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성현영(成玄英) 『도덕경의소(道德經義疏)』 제38장의 덕론을 중국사상사의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성현영은 『노자(老子)』 제38장의 ‘덕(德)’ 개념을 인식 작용의 맥락에서 논의한다. 성현영에 따르면, 최상의 ‘덕’은 ‘도(道)’와 ‘덕’이 계합한 것이다. 여기서 ‘도’는 인식 대상으로서의 만물 생성의 원리이고, ‘덕’은 인식 대상을 지향(志向)함에 있어서 그에 대해 집착하지 않는 이상적 인식 능력이다. ‘도’와 ‘덕’의 계합이란 인식 능력-‘덕’을 지닌 인식 주체가 인식 대상-‘도’를 인식한 것으로, 일종의 인식 작용이다. 또한 성현영은 『노자』 제38장의 ‘덕’ 개념을 본체와 현상의 인식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최상의 ‘덕’은 무위(無爲)하며 특정 의도를 지니고 행위 하지 않는다[無以爲]. 성현영에 따르면, ‘도’와 ‘덕’이 계합한 상태에서는 인식 능력-‘덕’을 지닌 인식 주체가 인식 대상인 본체로서의 ‘도’가 고요함[寂]을 인식함으로써 무위할 수 있고, 인식 대상인 현상으로서의 ‘도’에 고정불변의 실체성이 없음[虛]을 인식함으로써 무이위(無以爲)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는 성현영이 불교로부터 수용한 개념 및 논리가 포함되어 있다. 성현영은 불교를 활용하여 『노자』 제38장의 덕론과 구별되는 독자적 덕론을 구축한 것이다. 한편 『도덕경의소』 제38장의 덕론은 유가와 불교의 윤리가 상통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들이 하급의 ‘덕’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이를 통해 성현영이 불교를 활용하여 독자적 덕론을 구축한 목적이 결국 도교에 입각한 유불(儒彿) 비판임을 알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연과 생명공학 = Nature and bioethics : On Chuang Tzu's Naturalism and viewpoint of life-death : 장자의 자연주의와 사생관을 중심으로 신순정 pp.201-229

申欽의『先天窺管』 = Shin-hum's SunChunGyeGuan-first commentary of Hwanggeukgyeonggyeseo in Jo-sun Dynasty : 조선시대『皇極經世書』첫 해설서 조희영 pp.7-41

王符의 經濟思想 연구 = A Study on the Economic thought of Wangfu 조원일 pp.179-199

時代精神과 유교의 역할 = The Role of Zeitgeist and Confucianism 이상호 pp.73-109

근대 수신교과서의 '修身'에 대한 비평적 성찰 = Critical introspection about Moral training(修身) in modern Moral training textbook 박정심 pp.43-72

공자의 뒷담화와 그 피드백 효과 = Confucius' Gossiping and Its Feedback Effects 김재경 pp.111-140

성현영『도덕경의소』제38장의 덕론 = The Theory of Virtue in Chapter 38 of Cheng Xuanying's Daodejing Yishu 유용빈 pp.231-266

『朱子家禮』의 方位觀을 통해 본 喪禮의 질서양상과 그 우주론적 배경 = A Order-Aspect of Funerary Rites through the Orientation Idea of Chu Hsi's Family Rituals and the Cosmological Background : Focusing on the Classified Conversations of Master Chu : 『朱子語類』,「理氣」下篇을 중심으로 지현주 pp.141-178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大乘玄論』(T.1853.45.) 미소장
2 『道德眞經玄德纂疏』 미소장
3 『摩訶般若波羅蜜經』(T.227.8.) 미소장
4 『三論玄義』(T.1852.45.) 미소장
5 『小品般若波羅蜜經』(T.227.8.) 미소장
6 蒙文通, 「輯校成玄英道德經義疏」, 『道書輯校十種』, 成都: 巴蜀書社, 2001. 미소장
7 北京大學出土文獻硏究所編, 「老子釋文注釋」, 『北京大學西漢竹書(貳)』,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2. 미소장
8 王心湛校勘, 『文中子集解』, 廣益書局, 1936. 미소장
9 張覺譯注, 『韓非子全譯』, 貴陽: 貴州人民出版社, 1992. 미소장
10 최진석⋅정지욱 역해, 『노자의소』, 서울: 소나무, 2014. 미소장
11 Study on Wonhyo's Two Truths Theory 네이버 미소장
12 A Study on the Theory on Dao in Cheng Xuanying's Daodejing Yishu :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andao 소장
13 중국불교의 相卽論에 대한 考察 소장
14 Essay of the Concept of De in Laozi`s Chapter 38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