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을 분석하여 수업의 질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근 대학에서는 정량적인 강의평가 점수보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요구사항을 내포하고 있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강의평가의 주체인 학생들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실제 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형 강의평가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학생들의 강의의 질 개선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A대학에서 2016학년도 1학기에 두 차례 실시한 학생들의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질적 연구 분석도구인 NVivo 1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수자의 내용 설명력이 높을 때 학생들은 강의에 만족하고, 수업내용 난이도가 적절하지 않을 때 불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개별 교수뿐 아니라 유관부서에서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수행해야 하는지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SEAN 교육개발협력 전략의 국가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ies on ASEAN Countries : Focusing on Australia and Japan : 호주와 일본을 중심으로 김정주, 김경연 pp.95-122

학교평생교육사업과 서울형혁신교육지구사업의 관계에 대한 전문가 인식 분석 = An analysis of expert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lifelong education project and the Seoul-based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배현순, 이희수, 임경수, 김수정, 이효영, 한희정 pp.1-30

대학수업의 평가과정에서 학습동기 유발 요소 탐색 =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of the college clas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Self Determination Theory : 자기결정성이론을 기반으로 강경리 pp.31-60

학생의 강의 만족 및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 What Contributes to Lecture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A대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하정윤, 나민주 pp.61-77

예비유아교사의 특수교육 경험에 따른 교직인성검사 차이 = An Analysis of Character of Pre-pre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최지혜 pp.79-94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based on the students' awareness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ctual learning experiences between A university in Korea and oversea universities 네이버 미소장
2 안지혜. (2012).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분석연구: 인문사회계열 우수 수업사례 관찰결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Translated in English) Ahn, J.H.(2012). A qualit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ood" college classe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미소장
3 Development of concrete method through which the course evaluation feedback system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소장
4 Analysis of Studemts' Written Comments on University Teaching 소장
5 Braskamp, L. A., Brandenburg, D. C., & Ory, J. C. (1984). Evaluating teaching effectiveness: Practical guide. CA: SAGE Pub. 미소장
6 Colaizzi, F. U.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7 Danielson, C., & McGreal, T. L. (2000). Teacher evaluation: To enhance professional practic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미소장
8 Peterson K. D. (1995). Teacher evaluation: A comprehensive guide to new directions and practices. CA: Corwin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