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58년부터 1994년까지 36년에 걸쳐 작곡된 윤이상의 음악은 대부분 1956년 한국을 떠난 후 유학시절을 거쳐 1970년대 망명 예술가로서 정착하게 된 유럽의 지리적・역사적 공간과 유럽 현대음악 문화의 흐름 속에서 작곡되었다. 한국과 독 일, 동아시아와 서유럽은 윤이상의 삶과 예술에서 매우 복합적인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자신이 태어나고 성장한, 그러나 강제로 추방당한 고향 통영과 한국의 사 회 문화 및 전통에 대한 기억은 개인 및 예술가로서의 윤이상의 정체성을 유지하 는 핵심이라 하겠다. 또한 그가 직간접으로 한국의 안과 밖에서 경험한 한국 현대 사에 드러난 억압과 고통, 저항은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그의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기억의 미학을 통해 예술적으로 승화되었다. 이런 점에 서 윤이상 음악에서 한국 사회 및 전통음악의 위치와 의미의 핵심은 ‘미래를 향한 기억’이라는 말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윤이상의 음악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기억의 사회적・문화적 관계와 의미를 기억행위의 구체적 정보를 일차적으로 담고 있는 작품의 제목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17년 오늘 우리에 게 윤이상 음악의 현재적 의미가 무엇인지 되짚어보고 있다.

Most of Yun’s music written for 36 years from 1958 to 1994—he left Korea in 1956, studied and settled in Europe in the 1970’s as an emigre artist—was taking form in the 1970’s cultural context of European modern music and geological, historical space of Europe. Korea, Germany, East Asia, and Western Europe have multiple meanings in Yun’s life and art. Especially memory of the social culture and tradition of Tongyoung, where he was born and raised, and Korea, where he was persecuted by the government, is the heart that has kept his identity as an artist alive. Furthermore, the oppression and suffering and protest he experienc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history of in and out of Korea profoundly affected his music, which emphasizes the social roles of music, and he elevated these three concepts into art through the aesthetic of memory. In this respect, the meaning and core of Korean society and traditional music in Yun’s works can be condensed into “Memory for the Future.” This study traverses the titles of Yun’s works, whose titles primarily include social, cultural relationships and meanings of the memory in Korean culture; thereby,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meaning of Yun’s music.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노동은. 「한국음악론」. 한국학술정보, 2002. 미소장
2 변지연. “국가폭력에 대한 음악텍스트 - 윤이상의 <광주여 영원히!>.” 「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동아시아 문화」 (한국음악학학회・윤이상평화재단 공동 엮음). 예솔, 2006, 145-167. 미소장
3 슈미트, 되르테 / 홍은정 옮김. “윤이상과 유럽에서 예술적 정체성의 가능성.” 「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동아시아 문화」 (한국음악학학회・윤이상평화재단 공동 엮음). 예솔, 2006, 129-142. 미소장
4 슈테판, 일리야 / 송화숙 옮김. “창작 원리로서의 연속성. 윤이상 작품에나타난 순환적 연관관계에 대하여.” 「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동아시아 문화」 (한국음악학학회・윤이상평화재단 공동 엮음). 예솔, 2006, 101-116. 미소장
5 윤이상. “나의 예술.” 「내 남편 윤이상」 하 (이수자). 창작과비평사, 1998, 173-174. 미소장
6 윤이상. “나의 음악을 듣는 이를 위하여.” 「내 남편 윤이상」 하 (이수자), 창작과 비평사, 1998, 185-188. 미소장
7 윤이상. “나의 조국, 나의 음악.” 「윤이상의 음악세계」 (최성만・홍은미 편역). 한길사, 1991, 73-76. 미소장
8 윤이상. “드뷔시와 나.” 「윤이상의 음악세계」 (최성만・홍은미 편역). 한길사, 1991, 66-72. 미소장
9 윤이상・발터 볼프강-슈파러 / 정교철・양인정 역. 「나의 길, 나의 이상, 나의음악」. 도서출판 HICE, 1988. 미소장
10 이경분. “망명예술가 윤이상.”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0/1 (2011), 195-215. 미소장
11 이수자. 「내 남편 윤이상」 상/하. 창작과비평사, 1998. 미소장
12 최성만・홍은미 편역. 「윤이상의 음악세계」. 한길사, 1991. 미소장
13 유럽 음악의 장르 '교향곡' 을 넘어서 네이버 미소장
14 최애경. “산 자와 죽은 자를 위한 “우주적 음향흐름” - 윤이상의 <에필로그>(1994).“ 「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동아시아 문화」 (한국음악학학회・윤이상평화재단 공동 엮음). 예솔, 2006, 55-82. 미소장
15 Bergmeier, Hinrich (Hrsg.). Isang Yun. Festschrift 75. Geburtstag 1992. Berlin, 1992. 미소장
16 Lo, Kii-Ming. “Die ostasiatischen Quellen von Isang Yuns Opernlibretti.” Ssi-ol Almanach 2002/03 der Internationalen Isang Yun Gesellschaft e. V., Walter-Wolfgang Sparrer(Hrsg.), Berlin・München, 89-112. 미소장
17 Rinser, Luise・Yun, Isang. Der verwundete Drache. Dialog über Leben und Werk des Komponisten. Frankfurt/Main: S. Fischer Verlag, 1977. 미소장
18 Sachtleben, Rainer・Winkler, Wolfgang. “Gespräch mit Isang Yun.” Der Komponist Isang Yun, Hanns-Werner Heister・Walter-Wolfgang Sparrer(Hrsg.), 2., erw. Aufl., München, 1997, 288-296. 미소장
19 Ssi-ol Almanach 2000/01 der Internationalen Isang Yun Gesellschaft e. V., Walter-Wolfgang Sparrer(Hrsg.), Berlin・München 2002, 191. 미소장
20 Yun, Isang. “Ornament und Arabeske. Meine Beziehung zu Claude Debussy.”Ssi-ol. Almanach 2000/01 der Internationalen Isang Yun Gesellschaft e. V., Walter-Wolfgang Sparrer(Hrsg.), Berlin・München, 15-19. 미소장
21 Yun, Isang. “Über meine Musik.” Der Komponist Isang Yun, Hanns-Werner Heiste r・Walter-Wolfgang Sparrer(Hrsg.), 2., erw. Aufl., München, 1997, 297-3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