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다시 시작하기 | 곽남신 | pp.62-62 | ||
적극적인 소통과 문화 후원을 선도 : 에르베 샹데스 Hervé Chandès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관장 | 곽세원 | pp.70-71 | ||
고대와 현대를 초월한 폭넓은 컬렉션 : 파에즈 바라캇 Fayez Barakat 바라캇갤러리 회장 | 박유리 | pp.72-73 | ||
묵묵히, 그러나 걷는다 : 이지현 OCI 미술관 부관장 | 황석권 | pp.74-75 | ||
바비, 법정에 서다 | 캐슬린 김 | pp.84-85 | ||
뉴욕에 남은 수화 김환기의 얼과 넋 | 이태호 | pp.86-89 | ||
우리가 원하는 생물의 모습 | 이소요 | pp.100-103 | ||
생존지대계인 교육, 세밀화는 그 교두보 : 세밀화의 가치를 알아본 농부철학자 윤구병 [인터뷰] | 윤구병 ; 곽세원 [취재] | pp.104-107 | ||
가까이, 그리고 오래 | 유선경 | pp.108-109 | ||
도심 속 자연의 징검다리 생태정원 | 오경아 | pp.110-111 | ||
감상주의 예찬 : 생태적 감수성의 회복을 위한 길 | 김산하 | pp.112-115 | ||
잃어버린 자연 그리고, 김보희의 자연이 되는 꿈 | 정연심 | pp.122-127 | ||
덩어리로서의 존재, 삶, 그리고 회화 : Lee HaiMinSun | 심소미 | pp.128-133 | ||
심미의 정치학 : 최민화의 회화 | 김진하 | pp.134-141 | ||
전시기획이 서류계약이 될 때 | 정무정 | pp.142-147 | ||
동서 문명의 교역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고대유물을 서울에서 만나다 | 이희수 | pp.148-153 | ||
생물학과 미술의 우연한 결합으로 논하는 정치사회 | 서상숙 | pp.154-159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