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천문학적 고찰. 1 / 방운규 1
차례 1
1. 머리말 1
2. 남한산성의 지리·지형적 특성 2
3. 남한산성의 축성 역사 4
4.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위치와 배열 형태 및 크기 6
4.1.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위치 6
4.2.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배열 형태 7
4.3.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크기 8
5.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용도 13
5.1. 성문의 암톨쩌귀로 사용했을 가능성 13
5.2. 성문·암문의 암톨쩌귀 제작을 위해 실습했을 가능성 15
5.3. 절구로 사용했을 가능성 17
5.4. 깃대 및 나무 기둥을 세우기 위해 사용했을 가능성 18
5.5. 화약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했을 가능성 18
6.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천문학적 분석 20
6.1. 고인돌에 새겨진 구멍 형태와의 유사성 21
6.2. 고구려-조선시대에 이르는 천체 상징물과의 관련성 25
6.3. 장식품으로서의 별자리 그림과의 관련성 28
6.4. 행궁 '磐石'과 수어장대 '守禦西臺'의 암각문과의 관련성 29
7.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별자리 형태와 문화재적 가치 33
7.1.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별자리 추정 33
7.2.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별자리 정립 38
7.3.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북두칠성으로서의 기능 및 문화재적 가치 44
8. 마무리 56
참고 문헌 59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남한산성 바위 구멍의 천문학적 고찰. 1 | 방운규 | pp.23-84 |
|
보기 |
하남은 김유정 문학의 산실 | 이강범 | pp.85-122 |
|
보기 |
최찬식 문학의 현대적 의미 : 통속성을 중심으로 | 김태진 | pp.123-134 |
|
보기 |
한시(漢詩)로 읽는 도미나루(渡迷津) | 유병상 | pp.135-148 |
|
보기 |
백제 불교미술 속의 하남의 위치 : 초기 백제불교미술의 특징과 복원을 중심으로 | 홍대한 | pp.151-171 |
|
보기 |
한성백제의 통치구조에 관한 고찰 | 백남욱 | pp.173-187 |
|
보기 |
조선시대의 백제도읍지 인식 자료 : 경기도 하남 지역을 중심으로 | 윤종준 | pp.189-204 |
|
보기 |
박인환의 시와 생애 :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 이혜선 | pp.205-211 |
|
보기 |
춘궁동 이성산성 보물지도 | 이희정 | pp.213-220 |
|
보기 |
기쿠치성을 답사하는 하남 학생들을 생각하며! | 박성기 | pp.221-228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