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박경수․홍순석 편, 『岸曙金億全集(1-8)』, 한국문화사, 1987. |
미소장 |
2 |
강동호, 『한국 근대문학과 세속화』,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16. |
미소장 |
3 |
구인모, 『유성기의 시대, 유행시인의 탄생』, 현실문화, 2013. |
미소장 |
4 |
구인모, 『한국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2008. |
미소장 |
5 |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상)/(하), 학연사, 1996. |
미소장 |
6 |
김은전, 『김억의 프랑스 상징주의 수용 양상』,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84. |
미소장 |
7 |
김학동 외, 『김안서 연구』, 새문사, 1996. |
미소장 |
8 |
Between national Language and international Language -focused on Kim Eok-
|
소장 |
9 |
근대시 형성과 번역의 상관성 : 김억을 중심으로
|
소장 |
10 |
오세영, 『한국낭만주의시연구』, 일지사, 1980. |
미소장 |
11 |
이철호, 『영혼의 계보: 20세기 한국문학사와 생명담론』, 창비, 2013. |
미소장 |
12 |
임수경, 『식민지 조선의 에스페란토와 김억』,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16. |
미소장 |
13 |
김억 시론의 리듬 의식 연구 : 시형과 언어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
소장 |
14 |
金億 初期 文學과 漢文脈의 再構成
|
소장 |
15 |
정우택, 『한국근대자유시의 이념과 형성』, 소명출판, 2004. |
미소장 |
16 |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
미소장 |
17 |
정한모, 『한국현대시의 정수』, 서울대학교출판부, 1979. |
미소장 |
18 |
조영복, 『한국 현대시와 언어의 풍경』, 태학사, 1999. |
미소장 |
19 |
조재룡, 『번역하는 문장들』, 문학과지성사, 2015. |
미소장 |
20 |
최라영, 『김억의 창작적 역시와 근대시 형성』, 소명출판, 2014. |
미소장 |
21 |
Walter Benjamin, 浅井健二郎 編訳, 『ベンヤミン․コレクション2: エッセイの思想』, 東京: 筑摩書房, 1996. |
미소장 |
22 |
近代期朝鮮における新概念としての「詩」と言語横断的実践  |
미소장 |
23 |
三ッ木道夫 編訳, 『思想としての翻訳』, 東京: 白水社, 2008.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