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군날개 절제술 후 각막에 발생한 재발한 점액종성 각막변성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년 전 좌안의 군날개 절제술을 받았으며, 복부에 켈로이드 소견을 보인 65세 남자 환자가 1개월 전 발생한 좌안 내측 각막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좌안의 내측 각막에서 주위 조직과 경계가 뚜렷한 젤리 같은 백색의 종괴가 관찰되었고, 환자는 약간의 이물감을 호소하였다. 다른 전안부 검사 및 안저 검사는 정상이었다. 각막의 켈로이드로 의심하고 종괴에 대한 절제생검을 실시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각막 상부 기질에 점액질성 변성이 관찰되었고 면역염색검사상 S-100에 음성이고 Actin과 Calretinin에 양성 소견을 보여 각막 점액종성 각막변성으로 진단되었다. 6개월 뒤에 절제 부위의 각막 윤부에서 동일 성상을 가진 덩어리의 재발이 확인되었고 재절제한 후 Interferon α-2b 점안액을 추가 사용하여 치료하였으며 1년 경과까지 특별한 합병증이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군날개 수술과 같이 정상조직 손상 후에 발생한 각막의 젤리 같은 하얀 종괴에 대해서는 점액종성 각막변성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고 재발하는 경우에는 Interferon α-2b 점안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recurrent myxomatous corneal degeneration after pterygectomy.
Case summary: A 65-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abdominal keloid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for assessment of a well-circumscribed, gelatinous, whitish corneal mass on the nasal corneal area of the left eye that appeared one month prior. The patient had undergone pterygectomy on his left eye 2 years ago. The patient experienced mild foreign body sensation. The other anterior segment and fundus examination of the left eye were both normal. We diagnosed the case as keloid and we performed excisional biopsy of the corneal mass. Histologic findings revealed proliferation of myxoid-appearing material in the anterior corneal stroma. On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sections were stained positive for actin and calretinin, and negative for S-100. We diagnosed the tumor as myxomatous corneal degeneration. After six months, a recurrent mass was found on the previously excised site. Re-excisional biopsy and topical interferon α-2b treatment were then performed in response. After re-excision, there was no recurrence or complications during one year follow-up.
Conclusions: Myxomatous corneal degeneration should be considered during differential diagnosis of an elevated, whitish, gelatinous lesion of the cornea with previous history of trauma or operation, such as pterygectomy. An interferon α-2b topical treatment is useful for recurrent corneal myomatous degeneratio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trial myxomas: A fifty year review ![]() |
미소장 |
2 | A Case of Conjunctival Myxoma | 소장 |
3 | A Case of Conjunctival Myxoma Invading the Caruncle | 소장 |
4 | MYXOMA OF THE CONJUNCTIVA : A CASE REPORT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 |
미소장 |
5 | Superficial corneal growth. ![]() |
미소장 |
6 | Treatment of an 8-mm myxoma using acellular corneal tissue. | 소장 |
7 | Primary corneal myxoma. ![]() |
미소장 |
8 | Lee BT, Lee JH, Kim SH, Cho MY. One case of corneal myxoma. J Korean Ophthalmol Soc 1994;35:202-5. | 미소장 |
9 | Ireland DC, Soule EH, Ivins JC. Myxoma of somatic soft tissues. A report of 58 patients, 3 with multiple tumors and fibrous dysplasia of bone. Mayo Clin Proc 1973;48:401-10. | 미소장 |
10 | Calretinin as a Marker for Cardiac Myxoma ![]() |
미소장 |
11 | Myxomatous Corneal Degeneration: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Six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 |
미소장 |
12 | Corneal Myxoma ![]() |
미소장 |
13 |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
미소장 |
14 |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rneal keloid ![]() |
미소장 |
15 | Tumors of the conjunctiva and cornea ![]() |
미소장 |
16 | Treatment of conjunctival and corneal intraepithelial neoplasia with topical interferon α-2b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