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경학사에서 이황의 《사서석의》는 선초(鮮初)에 유입된 명(明)의 성리학을 조선식으로 이해한 것이자, 이황만의 독특한 견해가 충실하게 반영된 텍스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이의 《사서석의》는 조선조 경서 언해의 지침을 마련하여 후대 학자들의 경서 해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서명의 두 텍스트는 간행 및 성서 과정에서 내부의 갈등, 확실하지 않은 유전(遺傳) 경로 등으로 인해 다소 오해의 소지를 남겼다.
본고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서명으로 간행된 《사서석의》의 차이를 구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학술사적 의미를 조명해보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순서는 첫째, 16-17세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경서 해석 관련 자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두 학파에서 간행한 《사서석의》의 성서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을 거친 뒤 이 자료가 당대 및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 해석 관련 자료는 ①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국학기관에 소장된 《사서석의》, ②소수박물관에 소장된 《퇴계선생용학석의변오》, ③경북대학교에 소장된 《사서석의》, ④금보의 《사서질의》, ⑤이덕홍의 《사서질의》 등 총 5종이 전존(傳存)한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이황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거나, 이황 직전제자들이 편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이다.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관본 언해의 오류를 수정한 16세기 기호학파의 대표적 경학 관련 자료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이이가 직접 편찬한 것으로, 대전본 소주 가운데 의문이 있는 대목을 선정하여 권주와 권점으로 평한 것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조선 중기 율곡학파 및 이후 우암학파-농암학파 계열의 주요 경서 해석 텍스트이자 대본이 되었다.
《사서석의》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제명(題名)으로 간행되었지만, 그 내력과 편찬 목적 등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석의》는 당대에 유통되던 구결과 석의를 총집(總輯)한 것이다. 그러나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후대 학자에 의해 서명이 부가된 것이며, 이이가 주안점을 둔 것은 대전본 소주와 언해의 올바른 해석 제시이다. 그러므로 두 텍스트는 서명만 동일할 뿐, 편찬 목적이나 성격, 내력, 전승 과정 등이 상이한 자료이다. 또한 두 텍스트는 학파 내에서 각각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상하(權尙夏), 한수재집(寒水齋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2 | 김장생(金長生), 사계전서(沙溪全書)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3 | 박세채(朴世采), 남계집(南溪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4 | 송병선(宋秉璿), 연재집(淵齋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5 | 송시열(宋時烈), 송자대전(宋子大全)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6 | 안정복(安鼎福), 순암집(順菴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7 | 이유태(李惟泰), 사서답문(四書答問)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 미소장 |
8 | 이유태(李惟泰), 초려전집(草廬全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9 | 이이(李珥), 사서석의(四書釋義)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 미소장 |
10 | 이이(李珥), 율곡전서(栗谷全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번역본 | 미소장 |
11 | 이재(李栽), 밀암집(密菴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12 | 이황(李滉), 퇴계집(退溪集) ,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 | 미소장 |
13 | 미상, 퇴계선생용학석의변오(退溪先生庸學釋義辨誤) , 소수박물관 소장본(필사본) | 미소장 |
14 | 미상, 퇴계사서석의(退溪四書釋義) , 경북대학교 소장본(필사본) | 미소장 |
15 | 退溪의 『論語釋義』 小考 | 소장 |
16 | 李退溪 『四書釋義』에 나타난 經學的 特徵 | 소장 |
17 | Korean History : A Study of Sa - rim`s Reformation late in the 16th Century ![]() |
미소장 |
18 | 『經書釋義』를 다시 찾아 | 소장 |
19 | 이퇴계의 경서주해 연구,1 :문인에의 답서를 통하여 | 소장 |
20 | 이퇴계의 경서주해 연구,2 | 소장 |
21 | 退溪 經書釋義의 音注에 관하여 ![]() |
미소장 |
22 | A Brief Review on the studies of Yulgok's annotation of the Four Books | 소장 |
23 | 「論語栗谷先生諺解」의 번역학적 분석 | 소장 |
24 | 이동희, 「회재 이언적의 경학사상」, 조선조 유학사상의 탐구 , 여강신서, 1988. | 미소장 |
25 | 退溪 經學을 통해 본 조선주자학의 독자성 문제 ![]() |
미소장 |
26 | 이충구, 「경서언해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0. | 미소장 |
27 | 전재동, 「16-17세기 퇴계학파의 사서 해석과 그 의미-금보·이덕홍·조호익의 사서 해석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3, 한국국학진흥원, 2013. | 미소장 |
28 | 艮齋 李德弘의 『四書質疑』 硏究 : 異本 檢討와 『論語』 解釋을 中心으로 | 소장 |
29 | 『四書釋義』成書 과정과 관련 자료의 書誌 분석 | 소장 |
30 | 草廬 李惟泰의『四書答問-大學』硏究 | 소장 |
31 | 『四書栗谷先生諺解』硏究 | 소장 |
32 | 『四書大全』黃氏·勉齋黃氏 註解 硏究 | 소장 |
33 | 청주고인쇄박물관, 한국의 옛 인쇄문화 , 2009, 174쪽. | 미소장 |
34 | 최석기, 한국경학가사전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 미소장 |
35 | 退溪의 『詩釋義』에 대하여 : 釋義 內容을 중심으로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