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산업 발전과 디자인전문회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디자인전문회사 신고제도’의 신고기준에 대한 현실부합성 및 적합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을 검토하고, 신고제도의 필요성 및 지원혜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의 3가지 항목인, 전문분야, 전문인력 및 매출액 기준과 디자인산업특수분류 및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현황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현황을 살펴 보기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산업디자인통계조사’를 바탕으로 디자인전문회사 산업규모, 평균 매출액 및 인력규모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분야 기준은 국가 내에 디자인산업에 대한 분야체계, 분야명칭 및 분야영역에서 일관된 분류체계를 도입하지 못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전문인력 및 매출액 기준은 디자인전문회사의 인력규모 축소화 및 프리랜서 증가추세에 반해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는 단편적인 신고기준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관된 국가 디자인산업 분류체계 도입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전문인력 및 매출액의 단편적 신고기준을 기업규모별 분류기준으로 보완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진문인력 및 매출액을 포함하여 기업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 신고기준 확립과 정기적 검증제도 도입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 디자인산업 현황에 맞는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clear reporting standards on 'The reporting system for design consultancies'. This i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design industry and efficiently supporting design consultancies. To do this, we reviewed the reporting standards and studied the necessity of the reporting system along with the support benefits. Based on these studies, we analyzed three (3) categories of reporting standards and the status of design consultancies in Korea. The size of the design industry was studied which included both average sales, and the size of the workforce based on the ‘KIDP Korea design statistical data’ released between 2011 to 2015.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 did not introduce a consis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design industry. For example, in the case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sales, the government has unrealistic and fragmented standards when compared to the trend of decreasing in size of design consultancies and the increase of freelanc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3)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system to introduce a consistent national desig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Secondly, in order to supplement the current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porting standards for professionals and sales by company size. Finally, additional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identify the company's capabilities which would also need periodic verification systems to be in place. Based on these suggestions, we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 reporting standards for domestic design consultanc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1:9 와이드 모니터 제품 개발 방향성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earch of Setting Direction of Product Development for 21:9 Wide Monitor Concept 조성주 pp.347-358

지니어스 로사이의 관점에서 바라본 후세인 샬라얀의 작품세계 = The Works of Hussein Chalayan with Reference to Genius Loci 이세리 pp.317-333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 A Study on Emotional Communication by Emoticon Context : Focusing on Emoticon used in Kakao Talk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양혜인, 이수진, 김수정 pp.237-248

데이비드 위즈너의『시간상자』 = Flotsam by David Wiesner : a Visual Narrative of Mise-en-abyme : 미장아빔을 통한 시각적 시사 이성엽 pp.307-316

바이오 아트 = Bio Art : An Ensemble of Bio Aesthetic Memeplexes : 생명 미학적 밈 복합체들의 앙상블 신종천, 윤준성 pp.195-205

식민지 시대의 피식민지인 행동주의 지식인 예술가 = An Activist Intellectual Artist in Colonial Era : An Andean/Peruvian Artist Guaman Poma's chronicle manuscript illustrated Letter to the Spanish King : 안데스 인디언 와만포마가 스페인 왕에게 보낸 시대기록적 그림필사본편지에 관한 연구 고은실 pp.1-17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매력에 관한 인식 특성 = Recognition Properties for the Attractive Exterior Design of Passenger Cars : Proposal for the recognition model by measuring user characteristics in car design : 사용자 특성에 의한 인식 모델의 제안 이미용 pp.291-305

그림동화 '뒷집 준범이'에 나타난 '소외아동'의 시각적 표현연구 = A Semiotic Approach to Vulnerable Children in 'Jun-beom, My Neighbor' 유은제 pp.261-274

평면조형에서 빛의 수용과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opriation and Representation of Light in Molding Plane 박기태, 이진호 pp.125-138

파자마 룩의 특성 및 2015 S/S~2017 F/W 디자인 특징 = The Feature and 2015 S/S~2017 F/W Design Characteristic of Pajama Look 신철원, 김차현 pp.207-219

퍼스의 기호학을 활용한 그림책 분석 = A Picture Book Analysis Using Peirce's Semiotics 신소연, 장혜진 pp.179-193

