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흔히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데, 전통사회에서 효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경애를 기초로 성립하는 도덕이다. 그러므로 자식은 자신을 낳아 길러 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며 순수한 그 노고에 보답하고자 물질적․정신적으로 정성을 다해 봉양하는 것이다. 그래서 효자는 부모를 섬김에 있어 슬하에 있을 때는 공경을, 봉양함에 있어서는 즐거움을, 병이 났을 때는 근심을, 돌아갔을 때는 슬픔을, 제사지낼 때는 엄숙함을 다하여야 한다는 생전의 정성봉양과 사후의 제사봉양이 강조된다. 사후에는 초혼(招魂)을 의미하는 제사를 통해 후손을 만나기 위해 현세로 돌아올 수 있는데, 그 제사를 행하는 주체가 아들이기 때문에 결혼하여 아들을 낳는 것이 중요했다. 왜냐하면 조상과 후손은 모두 유한한 존재로 죽지만 아들의 제사를 통해 조상의 죽음은 망각이 아니라 기억의 공간에서 후손과 연결된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효를 통하여 죽지 않고 영생한다는 이론적 근거가 되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효의 의미와 변화를 중심으로 ‘효와 불효’․‘효와 충의 관계’ 나아가 유가의 효 확산으로 공자․맹자․퇴계의 효와 동아시아의 권선서를 대표하는 󰡔명심보감󰡕를 비롯한 고전의 예화에서 보이는 효의 특징을 고찰했다. 또 이 전통적 효를 바탕으로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당면한 인생의 고독과 노고를 감싸줄 수 있는 책임성 있는 부모봉양과 가족부양의 모범을 보여야 하는 진정한 효의 의미는 어떤 것인가와 ‘효’와 ‘충’의 장단점을 통한 바람직한 효충의 관념을 제시하였다.

よく、慈しみと孝で絡んでいる父母と子息の関係を天倫と言う。傳統社會での孝は、父母に対する敬愛を基礎として成立する道德である。それ故、子供は自分を産み育ての両親に感謝し、その純粹なご苦労の恩に報いるため、物質的․精神的に真心を込めて奉養しようとする。それで、孝子は父母に事えるに膝下にいる時は恭敬を、奉養するには悦びを、病の際には謹み、亡くなった時は悲しみを、祭祀には嚴肅にと、生前の精誠奉養と死後の祭祀奉養が强調されている。 それで、本稿ではこの孝の意味と現代社會にての孝の變化を中心として、孝と不孝、孝と忠の関係を念頭においた。そのなかでも儒家の孝擴散の一貫として、孔子․孟子․退溪の孝と東アジアの勸善書を代表する󰡔明心寶鑑󰡕などの孝の特徴とその例話から見える孝の特徵を考察した。また、この傳統的な孝をもとに今日の我々に當面した人生の孤獨と悲しみを慰める事ができる責任ある父母奉養と家族扶養の模範を見せなければならない孝の真の意味と「孝忠」の長短所を提示した。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明心寶鑑』․ 미소장
2 『論語』․ 미소장
3 『孟子』․ 미소장
4 『中庸』․ 미소장
5 『莊子』․ 미소장
6 『孝經』․ 미소장
7 『大學』․ 미소장
8 『小學』․ 미소장
9 『禮記』․ 미소장
10 『三國遺事』․ 미소장
11 『三國史記』․ 미소장
12 『高麗史』․ 미소장
13 『退溪先生言行錄』 미소장
14 이효범, 『효란 무엇인가』, 공주대학교 출판부, 1998. 미소장
15 儒敎의 孝思想과 現代社會 소장
16 윤석헌, 『중국을 말한다』, 차이나하우스, 2008. 미소장
17 孝思想의 本質과 韓國的 展開 소장
18 김덕균 편역, 『그림으로 읽는 동양의 효문화』, 도서출판 문사철, 2010. 미소장
19 서경요, 『한국인의 효경문화』, 도서출판 문사철, 2010. 미소장
20 성해준, 『동아시아 명심보감의 연구』, 도서출판 문, 2011. 미소장
21 임동석 옮김, 『이십사효』, 동서문화사, 2012. 미소장
22 孝治思想의 淵源과 韓國的 展開 소장
23 佐藤弘夫, 『ヒトガミ信仰の系譜』, 岩田書院, 2016. 미소장
24 신정근, 『효, 순간을 넘어 영원을 사는 길』, 도서출판 문사철, 20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