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고용부족과 미스매치 현상 심화… 한국형 일자리 창출 전략 마련을 / 신종각 1

기업의 일자리 창출 역량 높이고 고용의 유연안정성 확보,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등 확대 실시 1

고용창출과 고용흡수의 보고인 중소기업 활용 중요 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용부족과 미스매치 현상 심화… 한국형 일자리 창출 전략 마련을 신종각 pp.8-9

보기
안정적 대출 증가율 유지하며 가계소득 증가율 끌어올려야 조영무 pp.10-11

보기
정책에 우선순위 두고 '선택과 집중' 하라 윤창현 pp.12-13

보기
오늘과 내일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기능·역량 길러주는 교육으로 박남기 pp.14-15

보기
진입·규제 장벽 철폐… '협력하는 괴짜' 키우는 교육 개혁 필요해 이민화 pp.16-17

보기
정권의 진정성 기반으로 사회복지 건전성 회복해야 김진수 pp.18-19

보기
통상마찰 가능성 높은 시기… 다자체제 통한 무역자유화와 지역경제통합 효과적 정철 pp.20-21

보기
누구나 전기 만들고 팔 수 있는 분산전원 시대 도래 조정형 pp.23-23

보기
음식물 쓰레기, 가축 똥오줌의 이유 있는 변신 강양구 pp.24-24

보기
日, 태양광 발전설비 총량 세계 2위로 성큼 곽대종 pp.25-25

보기
재생에너지 비중 6→30%로 훌쩍 증가한 獨… 일자리 38만개 창출 이상훈 pp.26-26

보기
2006년부터 제도적 기반 구축… 서울시 에너지정책,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 조항문 pp.27-27

보기
신재생에너지 '지능화' 이끄는 신기술 삼총사(블록체인·사물인터넷·빅데이터) 조민영 pp.28-28

보기
전력 생산도 소비도 판매도 우리가! 이유수 pp.29-29

보기
100년 전 과거 기술시대에 머물러있는 에너지 법·제도 개선이 우선 문승일 pp.30-30

보기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은 축소되고 있는가? : 남녀 임금격차의 변화를 중심으로 남기곤 pp.32-33

보기
자녀 사교육, 이럴 땐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김희삼 pp.34-35

보기
사룡(四龍)이 나르샤? 성창훈 pp.36-38

보기
우리가 바로 국가 실시간 물 관리의 첨병 성지연 pp.42-44

보기
돌풍 일으킨 인터넷전문은행, 금융혁신 가져올까 홍성아 pp.46-46

보기
지문인증만으로 대출, 해외송금은 기존 10분의 1 비용으로 임지선 pp.47-47

보기
상식이 이기는 '더 본연'의 금융서비스 제공할 것 : 안효조 케이뱅크 사업총괄본부장 [인터뷰] 안효조 ; 홍성아 [취재] pp.48-49

보기
위뱅크, 중소 은행과의 상생전략으로 인터넷금융시장 성장 주도 홍병문 pp.50-50

보기
지나친 가격경쟁 배제하고 안정적 소유·지배 구조 유지해야 이수진 pp.51-51

보기
10조9,069억원 지원해 농어업인 삶의 질 끌어올린다 : 2017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김기훈 pp.52-53

보기
콜밴요금 신고제로 전환… 견인차 난폭운전 2번 이상 자격 취소 : 콜밴·견인차 불법행위 근절방안 이주열 pp.54-55

보기
창업기업에 3년간 80조원 집중 공급 : 건강한 창업생태계 조성 지원방안 안창국 pp.56-57

보기
유럽에서 온라인 유통계약 하려는 사업자는 주목! : 수직적 거래제한 관련 EU 경쟁법 집행 동향 안병규 pp.58-60

보기
EU, 인공지능로봇에 '전자인간' 법적 지위 부여… 다가오는 인간과 로봇 공존 사회 박현섭 pp.62-63

보기
'미미박스' 만들어낸 스타트업 도우미, 베스핀글로벌로 새로운 도전 :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 임정욱 pp.64-65

보기
음성인식 플랫폼으로 제로스크린 시대 열릴 것 김익현 pp.66-66

보기
로봇산업의 메카, 매사추세츠 로보틱스 클러스터 차성욱 pp.67-69

보기
AI 금융서비스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서은숙 pp.70-71

보기
베이컨, 제품 간 나트륨·지방 등 함량 차이 있어 심성보 pp.72-73

보기
요즘 경기가 어때? : '산업활동동향' 통계의 이해와 활용 어운선 pp.74-7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