도시공원 야간경관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 The Experts Recognition Survey on Lighting Design of Urban Parks 양정순 pp.221-235

색채태교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 Basic investigation research for Developing Prenatal Education with Color : A study on the Trend and Perception of Prenatal Education : 태교 동향 파악 및 인식 조사에 관한 연구 김예원, 정현선 pp.55-65

핸드메이드 마켓의 새로운 패러다임 = A New Paradigm of the Handmade Market : focusing on Etsy.com : 엣시(Etsy.com)를 중심으로 나유리 pp.85-98

창조도시 구축과정에서 문화정책의 역할 = A Study on the Role of Cultural Policy in the Course of Building a Creative City 원향미 pp.249-260

재일동포 고삼권 작품의 조국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Images of Mother Country in the Works of Korean-Japanese Ko Sam-Gwon 김명지 pp.33-53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사진과 그 정화적 기능 = Photography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and purify function : centrically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민서 pp.395-405

식민지 저항행동을 통해 본 수공예의 사회참여적 가능성 비교 연구 = Agency of Craft for Social Engagement : comparison of national movements in colonial India and Korea during 1920s : 1920년대 인도와 조선의 민족운동을 중심으로 채세강 pp.359-372

상징 단계와 상징 이하 단계의 이미지에 대한 고찰 = Classification of Images into Symbolic Process and Sub-Symbolic Process 장선희 pp.335-345

크리스챤 디올 오뜨 꾸뛰르의 대중화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패션디자인에 미친 영향 = Polularization of Christian Dior Haute Couture and its Influence on Fashion Design since World War II 최경희 pp.373-394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Reporting Standards of Domestic Design Consultancies 문은정 pp.99-110

색채 감성 및 상징을 통한 아동미술 수업지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Guidance of Children's Art through Sensibility and Symbol of Color : Focusing on IRI Image Scale Color Sensibility Scale : IRI 이미지스케일 색채감성척도를 중심으로 박현희 pp.139-151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피트니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 디자인 = A research on fitness mobile application screen design based on gamification 김도유, 최용순 pp.19-31

시니어 여성을 위한 팬츠 패턴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nts Patterns for Senior Women 김효숙, 최창숙, 김지민 pp.67-84

일본 전통공간문화의 관점에서 레드스쿨의 '생(生)의 철학'과 인터내셔널 버내큘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ilosophy of Life' in Red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Japanese Traditional Space Culture and International Vernacular : Focused on Terunobu Fujimori's Architecture :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건축을 중심으로 박경애 pp.111-123

개방형 협업(open collaboration)방식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Business Model Cases of Open Collaboration 백경화, 하은아, 조재경 pp.153-166

CMY Gum Bichromate Process의 최고 농도와 색상 중성도 개선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Improvement of The Maximum Density and Color Neutrality for CMY Gum Bichromate Process : focused on using photoshop channel function : 포토샵 채널 활용을 중심으로 서학연, 유지원 pp.167-178

미생물 형상을 활용한 기초디자인 콘셉트조형 실험에 관한 연구 = A Experimental Study on the Basic Design Concept Formation Using of the Microorganism Shape : Focused on the Class of Industrial Design Major : 산업디자인전공 수업을 중심으로 이길순 pp.275-289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문은정, 「디자인서비스 제공기업과 수요기업 간 동반성장을 통한 디자인산업 진흥정책」,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2 「디자인산업, 국가통계분류로 등록」,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3. 8. 26) 미소장
3 「디자인산업 특수목적분류 제정(안)」, 통계청, 2013 미소장
4 「산업기술혁신 5개년 계획 산업별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3 미소장
5 「산업디자인전문회사 신고요령」, 산업통상자원부, 2012 미소장
6 「산업디자인진흥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산업통상자원부, 2013 미소장
7 「2012 디자인 현황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공예ž디자인문화진흥원, 2013 미소장
8 「2011년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 2011 미소장
9 「2013년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미소장
10 「2014년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 2014 미소장
11 「2015년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 2015 미소장
12 http://designfirm.kidp.or.kr 미소장
13 http://www.law.go.kr 미소장
14 http://www.motie.go.kr 미소장
15 http://www.narastat.kr 미소장
16 http://www.yeslaw.co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