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면적 인성검사(MMPI-2)의 임상척도와 뇌기능지수 중 자기조절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는 상담센터에 내원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자원한 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기보고식 검사지인 다면적 인성검사(MMPI-2)를 이용해 검사를 진행했으며, 2채널 뇌파측정기를 이용해 Fp1,과 Fp2에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2)의 임상척도인 척도2(D)와 자기조절지수 중 휴식 즉, 알파파와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다면적 인성검사(MMPI-2) 척도3(Hy)은 집중력 즉, 저베타파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척도 7(Pt)은 휴식과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상담현장에서 다면적 인성검사(MMPI-2)와 SQR을 상호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세 가지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첫째, 우울한 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민감하여 대인관계를 맺을 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휴식이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피로도가 상승할 수 있다. 둘째, 지나치게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고 하고 쾌활한 모습을 지닌 사람들은 활동력이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불안과 긴장 상태로 스트레스가 높아진 사람들은 쉽게 지치고 짜증과 불쾌감이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2) clinical scales and the self-regulation quotient of the brain quotient. The test in this study was performed by 41 adults over 20 years old and was done using the MMPI-2, which is a self-reporting method. EEG was performed using a 2-channel EEG System at Fp1 and Fp2. The analysi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cale 2(D), which is the MMPI-2 clinical scale, and the SRQ(Self Regulation Quotient) relaxation status, which is the related alpha rhythm. Scale3(H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RQ concentration status and low β rhythm. Scale7 in the MMPI-2 clinical scal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RQ relaxation status, which is the alpha rhythm. This means that MMPI-2 and SRQ can be used complementarily in the field of counseling. Thes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in three ways. First, people with depression are sensitive to other people's attention and evaluation. Therefore, they tend to expend a lot of energy whe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f they do not learn to relax, their fatigue can easily be increased. Second, people who seek other people's interest and have a cheerful spirit are considered to be highly active. Third, highly stressed people with anxiety and tension seem to easily become tired and their irritation and discomfort may be increased in conseque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회전 운동하는 비행체의 외부 유동장 해석을 통한 공력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the aerodynamic database though the external flow method of a rotating vehicle 강태우, 안종무, 이희랑, 최재호 pp.41-47

임상간호사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신뢰도, 타당도 재검증 = Revalidation of the Hospital Violence Attitude Scale-18 (HVAS-18) in Clinical Nurses 조진영, 하은호 pp.135-144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기반 uTradeHub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모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er Acceptance Model of uTradeHub Service Based on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송선옥 pp.181-189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일지에 대한 내용분석 =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Journals for Cadaver Practice Experiences in Nursing Students 정추영, 서영숙 pp.257-264

다면적 인성검사(MMPI-2)임상척도와 자기조절지수와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MMPI-2 Clinical Scales and SRQ of Brain Quotient 위현욱, 이협의, 정철우, 최남숙, 박병운 pp.285-293

한국어판 간호사의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Interpersonal Emotion Management Strategies Scale 우희영, 한정원 pp.324-331

진공 흡착과 보행형 이동에 의한 벽면이동 로봇의 개발 = Development of wall climbing robot using vacuum adsorption with legged type movement 박수현, 서경준, 김성관 pp.344-349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at University Dormitory on Social Interaction among Students= 문화적 배경에 따른 대학기숙사 물리적 환경이 학생들간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Wonpil Kim pp.48-54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안전환경과 인지도, 수행도 = Nursing Students' Safety-Climat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차지은, 조지영, 김유경, 남국희, 이서영, 이선영, 이아림, 이지예, 채수빈 pp.72-83

Promoting self-efficacy through microteaching in a flipped classroom in US teacher education = 플립드 러닝에서 수업시연을 통한 미국 초등 예비교사의 자기 효능감 향상 방안 :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 대상 ESL 수업시연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SL teaching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English language learners Yong-Jik Lee, Hyoung-Sook Cho, Kyung-Cheol Lee pp.221-230

지역사회 주민들의 구강검진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 Oral health care behavior according to dental screening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2014 : 2014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경남지역 자료이용 윤현서, 채유정 pp.265-272

