's chinese poetry : 이예순, 혜정, 담도의 한시를 중심으로 김상일 pp.345-372

백두산 관광을 통해 본 식민지 '진정성'의 구성 방식 = Perspective on the Discourse of Colonial Authenticity and Beakdusan(白頭山) Tourism : Focusing on travelogues of Baekdusan written by Min, Taewon, An Jaehong and Choe Namseon during 1920's and 1930's : 1920-30년대 민태원, 최남선, 안재홍의 백두산 기행문을 중심으로 신진숙 pp.373-400

김소월 시에 나타난 사랑의 구현 원리 = Principle of the Realization of Love in Kim Sowol's Poetry : Through the Subject's Position at Posteriori Time : 사후적 시간에서의 주체의 위치를 통하여 이강하 pp.401-432

이회성의『다듬이질하는 여인』과 나카가미 겐지의『미사키』를 통해 보는 '마이너리티'와 장소론 = Reading 'Minority' and 'Place' in "The Woman Who Fulled Clothes" and Misaki 이헬렌 pp.433-452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경수․홍순석 편, 『岸曙金億全集(1-8)』, 한국문화사, 1987. 미소장
2 강동호, 『한국 근대문학과 세속화』,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16. 미소장
3 구인모, 『유성기의 시대, 유행시인의 탄생』, 현실문화, 2013. 미소장
4 구인모, 『한국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2008. 미소장
5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상)/(하), 학연사, 1996. 미소장
6 김은전, 『김억의 프랑스 상징주의 수용 양상』,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84. 미소장
7 김학동 외, 『김안서 연구』, 새문사, 1996. 미소장
8 Between national Language and international Language -focused on Kim Eok- 소장
9 근대시 형성과 번역의 상관성 : 김억을 중심으로 소장
10 오세영, 『한국낭만주의시연구』, 일지사, 1980. 미소장
11 이철호, 『영혼의 계보: 20세기 한국문학사와 생명담론』, 창비, 2013. 미소장
12 임수경, 『식민지 조선의 에스페란토와 김억』,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16. 미소장
13 김억 시론의 리듬 의식 연구 : 시형과 언어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소장
14 金億 初期 文學과 漢文脈의 再構成 소장
15 정우택, 『한국근대자유시의 이념과 형성』, 소명출판, 2004. 미소장
16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미소장
17 정한모, 『한국현대시의 정수』, 서울대학교출판부, 1979. 미소장
18 조영복, 『한국 현대시와 언어의 풍경』, 태학사, 1999. 미소장
19 조재룡, 『번역하는 문장들』, 문학과지성사, 2015. 미소장
20 최라영, 『김억의 창작적 역시와 근대시 형성』, 소명출판, 2014. 미소장
21 Walter Benjamin, 浅井健二郎 編訳, 『ベンヤミン․コレクション2: エッセイの思想』, 東京: 筑摩書房, 1996. 미소장
22 近代期朝鮮における新概念としての「詩」と言語横断的実践 네이버 미소장
23 三ッ木道夫 編訳, 『思想としての翻訳』, 東京: 白水社, 20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