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피양육경험이 양육불안과 부모만족에 미치는 영향 = 被養育経験が子育て不安と親の満足に及ぼす影響 : 韓日比較を中心に :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 공병호 ; 백승학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및 절차 3

1. 조사대상 3

2. 측정도구 5

3. 분석방법 5

4. 가설적 모형 6

III. 연구결과 6

1. 양육방식, 양육불안 및 부모만족에 대한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6

2. 한국부모의 피양육경험, 양육불안이 부모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9

3. 일본부모의 피양육경험, 양육불안이 부모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12

IV. 논의 및 결론 15

참고문헌 16

抄録 18

Abstract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日本の学校安全教育とその対策 = 일본의 학교안전교육과 그 대책 : 체육활동 중 사고를 중심으로 : 体育活動中の事故を中心に 水野千鶴 pp.47-64

보기
피양육경험이 양육불안과 부모만족에 미치는 영향 = 被養育経験が子育て不安と親の満足に及ぼす影響 : 韓日比較を中心に :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공병호, 백승학 pp.87-105

보기
수업분석의 방법론적 고찰 = 比較授業分析の可能性と課題 : 硏究方法論としてのレンズを中心に : 비교수업분석의 관점을 중심으로 천호성, Sarkararani, 柴田好章, 坂本將暢 pp.107-125

보기
日本における学校統廃合問題と地域づくり = School Integration Problem and Regional planning in Japan : The Future of the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and the Future of the Region : 小学校·中学校の未来と地域の未来 武者一弘 pp.127-143

보기
일본 초등교과서에 나타난 지진재해 관련서술의 변천 = 日本初等教科書における地震災害に関する叙述変遷 한현정 pp.1-25

보기
일본의 학교 안전 추진과 ESD시점의 방재학습 = 日本の学校安全推進とESD時点での防災学習 남경희 pp.65-85

보기
기초주의 관점에서 본 모리 아키라(森昭) = 基礎主義的観点から見た森昭の敎育者的な特性 : 교육자적 특질을 중심으로 한용진, 신현정 pp.27-46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子どもの頃、親からの養育経験が 親としての役割満足感に及ぼす影響 - 韓日両国の比較- 소장
2 김숙희(2004), 부모의 양육태도, 양육태도의 일치성 및 교사지지가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미소장
3 김해영(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4 박화윤(2006).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창지사. 미소장
5 서회선(2001). 유아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 만족도와 관련변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6 이 숙(1987).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이은정(2009),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부모역할 만족도와 유아의 어머니 표상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8 이진선, 정문자 (2007).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부모역할 만족도 및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와 자녀양육 행동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5), 85-94. 미소장
9 전현진(1996).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0 현온강(1994).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관련 변인, 동국대학대학원 박사논문. 미소장
11 有賀美和子,篠目清美(2004). 親子関係のゆくえ. 勁草書房. 미소장
12 渡辺秀樹他(2004). 現代家族の構造と変容. 東京大学出版会. 미소장
13 Child Rearing and Children's Prosocial Initiations toward Victims of Distress 네이버 미소장
14 Frommer, E. A. and G. O'Shea.(1973). The importance of childhood experience in relation to problems of marriage and family-building” British J. of Psychiatry 123, 157-160. 미소장
15 Wolkind, S. , F. Hall, and S. Pawlby.(1977).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hering behavior: a combined epidemiological and observational approach. In P. J. Graham (ed.), Epidemiological Approaches in Child Psychiatry, London: Academic.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