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시민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Task & Practice of civic unification education in R.O.K. / 박찬석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08.31
수록지명
도덕윤리과교육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제56호 (2017년 8월), pp.83-10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7259500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시민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Task & Practice of civic unification education in R.O.K. / 박찬석 1

요약 1

I. 서론 1

II. 시민통일교육의 현황 5

1. 시민교육의 형성 5

2. 시민교육과 시민 통일교육의 관계 형성 7

3. 시민 통일교육의 성찰 9

III. 시민통일교육의 과제 13

1. 과정과 절차에 입각한 시민 통일교육의 형성 13

2. 이념적 경향성을 해소하는 시민 통일교육 논의의 강화 14

3. 민주적 논의를 통한 시민 통일교육의 전개 16

IV. 나가며: 시민통일교육 강화 방안 19

참고문헌 21

Abstract 2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도덕윤리과교육 연구 동향 = The research trends on moral and ethics education :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1990-2016) : 『도덕윤리과교육』(1990~2016)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은 pp.1-2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맹자의 노심자(勞心者)의 도덕적 책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oral Obligations of Those Who Use Their Minds Advocated by Mencius 강봉수 pp.57-8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시민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Task & Practice of civic unification education in R.O.K. 박찬석 pp.83-10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초등 도덕과 내용 기반의 코딩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d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ntent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방민권 pp.139-17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청소년 인성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Awareness and Meaning of Lif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Personality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 자기인식과 삶의 의미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홍석, 이하원 pp.25-5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도덕적 직관과 도덕 교육 = Moral Intuition and Moral Education 이정렬 pp.109-13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선규(2015), “시민, 정치교육의 현황과 과제: 선거연구원 사례”, [2015 시민교육포럼] 6월 포럼 <정치교육> 미소장
2 권오국(2013), “사회통일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서울평양학회, [남북관계 현황과 통일교육 발전방향] (2013년 서울평양학회 전문가 세미나, 2013.06.03.). 미소장
3 김용민(2004),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조화,”『갈등을 넘어 통일로』, 통일부 통일교육원. 미소장
4 김재한(2007), “제1장 대북정책과 통일교육정책,” 한국통일전략회의 편,『통일교육의현황과 과제』, 부산: 이경. 미소장
5 통일연구 방법론 소고 : 동향, 쟁점 그리고 과제 소장
6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소장
7 South Korea's Policies towards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in the Past 60 Years - Retrospect and Prospect - 소장
8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View of Peace Education 소장
9 박용헌(1983), “정치교육의 성격과 과제,” 국민윤리학회 편,『정치교육』, 서울: 형설출판사, . 미소장
10 박찬석(2015), “통일자원으로서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의 과제,”『초등도덕교육』, 제51집. 미소장
11 박형준(2001), 『성찰적 시민사회와시민운동』, 서울: 의암출판사. 미소장
12 남북한 통합을 위한 시민교육의 과제 소장
13 변창구(2010), “한국통일교육의 쟁점과 방향,”『통일전략』, 제10권 제2호. 미소장
14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according to Systematic?Ideological Approach 소장
15 엄종식(2016), “행정학 관점에서 본 통일 및 안보교육-국민통함을 위한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 개선 방향”, 한국행정학회 6.24 오송 학술대회 자료집, p. 697. 미소장
16 학교 통일교육의 주요 방향에 대한 성찰 소장
17 통일교육의 구상과 실천과제 : 개념과 방향성에 대한 비판적 접근 소장
18 통일교육의 새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소고 네이버 미소장
19 A Study on the Standard Direction of Education for Unified Korea After the Joint Communique of 15 June 2000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소장
20 이미경(2006), “평화통일담론의 정립과 활성화 방안,”『人文社會科學硏究』, Vol.15. 미소장
21 이민룡(1996), 『한국 안보정책론』, 서울: 진영사. 미소장
22 An Inquiry on the Right Course of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Unification Environment 소장
23 이범웅(2013),“지역사회통일 진단과 발전방향”, 제1회 통일교육 주간(2013.5.27.-5.31)기념 학술대회 『통일교육 발전 전문가 포럼』, p. 91. 미소장
24 이성현(2017), “문재인 대통령이 직면한 외교환경과 사드 문제” 『세종연구소 세종논평』 No. 354(2017.07.17.), p. 1. 미소장
25 전영선(2013), “분단 2기 세대의 통일교육,”「남북관계 현황과 통일교육 발전방향」 (2013년 서울평양학회 전문가 세미나, 06. 03.). 미소장
26 정치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내용과 변화 분석 소장
27 정지웅․박찬석(2011), “통일교육의 진단과 과제”,「통일교육정책의 진단과 과제」(한국통일교육학회․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공동 학술세미나, 2011.11). 미소장
28 정용민(2014), “통일교육체계비판”,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122-123. 미소장
29 조영제·손동빈·조영달(1997), “사회공동체의 변화와 시민사회, 시민성”, 조영달 편, 『한국 시민사회의 전개와 공동체 시민의식』,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30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소장
31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네이버 미소장
32 최영표(2002), “향후 북한교육의 변화 전망, 통일교육연구 제2호, 2002, p.109. 미소장
33 한만길(2011), “통일교육의 방향과 체계,”『통일교육 과거․현재․미래』,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34 한만길 외(1999), 『각급 학교 및 사회 교육기관 통일교육 실태조사와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5 남북한 교육협력의 성과와 발전 전략 소장
36 Dewey, john(1916), 이홍우 번역, 주석(2012), Demor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a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교육과학사. 미소장
37 COLLECTIVE SECURITY, COMMON SECURITY AND ALTERNATIVE SECURITY: A CONCEPTUAL COMPARISON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