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흔히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데, 전통사회에서 효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경애를 기초로 성립하는 도덕이다. 그러므로 자식은 자신을 낳아 길러 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며 순수한 그 노고에 보답하고자 물질적․정신적으로 정성을 다해 봉양하는 것이다. 그래서 효자는 부모를 섬김에 있어 슬하에 있을 때는 공경을, 봉양함에 있어서는 즐거움을, 병이 났을 때는 근심을, 돌아갔을 때는 슬픔을, 제사지낼 때는 엄숙함을 다하여야 한다는 생전의 정성봉양과 사후의 제사봉양이 강조된다. 사후에는 초혼(招魂)을 의미하는 제사를 통해 후손을 만나기 위해 현세로 돌아올 수 있는데, 그 제사를 행하는 주체가 아들이기 때문에 결혼하여 아들을 낳는 것이 중요했다. 왜냐하면 조상과 후손은 모두 유한한 존재로 죽지만 아들의 제사를 통해 조상의 죽음은 망각이 아니라 기억의 공간에서 후손과 연결된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효를 통하여 죽지 않고 영생한다는 이론적 근거가 되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효의 의미와 변화를 중심으로 ‘효와 불효’․‘효와 충의 관계’ 나아가 유가의 효 확산으로 공자․맹자․퇴계의 효와 동아시아의 권선서를 대표하는 명심보감를 비롯한 고전의 예화에서 보이는 효의 특징을 고찰했다. 또 이 전통적 효를 바탕으로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당면한 인생의 고독과 노고를 감싸줄 수 있는 책임성 있는 부모봉양과 가족부양의 모범을 보여야 하는 진정한 효의 의미는 어떤 것인가와 ‘효’와 ‘충’의 장단점을 통한 바람직한 효충의 관념을 제시하였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과거와 현대의 '효(孝)' 고찰 = 過去と現代の孝の考察 | 성해준, 한탁철 | pp.32-53 |
|
|
정보화 사회와 불교 정보시스템 = The Buddhist Information System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 박재철 | pp.111-127 |
|
|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A study of Integrated characters of Well-Dying | 신성호 | pp.1-31 |
|
|
경전번역에서 교수불자연합회와 종단의 역할 = The Academic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and the Orders of Buddhist's role in Sutra translation | 조현춘 | pp.54-80 |
|
|
한국불교의 전환기시대에 대한 대응 = The Korean Buddhism's Reaction to Transition Period | 김성규 | pp.145-161 |
|
|
기억과 전승의 메커니즘 = Mechanics of memory and traditions | 원혜영 | pp.81-110 |
|
|
전통 행자교육에서 본 세대간 소통의 문제 = The problem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een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Buddhist temple | 이희재 | pp.128-144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明心寶鑑』․ | 미소장 |
2 | 『論語』․ | 미소장 |
3 | 『孟子』․ | 미소장 |
4 | 『中庸』․ | 미소장 |
5 | 『莊子』․ | 미소장 |
6 | 『孝經』․ | 미소장 |
7 | 『大學』․ | 미소장 |
8 | 『小學』․ | 미소장 |
9 | 『禮記』․ | 미소장 |
10 | 『三國遺事』․ | 미소장 |
11 | 『三國史記』․ | 미소장 |
12 | 『高麗史』․ | 미소장 |
13 | 『退溪先生言行錄』 | 미소장 |
14 | 이효범, 『효란 무엇인가』, 공주대학교 출판부, 1998. | 미소장 |
15 | 儒敎의 孝思想과 現代社會 | 소장 |
16 | 윤석헌, 『중국을 말한다』, 차이나하우스, 2008. | 미소장 |
17 | 孝思想의 本質과 韓國的 展開 | 소장 |
18 | 김덕균 편역, 『그림으로 읽는 동양의 효문화』, 도서출판 문사철, 2010. | 미소장 |
19 | 서경요, 『한국인의 효경문화』, 도서출판 문사철, 2010. | 미소장 |
20 | 성해준, 『동아시아 명심보감의 연구』, 도서출판 문, 2011. | 미소장 |
21 | 임동석 옮김, 『이십사효』, 동서문화사, 2012. | 미소장 |
22 | 孝治思想의 淵源과 韓國的 展開 | 소장 |
23 | 佐藤弘夫, 『ヒトガミ信仰の系譜』, 岩田書院, 2016. | 미소장 |
24 | 신정근, 『효, 순간을 넘어 영원을 사는 길』, 도서출판 문사철, 201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