수산물 가공폐수내 염분이 황 탈질 반응속도 상수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Decay Rate Coefficients with Sulfur Denitrification due to Salt in Seafood Wastewater 조유나, 최용범, 한동준, 권재혁 pp.367-377

남성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 체력 평가기준 설정 =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evaluation of health related fitness according to the working styles of male manufacturing workers 가성순, 이규승 pp.190-199

근감소증과 흡연 = Sarcopenia and Smoking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김수경, 신영희, 김가은 pp.273-284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이탈방지 스냅핏의 최적설계 = Optimum Design of Lock Snap-fit Using Design of Experiment 손인서, 신동길 pp.378-385

간호대학생의 MBTI성격유형,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 Emotional Intelligence, Sress Cop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한영미, 김선희 pp.124-13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김성봉, 성나미, 강진숙 pp.145-151

윈드서핑 참여자들의 참가동기가 몰입경험, 자아성취감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Test of a Model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o Flow Experience, Self-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Windsurfers 문태영 pp.152-161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고해상도 무인항공 영상처리 기반의 도로정보 추출 = Extraction of Road Information Based on High Resolution UAV Image Processing for Autonomous Driving Support 이근왕 pp.355-360

병원종사자의 코스메슈티컬화장품에 대한 제품선택이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spital workers cosmeceutical cosmetics product selection on marketing communications 강유나, 이인희 pp.88-98

비파열 동맥류의 크기, 개수, 위치에 따른 위험요인과 발생빈도의 상관관계 = Relationship of Risk Factors and Incidence to Size, Number and Location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최판규, 강현구 pp.240-247

퍼지근사추론을 이용한 교량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valuating the Level of Service for Bridges using Fuzzy Approximate Reasoning 조병완, 김헌, 김장욱, 지세영 pp.8-17

스마트 밴드에 대한 사용자경험 분석 = User Experience Analysis of Smart bands 김건아, 김석태 pp.99-105

추간공 접근법과 추궁간판 접근법을 사용한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이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Lumbar Epidural Nerve Block using the Transforamimnal Approach and the Interlaminar Approach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황병문 pp.317-323

인천 용유도의 조병수가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Byung-Su Jo's House in Yongyu Island 한종구 pp.332-337

재킷식 해상풍력터빈 지지구조물의 손상추정기법 = Damage Estimation Method for Jacket-type Support Structure of Offshore Wind Turbine 이종원 pp.64-71

외상성 뇌손상 후유증으로 인한 좌 우 Alpha파 비대칭성이 유발된 청소년의 Alpha파 비대칭 뉴로피드백 훈련 1례 = A Case of Alpha Wave Asymmetric Neurofeedback Training of Adolescents having Left and Right Alpha Wave Asymmetry Caused by Traumatic Brain Injury Sequela 정문주, 원희욱, 채은영 pp.171-180

비타민 보충제 영양강화요법이 경도인지기능장애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Oral Vitamins o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혜경 pp.294-303

자연광 투과에 따른 유리온실 조도분석에 관한 조명시뮬레이션 비교 = A Difference Study on the Lighting Simulation of the Illuminance Values from Daylight for the Glass Greenhouse 이붕주 pp.350-354

360 Wh급 퍼스널 모빌리티용 리튬이온 배터리 팩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 Numeric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360 Wh Li-ion Battery Pack for Personal Mobility 김대완, 서재형, 김학민, 이무연 pp.1-7

의료기관별 간호인력 활용방안 = A Utilization Strategy of Nursing Staff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 nurse staffing level of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 중소병원 간호사 확보를 중심으로 홍지연, 채정미, 송미라, 김은미 pp.162-170

NIALM 기반의 스마트 홈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mart Ho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NIALM 정한상, 성경상, 오해석 pp.55-63

일 대학 간호학생들의 학습유형 별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by the Type of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in a Single University 변도화 pp.106-114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R-16 Lamp Series with Narrow Angular Distribution of Luminous Intensity Using an Aspherical Planar-convex 2×2 Fly-eye Lens Type = 평면-비구면 2×2 fly-eye 렌즈형태의 2차 렌즈를 사용한 고효율의 좁은 배광각을 갖는 MR-16 램프 시리즈 제작 및 성능평가 Kyung-duk Chu, Jae Myung Ryu, Chun-Gang Hong, Youn Hong Jeong, Jae Heung Jo pp.25-33

