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서구 지성계에 불었던 신비주의 사상과 오컬티즘의 실천은 자연과학과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과도한 합리주의와 외향화로 인한 개인의 자기소외라는 배경 하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개인의 내면탐구와 더불어 과학과 예술의 결합 그리고 서양과 동양의 결합으로 자연스레 나아가는 결과를 가져왔다. 구스타프 마이링크의 대표작인 『골렘』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유심론적인 불교적 세계관은 외부에 의해 좌우되지 않고 시선을 내면으로 향해 자기발견과 깨달음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추구과정이 시간과 공간의 초월, 깨어 있음과 잠의 경계를 초월하는 신비로운 의식 상태와 결합되어 환상성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내면탐구는 추상적인 사고의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변화, 재구성 등의 구체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에서 마이링크의 소설은 오컬티즘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 점에서 소설은 자아탐구를 주제로 한 동시대 독일문학 작품과는 또 다른 독특한 자질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컬티즘 소설이기도 하고 비학소설이기도 하며 내면탐구 소설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면모를 갖춘 이 소설은 그 자체로 독일문학사에서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작품의 위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e practice of Mysticism and Occultism, which had been inflicted on the western intellectuals of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can be understoo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excessive rationalism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elf-alienation of the individual. This has resulted in a natural progres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science and art, and the combination of the West and the Orient, as well as individual inquiry. Golem, the masterpiece of Gustav Meyrink, can also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The mind-centered Buddhist worldview seeks self-discovery and enlightenment toward the insid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outside. What is interesting in this work, however, is that this pursuit is creating fantasy, combined with a mysterious state of consciousness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the boundaries of awakening and sleep. Inside inquiry is not made only in the domain of abstract thinking, but in concrete aspects such as change of reality, reconstruction. And at this point Meyrink's novel is moving into the realm of occultism. In this regard, this novel has unique qua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ontemporary German literature on the subject of self-inquiry. This novel, which is an Occultism Novel, a Mysticism novel, and has various aspects to be an Interior Novel, has its own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German litera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재난의 글쓰기 혹은 글쓰기의 재난 = The Writing Disaster or the Disaster of Writing : in terms of Blanchot's Kafka "the Neuter" : 블랑쇼가 말하는 카프카의 중성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이영남 pp.159-176

Russia's Imperial Policies in Ukraine in mid-19th century = 19세기 중반 러시아제국의 대 우크라이나 제국주의적 정책 : 셰브첸코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through the Works of Taras Shevchenko Olena Shchegel pp.241-256

중국 현대 韓人題材詩歌에 나타난 '抗日'과 '獨立' 양상 硏究 = The study of 'anti-Japanese' and 'independent' through Korean sanctions in Modern Chinese poems 문대일 pp.45-70

아깟담껑 라피팟의「궁정 없는 왕족」에 나타난 기억의 역사 = The History of Recollections in Momchao Akatdamkoeng Raphiphat's "Royal without Court" 최난옥 pp.97-114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글쓰기의 의미 고찰 = Study on the meaning of writing in the Novel of Lee Cheong Joon : 『남도사람』연작을 중심으로 이희정 pp.27-44

카잔차키스의 소설『그리스인 조르바』에 나타난 오름의 미학 = The Aesthetics of Climbing in Zorba the Greek, the novel by Nikos Kazantzakis 조현천 pp.221-240

헤르더의 민족문학 연구 = A Study on J. G. Herder's National literature 김완균 pp.115-138

폴란드와 한국의 속담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proverbs in Poland and Korea. 1, focused on proverbs concerning language and speech : 말(言)과 관련된 속담을 중심으로 최성은 pp.195-220

라틴아메리카 여성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들의 욕망과 정체성 변화 = Subalterns' Desir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Identity in Latin American Feminist writer's Novels : A Study of Luisa Valenzuela's characters : 발렌수엘라 작품의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조혜진 pp.177-194

한강의『채식주의자』 = Han Kang's The Vegetarian : Is it Possible to Escape from Myself? : '나'로부터의 탈출은 가능한가? 오은영 pp.5-26

일본 프롤레타리아 영화 운동의 기원 = The Origin of Nihon Proletarian Film Movement : Reviewing Sasa Genju's the Concept of Little Cinema and Mobile Film Unit : 사사 겐주의 소형영화론과 이동영화론 고찰 최세훈 pp.71-96

구스타프 마이링크의『골렘』에 나타나는 동양적 신비주의와 판타지의 만남 = The Encounter of Eastern Mysticism and Fantasy in Gustav Meyrink's Golem 서유정 pp.139-157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스타프 마이링크, 『골렘』, 김재혁 옮김, 책세상, 2008. 미소장
2 그리오 드 지브리, 『마법사의 책. 오컬티즘, 연금술, 점성학, 카발라, 타로, 마녀, 마법사 이야기』, 루임산(외) 옮김, 비박스, 2016. 미소장
3 Die Entwicklung der Golemvorstellung und die Gestalt des Golem in Meyrinks Roman 네이버 미소장
4 이유선, 『판타지 문학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 2005 미소장
5 자비네 되링만토이펠, 『이성과 계몽의 시대를 거역한 이단의 문 화사 오컬티즘』, 김희상 옮김, 갤리온, 2008. 미소장
6 Kindlers Neues Literatur Lexikon, Bd. 11, München 1998. 미소장
7 Seminar: A Journal of Germanic Studies 네이버 미소장
8 Wehr, Gerhard, Europäische Mystik. Zur Einführung, Hamburg, 1995. 미소장
9 https://de.wikipedia.org/wiki/Okkultismus 미소장
10 http://gutenberg.spiegel.de/buch/der-golem-1557/1 미소장
11 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0wup&fldid=1FOg&datanum=191&openArticle=true&docid=10wup1FOg1912010090122302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