학령기 부모의 우울에 대한 가족 상호작용과 자아존중감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of Parents in School Age :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커플관계분석을 활용하여 한정원 pp.231-239

항추가 및 보정을 적용한 대입에 의한 논리식 간략화 = Logic Substitution Using Addition and Revision of Terms 권오형 pp.361-366

증기양생이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team Curing on Compressive Strength of Slag Binder Concrete 임병훈 pp.338-343

지역아동센터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연구 = A Study on Effect of the Children Culture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y in Local Child Care Center : Focusing on Traditional dance program : 전통춤 프로그램 중심으로 배나래 pp.115-123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중국 츠시시의 이상 고온 현상 분석 = Analysis of Abnormal High Temperature Phenomena in Cixi-si of China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박준규, 이종신 pp.34-40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College Students 백선숙, 조주연 pp.248-256

채널추정기를 이용한 등화기 결정오류정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ction of The Channel Equalizer Decision Error Using Channel Estimator 김선웅 pp.18-24

뇌과관류증후군에서 보일 수 있는 정맥울혈 1례 = Venous Congestion in Cerebral Hyperperfusion Syndrome : A Case Report 봉정빈, 강현구 pp.84-87

남성 간호사들의 임상간호현장 적응 경험 = Male Nurses' Adaptation Experiences in Clinical Nursing Settings 김성혁, 김수진, 강희경 pp.304-316

과잉간섭 양육방식이 휴대 전화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ver-control parenting styl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우재희 pp.200-209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지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분산구조분석 =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임영아, 조영채 pp.210-220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Marianne Miseranino, Personality Psychology:Foundations and Findings, p. 202, Sigma Press, 2013. 미소장
2 Personality and male-female influences on the EEG alpha rhythm 네이버 미소장
3 Correlation over Nonlinear Analysis of EEG and POMS Factor 소장
4 Study about PR-VEP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 Function and Judgement Function of MBTI 소장
5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SRQ of Brain Quotient 소장
6 J. Y. Choi,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Testing, pp. 55-56, Sigma Press, 2011. 미소장
7 John R. Graham, MMPI-2: ASSESSING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4/e, pp. 6-7, Sigma Press, 2007 미소장
8 MMPI correlates of a controversial EEG pattern among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9 Improved Prediction of Nonepileptic Seizures with Combined MMPI and EEG Measures 네이버 미소장
10 Hemispheric lateralization patterns and psychotic experiences in healthy subjects. 네이버 미소장
11 E. Oh, S. Z. Seo, J. H. Chin, S. B. Hong, "Characteristics of Psychogenic Non-Epiliptic Seizure Patients using MMPI Profiles", Journal of Korean Epilepsy Society, vol. 15, no. 1, 2011. 미소장
12 Comparison of MMPI Profile Patterns between Patients with Epileptic Seizures and Psychogenic Non-Epileptic Seizures 소장
13 P. W. Park, Foundation of Neurofeedback, Korea Research Institute Jungshin Science, p. 58, 2005. 미소장
14 Y. J. Kim, "Development of Brain Circulation Learning Model Based on EEG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미소장
15 D. S. Kim and J. W Choi, EEG Analysis, Koryo Medicine, 2001. 미소장
16 K. K. Kim. “Clinical value of 8 Validity Subscales of MMPI-2",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pp. 1-2, 2009. 미소장
17 H. S. Cho, S. T. Hwang. “Validity of MMP1-2Rest-ructured Clinical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8, no. 1, p. 282, 2009. 미소장
18 Topographic quantitative EEG in elderly subjects with major depression. 네이버 미소장
19 Power Spectral Analysis EEG Characteristic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네이버 미소장
20 EEG power, frequency, asymmetry and coherence in male depression. 네이버 미소장
21 Richard W. L, Lisa S, David S. N, Ronald A. S, THERAPEUTIC FEEDBACK WITH THE MMPI-2: A POSITIVE PSYCHOLOGY APPROACH, Maumsarang, 201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